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나라’, 역사적 인물만큼 양세종과 우도환이 주목된다는 건

[엔터미디어=정덕현] 최근 사극은 역사의 무거운 옷을 벗은 지 오래다. 그래서 심지어 로맨스 판타지가 사극의 옷을 입고 등장하는 게 이상한 일이 아니게 됐다. 하지만 그렇게 되면서 사극이 갖고 있는 무게감도 사라져버렸다. 가벼운 로맨스 사극은 그래서 사극이라기보다는 로맨틱 코미디의 사극 버전처럼 보이는 면이 생길 정도다.

이런 달라진 상황 때문일까. JTBC 금토드라마 <나의 나라>는 특별한 사극으로 다가온다. 그간 사극이 역사를 따라가는 정통사극으로 가거나 아니면 완전히 여기서 벗어난 퓨전 혹은 판타지로까지 가는 극단적 현상을 보이는 와중에 이 작품은 역사와 상상력의 균형점을 적절히 맞춰내고 있어서다.

역사는 이미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고려 말 조선 초의 ‘개국 시기’다. 이성계(김영철)가 위화도회군을 통해 정권의 실세로 등장하고, 이로써 조선 개국이 이루어질 시점이 갖는 ‘새로운 나라에 대한 저마다의 욕망’이 이 사극에는 그래서 어른거린다. <나의 나라>는 이성계가 주창하는 적폐 청산과 새로운 나라에 대한 욕망이 담겨지고, 여기에 만만찮은 호적수로 등장하는 그의 아들 이방원(장혁)과의 팽팽한 대결구도 또한 들어가 있다. 결국 드라마는 역사 속 이성계의 개국과 훗날 실세로 등장할 이방원이 거행할 왕자의 난의 피바람을 예고하고 있다.



이런 역사적 사실을 다루면서도 <나의 나라>는 이 드라마만이 전하는 상상력의 확장을 포기하지 않는다. 여말선초라는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서휘(양세종), 남선호(우도환) 그리고 한희재(김설현)이라는 젊은 인물들의 욕망을 더해 넣었기 때문이다. 아버지가 팽형을 당했다는 사실로 누이 서연(조이현)을 보살피며 핍박을 받아온 서휘와, 어려서부터 그를 도와온 친구지만 남전(안내상)의 서얼이라는 이유로 어머니는 자결하고 아버지의 인정을 받기 위해 안간힘을 써온 남선호(우도환)의 욕망이 만들어내는 엇갈린 운명이 이 역사적 소용돌이 속에 적절히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사이에 얽혀든 한희재라는 인물과의 운명적인 사랑까지.

아버지의 인정을 받기 위해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너버린 남선호로 인해 서휘는 모든 걸 잃고 요동정벌군으로 끌려가고, 결국 위화도 회군이 결정되면서 이성계는 그 정벌군들을 모두 척살하라 명령한다. 그 명령을 받고 정벌군을 죽이러 들어갔던 남선호가 서휘를 다시 만나는 상황은 이들 간의 드라마틱한 스토리를 구성해냈다. 결국 선호는 서휘를 구하고, 서휘는 죽을 위기에 처한 선호를 구해낸다.



한편 사랑하는 서휘가 자신이 모아온 정보에 의해 정벌군으로 끌려가게 되자 기방에서 나와 홀로 힘일 키우겠다 마음먹은 한희재가 훗날 신덕왕후가 될 강씨 부인(박예진)을 찾아가 함께 죽을 위기를 넘기는 과정도 역사적 사실 속에 작가가 더해 넣는 상상력의 재미가 아닐 수 없다. 한희재는 그렇게 강씨 부인의 마음을 얻어 복수를 위해 힘을 갖겠다는 자신의 욕망에 한 걸음 다가간다.

위화도 회군으로 이성계가 정권을 잡고 집으로 돌아온 서휘는 누이 동생 서연이 죽은 줄 알고 남전의 집을 찾아가지만 거기서도 의외의 상황이 벌어진다. 서연이 오빠가 끌려갈 때의 충격으로 기억을 잃은 채 남전의 집에서 딸처럼 살아가고 있던 것. 결국 서휘는 그것이 자신을 부리기 위한 볼모라는 걸 알아채고, 남전의 집에서 발견한 문양이 죽은 아버지의 갑옷에서 나온 종이 속 문양과 같다는 걸 통해 아버지의 운명과 자신의 운명이 겹쳐지고 있다는 걸 예감한다. 어쩌면 아버지의 억울한 죽음이 남전이 이용하다 버림으로써 생겨난 일일 수 있다는 것.



<나의 나라>는 여말선초의 역사적 사실 자체도 흥미진진하지만, 제목에 굳이 ‘나의’라는 관점을 부여한 것처럼 역사 바깥에 상상력으로 세워놓은 인물들이 만들어내는 저마다의 욕망들이 흥미롭게 부딪치고 있다. 오랜만에 사극에서 보게 되는 역사와 상상력의 균형이 아닐 수 없다. 그리고 역사가 주는 진중한 무게를 느끼면서도 동시에 상상력이 만들어내는 새로운 극적 사건들이 남다른 흥미로움을 주는 건 바로 그 균형 때문이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JT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