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럽지’ 연애 매칭에서 연애 관찰로, 진짜 연애 보여준다

[엔터미디어=정덕현] 거침이 없다. 당당하다. 사랑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고, 길거리에서건 어디서든 스킨십도 자연스럽다. 사실 연애를 해본 사람은 누구나 알 것이다. 두 사람 사이에 얼마나 감정이 애틋하고 가슴이 설레는지. 시대가 바뀌었다고 하지만 두 사람 사이의 애틋한 감정이나 설레는 마음은 과거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다.

달라진 건 그걸 당당하게 드러낼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과거에는 그런 사적인 연애가 드러나는 것을 피하고 조심스러워했다. 하지만 지금은 많이 달라졌다. 길거리에서도 종종 뽀뽀를 나누는 젊은 연인들을 볼 수 있고, 과감한 스킨십도 타인의 시선을 그리 의식하지 않는다. 마치 해외를 여행하다 느낀 그 자유로움을 이제는 우리네 길거리에서도 심심찮게 발견하게 된다.

아마도 MBC에서 첫 방영된 <부러우면 지는 거다(이하 부럽지)>는 바로 이런 사적인 연애를 드러내는 것에 있어서 거리낌이 없어진 시대의 변화를 밑그림으로 가져왔다고 보인다. 배우로 전향했지만 우리에게는 아나운서의 이미지 또한 남아있는 최송현과 프로다이버 이재한 커플은 그들의 모습이 카메라에 찍히고 있다는 걸 알면서도 뽀뽀를 하고 감정을 드러내는데 전혀 거리낌이 없다.



이원일 셰프와 MBC <전지적 참견 시점> 김유진 PD 커플은 웨딩샵에서 드레스를 입어보며 한껏 서로에 대한 애정을 과시한다. 웨딩샵을 빠져나오며 길거리에서 서로에게 뽀뽀를 나누는 것에서도 과감하다. 또 레인보우 지숙과 최근 코로나 앱으로 화제가 됐던 이두희 커플은 PC방 데이트를 즐기며 ‘공개연애’가 오히려 만들어준 자유를 만끽한다. 그 전에는 숨어서 했던 연애를 이 방송을 계기로 대놓고 할 수 있어 즐겁단다.

사실 관찰카메라는 처음 그 형식이 시도됐을 때부터 누군가의 사생활을 들여다본다는 것에 대한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애써왔다. 해외의 리얼리티쇼가 보여주는 그 과감함(?)을 우리로서는 그대로 적용하기가 정서적으로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래서 2013년 MBC <아빠 어디가>나 KBS <슈퍼맨이 돌아왔다> 같은 아이를 대상으로 하는 관찰카메라가 먼저 시도됐다. 가장 정서적 부담이 적은 관찰 대상이었기 때문이다.



그 후로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관찰카메라가 조금씩 그 영역을 넓혔다. MBC <나 혼자 산다>는 연예인 관찰카메라로 영역을 넓히면서 1인 가구가 급증하는 시대에 1인 라이프를 들여다본다는 ‘사회적 의미’를 굳이 더하며 시작했다. 하지만 지금 이런 1인 라이프 이야기는 더 이상 이 프로그램에 중요하지 않게 됐다. 어느 새 관찰카메라는 어느 영역에서든 익숙해진 형식이 되었기 때문이다.

TV조선 <연애의 맛> 같은 본격 관찰카메라 프로그램은 보다 내밀한 사적인 관계로까지 카메라가 들어갔다. 이제 우리에게도 어떤 정서적 장벽처럼 여겨지던 내밀한 사생활을 관찰하는 본격 리얼리티쇼의 시대가 열렸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여전히 그것을 받아들이는데 있어서의 정서적 차이는 존재한다.



스튜디오에 출연하는 장성규, 장도연, 허재, 전소미, 라비는 그래서 그 관찰영상들에 대한 반응들이 조금씩 다르다. 그 중에서도 ‘라떼는’ 하며 과거에는 풍기문란으로 잡혀 들어갈 장면들이 나오는 것에 말문이 막혀하는 허재와, 이 방송을 통해 연애 버킷리스트를 만들겠다는 신세대 전소미의 다른 반응들은 그 정서적 세대적 차이를 잘 보여준다.

프로그램은 형식적으로도 이들의 사적인 연애를 들여다보는 재미를 대놓고 추구하고 있다는 걸 드러낸다. 카메라 렌즈 형상으로 스튜디오에 앉아 있는 출연자들을 누군가 훔쳐보듯 들여다보다가 화면이 전환되어 진짜 커플들의 장면을 이어 붙이는 편집이 그렇다. 그것은 시청자들의 시점을 관찰카메라의 시점과 맞춰놓는 형식적 장치다.



한 때 남녀 커플을 등장시키는 이른바 연애 매칭 프로그램들이 있었지만, 이제는 그 차원을 넘어서 연애 관찰 프로그램으로 카메라의 포커스가 바뀌고 있다. 실제 연애의 풍경이 달라졌고, 그것을 드러내는 일이나 타인의 시선을 그리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시대에 <부럽지>는 과감한 선택을 했다. 조심스러움을 걷어내고 당당하게 있는 그대로의 진짜 연애를 보여주겠다는 것이다.

그래서 사적 연애를 들여다본다는 그 정서적 장벽을 슬쩍 넘어서 프로그램을 보면 달라진 연애의 풍경과 남녀의 모습 게다가 일과 사랑에 대한 관점 등이 눈에 들어온다. 이들에게는 공유하는 취미가 중요하고 사랑만큼 일도 소중하다. 그것을 서로 존중하고 나아가 타인의 취향까지 사랑하는 모습이 이들의 연애 속에서 자연스럽게 묻어난다. 애써 부정하려 해도 우리는 이미 사적인 것들을 드러내고 들여다보는 일에 익숙해진 삶을 살아가고 있다. 그 많은 각자의 SNS들은 그걸 증명하고 있지 않은가. <부럽지>는 이런 시대의 변화된 지점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M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