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나가는 ‘미스터트롯’, 어째서 외모와 식스팩에 집착하나

[엔터미디어=정덕현] TV조선 오디션 프로그램 <미스터트롯>은 이미 큰 성공을 거두었다. 시청률이 17%(닐슨 코리아)를 넘어섰고 화제성도 뜨겁다. 예선을 치렀을 뿐이지만 벌써부터 주목되는 실력자들이 한둘이 아니다. 테너에서 트로트로의 변신을 보여준 김호중, 안정적인 정통트로트의 맛을 선사한 임영웅, 트로트계의 BTS로 불린 장민호는 물론이고, 입덕하게 만드는 아이 대장부 홍잠언이나 트로트 아이돌 그룹을 결성해도 좋을 법하다는 평가를 받은 신동부의 양지원, 이찬원, 김희재, 김수찬, 김경민 등등. 너무 많은 신예들이 대중들의 눈도장을 찍었다.

그런데 트로트의 묘미만으로도 충분한 <미스터트롯>에 가끔씩 눈살이 찌푸려지는 불편한 장면들이 등장한다. 지나치게 외모와 몸을 강조하고 거기에 호들갑을 떠는 마스터들의 리액션을 더해 성 상품화가 노골적으로 드러나는 장면들이 그렇다. 피트니스 모델이나, 머슬마니아 챔피언, 종합격투기 챔피언들이 등장한 직장부A의 무대들은 대부분 노래보다 이들의 외모와 몸을 보여주는 것에 더 초점이 맞춰졌다.



대기실에서부터 웃통을 벗고 식스팩을 보여줌으로써 탄성을 자아내는 모습을 보여주고, 무대에서도 뜬금없이 노래 도중 웃통을 벗는다. 노래는 부수적인 것이 되어 버린다. 대부분 마스터들의 선택을 받지 못해 탈락했지만, 그래서 느껴지는 건 이들이 <미스터트롯>에 도전한 것이 진짜 트로트 가수가 되기 위함이 아니라 자신들의 존재를 알리기 위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다.

물론 머슬마니아 같은 모델들은 자신의 몸을 보여주는 것이 직업이다. 하지만 그건 그런 대회에서 보여줬을 때 건강미라고 하는 그 본래의 맥락을 보여줄 수 있다. <미스터트롯>에 나와 트로트 실력이 아닌 뜬금없는 맨몸을 드러내는 일은 그 맥락을 찾을 수 없어 마치 성 상품화되어 전시되는 몸처럼 느껴지게 한다.



이를 강화시키는 건 출연자들의 당락을 결정 지으러 앉아 있지만 심사를 하기보다는 쇼를 즐기러 온 듯 과장된 리액션을 보여주는 일부 마스터들이다. 붐은 과하게 출연자들의 모습을 똑같이 흉내 내기도 하고, 장영란은 노골적으로 맨몸의 남성들을 보며 탄성을 지르거나 “너무 좋아”를 연발하며 합격 버튼을 눌러댄다. 물론 그건 쇼적인 요소들을 넣기 위함이지만 벗은 몸과 리액션이 더해져 하나의 성 상품화로 전시되는 몸을 아무렇지도 않게 치부해버린다.

물론 적당한 쇼적인 요소들이 가미되는 건 시청자들도 충분히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나쁘지 않은 선택이다. 지나치게 경쟁과 당락에만 집중하면 그 자체가 불편한 오디션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나치게 과잉되고 왜곡된 쇼는 즐겁기 보다는 불편함만을 키울 수 있다는 걸 알아야 하지 않을까.



<미스트롯>에서도 초반 미스코리아 콘셉트로 차려입고 나와 전시되는 출연자들은 논란이 된 바 있다. 하지만 <미스터트롯>은 시작부터 실력 있는 출연자들을 대거 보여줌으로써 그런 조미료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는 걸 보여줬다. 그런데 남성들을 출연시키면서도 여전히 그런 연출을 시도하는 걸 보면서 기대감만큼 더 큰 실망감이 생겨난다.

또 마스터의 자질 문제 역시 <미스트롯> 때 생겨난 논란 그대로 <미스터트롯>에서도 나타나고 있다는 건 도저히 이해하기가 어려운 지점이다. 어째서 이 좋은 출연자들을 갖고도 여전히 시대착오적인 조미료들을 치고, 마스터들의 자질을 의심하게 만들까. 그건 가용자원의 문제가 아니라 제작진 혹은 방송사가 가진 감수성 부족이나 인성 자질의 문제가 아닐까 의심하게 만든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조선]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