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백꽃’처럼, 보다보면 살고 싶어지는 드라마가 있다

[엔터미디어=정덕현] 까불이라는 연쇄살인범의 위협 때문에 결국 옹산을 떠나려는 동백(공효진)이는 이삿짐을 싸기 위한 박스가 있냐고 조심스레 떡집 아주머니 김재영(김미화)에게 묻는다. 하지만 아무 말도 하지 않는 아주머니는 얼굴이 어둡다. 돌아가려 하는데 아주머니가 동백을 부르고 무언가 한 가득 채워진 박스를 건넨다. “언니 여기 뭐가 많이 들었는데...” 아주머니는 퉁명스럽게 말한다. “여기 뭐가 들었다고 그랴. 그냥 아무 소리 말고 그냥 가져가. 그 홍화씨는 관절에 좋아.”

박스를 들고 가는 동백에게 준기네 엄마인 박찬숙(김선영)도 슬쩍 박스에 담은 마음을 전한다. “동백아 우리집서도 어 박스 가져가.” 야채가게 아줌마 오지현(백현주)도 박스를 잔뜩 들고 오더니 말한다. “동백아! 박스는 배추박스가 제일 커.” 저마다 박스를 챙겨들고 나타나는 옹산 동네사람들을 보며 동백의 눈가가 촉촉해진다. 그간 자신을 편견어린 시선을 바라봐 힘겹게 만들기도 했지만, 대놓고 욕을 하면서도 “김치는 가져가라”고 말하는 옹산 사람들에게서 동백은 따뜻한 정을 느낀다. 문짝에 떡하니 붙여놓은 ‘옹산 이웃 여러분 지난 6년간 진심으로 감사했습니다.’라는 글귀에 동백의 진심이 담기는 이유다.



KBS 수목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을 보다보면 까불이라는 희대의 연쇄살인범이 있어 불안감을 느낄 수밖에 없지만, 어쩐지 옹산 같은 곳에서라면 살고 싶은 마음까지 든다. 어딘지 시골마을이 갖는 편견과 선입견 게다가 금세 구설수에 오르게 만드는 소문들이 살기에 불편하게 느껴지긴 하지만, 그래도 뒤끝 없고 무엇보다 없는 삶을 너무나 잘 알아 동병상련의 마음으로 이해하려는 순박하고 따뜻한 사람들이 있어 특히 그렇다.

이 부분은 <동백꽃 필 무렵>이 시청자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중요한 요인이 아닐까 싶다. 주인공들에게만 집중된 이야기가 아니라, 거기 함께 살아가는 단역들의 삶들 또한 주인공처럼 따뜻하게 그려내는 시선. 그래서 결국은 그 동네가 가진 훈훈함이 전해지고, 드라마를 보는 일이 마치 그런 동네에서의 한 시간을 보내며 힐링하는 것만 같은 그런 느낌이 이 드라마가 가진 강력한 매력의 원천이 아닐까.



그러고 보면 머리가 아닌 가슴으로 남는 드라마들의 대부분은 이상하게도 그 동네가 떠오른다는 걸 새삼 깨닫게 된다. 많은 시청자들을 웃고 울게 만들었던 JTBC <눈이 부시게>의 동네 사람들이 모여들어 수다를 떨던 혜자네 행복미용실이 있던 동네가 그렇고, tvN <나의 아저씨>의 퇴근 후 술 한 잔에 하루의 피로와 스트레스를 날리고 무엇보다 약자를 위해 모두가 출동하는 따뜻한 정을 느끼게 했던 후계동이란 가상의 동네가 그렇다.

이렇게 동네 자체가 먼저 떠오르는 드라마란 결국 거기 사는 여러 사람들의 훈훈한 온기들이 소외되지 않고 전해졌다는 뜻이다. <동백꽃 필 무렵>은 그래서 이 훈훈함과 더불어 다양한 인간 군상들의 이야기가 어우러져 훨씬 더 입체적인 드라마가 되고 있다. 주인공 한두 명의 존재감만을 집중하는 드라마가 아니라, 거기 등장하는 한 사람 한 사람을 모두 집중하게 만드는 그런 드라마.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K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