흥행 부진 ‘유열의 음악앨범’, 과한 홍보가 발목 잡았나

[엔터미디어=정덕현의 그래서 우리는] 영화 <유열의 음악앨범>은 시작 전까지만 해도 올 가을 극장가를 촉촉이 적실 기대작으로 손꼽혔다. 그도 그럴 것이 일단 동명의 라디오 프로그램이 자극하는 추억과 향수가 적지 않다. 1994년부터 전파를 탔던 ‘유열의 음악앨범’. 당연히 당대의 음악들이 떠오를 수밖에 없다. 그 음악을 배경으로 이 작품에 캐스팅된 정해인과 김고은이 차곡차곡 시간을 채워 넣어 만들어내는 멜로라니. 기대할 수밖에 없지 않은가.

하지만 이런 기대는 생각만큼의 결과로 이어지지 못했다. 지난달 28일 개봉한 후 현재까지 스코어가 100만 관객을 조금 넘고 있어, 손익분기점인 180만 관객을 넘길 수 있을 지도 미지수다. 추석 시즌을 맞아 극장가는 새로운 라인업이 채워지고 있다. <타짜: 원 아이드 잭>, <나쁜 녀석들: 더 무비>, <힘을 내요, 미스터 리> 등이 개봉하면서 <유열의 음악앨범>은 이제 상영관이 점점 줄어드는 추세다.



어째서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 사실 조금 심심할 순 있어도 <유열의 음악앨범>은 그리 나쁘지 않은 멜로영화라고 볼 수 있다. 시간과 공간의 변화를 사랑과 얹어 놓으면 괜찮은 질감이 만들어진다는 걸 정지우 감독은 잘 알고 있다. 엄마가 남긴 빵집에서 일하는 미수(김고은)와 어느 날 불쑥 그 빵집으로 들어온 현우(정해인)의 엇갈리는 만남과 헤어짐의 이야기. 그 이야기 구조는 다소 단조롭지만 관객들은 ‘시간의 흐름’을 관조하며 삶과 사랑의 의미 같은 걸 떠올릴 수 있었을 게다.

특히 변화하는 공간과, 과거와는 전혀 다른 삶을 살아가는 인물들의 변화 속에서도 변치 않는 것들이 있다는 것에 안도감과 위로를 느꼈을 지도 모른다. 즉 이들의 사랑과, 그 사랑을 기억하게 하는 음악들은 그 변화들 틈바구니에서 변화하지 않는 아름다움으로 제시된다.

라디오라는 아날로그적 감성을 가진 매체가 주는 따뜻함 또한 빼놓을 수 없다. 인간에게는 목소리에 대한 기억이 가장 오래 남는다고 하던가. 라디오는 누군가의 목소리가 바로 내 귓가에 속삭이는 그 느낌을 전해주는 매체다. 그러니 유열의 목소리와 그가 전하는 음악들이 순식간에 그 때의 시간대로 우리를 이끌어주는 것을 게다.



하지만 괜찮은 잔잔한 영화이긴 해도 <유열의 음악앨범>이 모두가 감탄하고 감동할 만큼 특별한 영화라고 보기는 어렵다. 그래서 이 영화가 의외로 부진하게 된 이유를 개봉 전부터 너무 과하게 느껴졌던 홍보에서 찾게 된다. <유열의 음악앨범> 개봉 전부터 예능 프로그램에서는 정해인과 김고은의 출연과 노골적 홍보가 부쩍 잦았다. JTBC <비긴어게인3>에 한 회 분량으로 출연한 건 그래서 이 프로그램의 팬들에게는 적지 않은 비판을 받기도 했다.

사실 <유열의 음악앨범> 같은 영화는 과한 홍보보다는 내버려 둠으로써 자생적으로 만들어지는 ‘입소문’이 훨씬 나은 방식이 아니었을까 싶다. 과한 홍보는 오히려 반감을 일으키기도 하는데다가, 이 영화가 가진 어떤 순수한 사랑의 이야기에 너무 돈 냄새를 풍기게 만들기 때문이다. 홍보도 영화의 성격에 따라 달리해야 효과가 나기 마련이다. 블록버스터도 아닌 잔잔한 영화에 너무 상업적 색채를 드리운 건 아니었을까. 그냥 조용히 보게 놔뒀으면 어떨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 영화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영화 <유열의 음악앨범>스틸컷]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