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 최민식과 한석규의 브로맨스만큼 먹먹했던 건

[엔터미디어=정덕현의 그래서 우리는] 영화 ‘천문: 하늘에 묻는다’는 세종(한석규)과 장영실(최민식)의 끈끈했던 관계를 브로맨스에 가깝게 그린 작품이다. 브로맨스를 넘어 로맨스에 가깝다는 관객들 반응처럼 이들이 보여주는 서로에 대한 감정은 단순한 우정과 신의 그 이상을 훌쩍 뛰어넘는다. 여성 출연자가 거의 없고 중년을 훌쩍 넘긴 남성들의 이야기로만 채워지지만 때론 가슴이 설레고 때론 먹먹해지는 특별한 경험을 하게 만드는 영화.

관노로 태어나 하늘과 별을 보는 걸 좋아했지만 고개 드는 것조차 허락되지 않아 땅만 보고 살았던 장영실의 천재성을 한 눈에 알아보고 세종은 함께 누워 하늘과 별을 보자고 한다. 세종은 왕의 자리가 늘 아래를 내려다보기만 해야 하는 자리라서 올려다볼 수 있는 하늘이 좋았다고 한다. 가장 빛나는 별 북극성을 세종의 별이라고 말하며 천민으로서 자신의 별은 없다는 장영실에게 세종은 북극성 바로 옆에 있는 별을 “너의 별”이라고 알려준다. 그러면서 세종은 하늘의 별이 백성들로 보인다고 말한다. 그의 백성을 올려다보는 애민정신이 드러나는 대사다.



하지만 왕이 관노인 장영실을 면천하게 해주고 나아가 관직까지 주며 총애하면서 사대부들은 반발하기 시작한다. 백성들이 모두 잘 살고 또 스스로 읽고 쓸 수 있는 세상을 꿈꾸는 세종은 그것이 이뤄지기 위해서 장영실 같은 인물을 필요로 한다. 중화 사대에 젖어 우리에게는 맞지 않는 중국의 시간을 강요하던 시대. 조선만의 시간을 만들기 위해 자격루와 간의 같은 천문기구를 만들기를 꿈꾸고 장영실은 그 꿈을 현실화해준다.

세종과 장영실의 끈끈한 브로맨스가 관객들을 설레게 하고 또 먹먹하게 울리는 이유는 단지 그 신분을 뛰어넘는 우정 같은 관계 때문만이 아니다. 거기에는 함께 꿈을 꾸고 실현해간다는 그 과정들이 주는 설렘과 먹먹함이 더해져 있다. 장영실은 세종이 그런 꿈을 꾸었기에 자신의 재주가 그런 것들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고 하고, 세종은 장영실이 만든 그런 기구들이 있어 자신이 어떤 꿈을 꾸었는지를 세상이 알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허진호 감독은 역시 멜로의 대가답게 함께 꿈을 꾸고 그것을 이뤄나가는 두 사람의 관계를 촘촘한 감정 선을 이어 그려나간다. 세종이 한 마디 그저 던진 말을 실현해내기 위해 장영실은 쉬지 않고 손을 놀리고, 세종은 그렇게 거칠어진 장영실의 손을 잡아주는 것만으로 그 마음이 전해진다. 비 오는 날 하늘의 별을 보고 싶다는 세종을 위해 장영실이 처소에 마련하는 ‘밤하늘(?)’은 마치 이들의 서사를 상징하는 아름다운 장면으로 그려진다. 힘겨운 현실 속에서도 함께 하늘과 별을 꿈꾸는 장면으로.

브로맨스가 이토록 가슴을 먹먹하게 할 수 있다는 게 새삼스럽게 느껴지는 작품이다. 그런데 거기에는 무언가를 쉽게 꿈꾸거나 그 꿈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이제는 허망해진 현실의 판타지가 어른거린다. 꿈꾸고 노력한다고 그 결과가 주어지지 않는 세상. 태생으로 결정된 대로 미래가 주어지는 세상. 그래서 더 이상 하늘을 보지 않게 된 우리네 청춘들이 처한 현실들이 저 세종 시절 장영실의 서사에 고스란히 투영되어 남다른 울림을 만든다. 영화를 보며 가슴이 먹먹해진 건, 도대체 하늘을 쳐다본 게 언제인지 잘 기억나지 않는 현실 때문이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영화 <천문>스틸컷]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