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름, 트로트 그리고 뮤지컬까지... 오디션 2.0의 시대

[엔터미디어=정덕현의 네모난 세상] 오디션 시대는 지나갔다? 지난해 오디션 조작 사건이 터지면서 오디션 프로그램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생겼던 게 사실이다. 또 오디션 프로그램이 갖는 경쟁적 틀은 더 이상 시청자들이 원하지 않는다는 인식의 변화도 생겨났다. 그래서 오디션 형식은 이제 끝났을까.

그것이 섣부른 속단이었다는 걸 증명하듯 오디션 형식을 가져온 프로그램들이 그 건재함을 드러내고 있다. KBS <씨름의 희열>과 TV조선 <미스터트롯>은 단적인 사례다. 하지만 오디션 형식을 가져왔다고 해도 이들 프로그램들이 과거의 오디션과 같다고 보기는 어렵다. 거기에는 이 프로그램들만의 독특한 진화가 엿보이기 때문이다.

<씨름의 희열>은 씨름이라는 민속 스포츠를 소재로 예능 프로그램에 담으면서 그 형식으로 오디션 프로그램을 차용하는 신선한 시도를 실험했다. 선수들을 캐릭터화하고 그 특장점을 오디션에서 자주 봐왔던 짤막한 영상으로 스토리텔링화한 후, 씨름판의 대결로 이어 붙였다. 그러자 우리가 명절 때 주로 봐왔던 씨름 중계방송과는 사뭇 다른 그림이 나오기 시작했다.



마치 무대 밑에서 노래하는 가수의 스토리를 들려준 후 그걸 기반으로 부르는 노래를 감상할 때의 느낌이 다르듯, 씨름 선수들도 그 스토리가 더해지면서 경기가 훨씬 재미있어졌다. 여기에 마치 심사를 하듯 코멘트를 달아주는 중계와 해설이 더해지고 여러 대의 카메라로 정교하게 찍혀진 경기 영상들이 슬로우 모션으로 경기를 정밀중계하면서 씨름은 훨씬 박진감 넘치는 스포츠로 변모했다.

오디션 형식을 차용하면서 씨름선수들이 아이돌처럼 스타화하는 팬덤 현상도 가속화되었다. 말미에 치러진 관객들이 직관하는 경기는 그래서 아이돌에 열광하는 팬들의 풍경을 재연시켰다. 관객이 사라졌던 씨름이란 종목이 오디션이라는 형식을 차용하면서 얻은 큰 성과다. 비록 코로나19로 인해 쓸쓸한 무관중 결승전을 벌여야 했지만 이 성과는 향후 여타의 비인기 종목으로 치부되던 스포츠를 소재로 하는 다양한 예능 프로그램으로 시도될 수도 있다는 여지를 남겼다. 같은 스포츠라도 보는 관점을 달리해줌으로써 달라질 수 있다는 걸 오디션 형식을 차용한 <씨름의 희열>이 보여줬기 때문이다.



TV조선 <미스터트롯>은 종편 역사상 최고의 시청률인 30%대를 넘겨버렸다. <미스터트롯>이 몰려든 참가자들을 추리고 추려 101명을 세웠다는 건 꽤 의미심장하다. 그건 마치 Mnet <프로듀스101>의 트로트 버전을 떠올리게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디션 조작논란으로 추락한 <프로듀스> 시리즈와 달리 <미스터트롯>은 고공행진을 거듭하며 모든 세대가 찾아보는 오디션 프로그램으로 성장했다.

이렇게 될 수 있었던 건 무엇보다 트로트라는 장르가 그간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던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따라서 <미스트롯>으로 그 성공기를 들여다본 많은 실력 있는 지망생들이 몰려들었고 타 장르에서도 지원이 잇따랐다. 이렇게 되자 프로그램은 자연스럽게 오디션이면서도 경쟁을 그리 강조할 필요가 없어졌다. 실력자들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무대를 선보이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차고 넘쳤기 때문이다.



트로트 같은 지금껏 주목받지 못했던 장르를 오디션 형식으로 담았을 때 그만한 시너지가 생긴다는 건 이미 JTBC가 <팬텀싱어>나 <슈퍼밴드>를 통해 입증해보인 바 있다. 뮤지컬, 성악이나 밴드 뮤지션들이 주목받게 되는 자리인 만큼 오디션 형식은 그들이 설 수 있는 무대를 제공한다는 의미만으로도 환영받고 응원 받았다. 이런 경향은 최근 tvN <더블캐스팅>이 뮤지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역할을 하지만 ‘병풍’으로 불리곤 하던 앙상블을 하는 뮤지컬가수들의 오디션으로 이어지고 있다. 즉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의 경우, 아이돌이나 K팝 가수를 뽑는 것 이외에 그간 소외됐던 분야를 가져온다면 여전히 환영받을 수 있다는 이야기다.

결론적으로 이야기하면 오디션 시대는 끝나지 않았다. 이전까지 경쟁을 중심으로 합격이냐 불합격이냐를 드라마틱한 스토리텔링으로 세우던 트렌드가 오디션 1.0 시대의 풍경이었다면, 지금은 경쟁보다는 상생을 목적으로 형식적으로 오디션을 차용하는 오디션 2.0 시대가 열렸다고 볼 수 있다. 향후 어떤 장르와 소재가 이 형식을 타고 등장할지 주목해볼 일이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KBS, TV조선]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