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초의 다이내믹함과 애환이 더해진 한국형 좀비의 매력

[엔터미디어=정덕현의 네모난 세상] “<킹덤2>가 다시 한 번 <워킹데드>를 넘어섰다.” 포브스의 칼럼니스트 폴 타시는 <킹덤2>에 대해 그런 파격적인 표현을 담은 호평을 내놨다. 그는 “솔직히 말해 시즌2가 더 좋다고 생각한다”며 “국가 전체를 파괴하는 질병 확산은 사실 현재 보고 싶은 내용이 아닐 수 있지만 일반적이지 않은 16세기 한국의 환경에 초점을 맞춰 제작된 좀비물은 진정으로 경이적인 시리즈”라고 극찬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킹덤2>에 대한 반응이 심상찮다. 코로나19로 전 세계가 팬데믹에 들어선 상황이지만, 마치 바이러스처럼 퍼져나가는 조선 좀비와의 사투를 다룬 <킹덤2>는 전 세계의 시청자들에 그 새로운 세계관을 확산시키고 있다. 좀비물이라는 장르 자체가 서구의 것이지만, 조선 좀비로 재창조되면서 새삼 한국 좀비물에 대한 관심으로도 이어지고 있다. ‘K-좀비’ 열풍이 몰아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실 한국 좀비물로서 먼저 해외에 주목을 끈 작품은 연상호 감독의 <부산행>이었다. 부산으로 향하는 KTX에서 창궐한 좀비들과의 사투를 벌이는 내용을 담은 이 작품이 공개됐을 때도 ‘한국 좀비’의 색다름에 대한 이야기들은 꽤 많이 등장한 바 있다.

가장 큰 특징은 굉장히 ‘다이내믹하다’는 데 있다. 물론 이미 뛰어다니는 좀비는 <28일 후>나 <월드워Z> 등을 통해 등장한 바 있다. 하지만 <부산행>에서의 좀비들은 그보다 더 역동적인 움직임과 동작으로 보는 이들을 소름 돋게 만들었다. 실제로 댄스팀들이 투입되어 표현한 그 좀비떼의 움직임들은 하나의 예술적인 퍼포먼스를 보는 듯한 느낌을 주기도 했다.



이런 면면은 <킹덤2>에서도 그대로 이어진다. 떼를 지어 달려드는 좀비들의 속도는 훨씬 빨라졌고, 이들의 움직임을 담는 연출 방식도 색달라졌다. 예를 들어 궁궐 대전에 갇힌 이들을 둘러싸고 점점 몰려드는 조선좀비 떼들의 모습을 창에 비춰진 실루엣의 아우성으로 포착해낸 연출이 그렇고, 하얀 옷이 붉게 물들여진 좀비를 통해 인간과의 구분이 이뤄지던 궁궐에서의 추격전에서 점점 구분이 되지 않을 정도로 옷이 비슷하게 붉어져 가는 연출도 그렇다.

<킹덤2>에서 역동적인 좀비의 압권은 궁궐의 유려한 곡선을 가진 지붕 위에서 벌이는 사투 장면이다. 지금까지 그 어떤 좀비물에서도 보지 못했던 이런 장면들은 <킹덤2>에 전 세계 시청자들이 매료되는 가장 큰 이유가 되고 있다.



하지만 한국 좀비의 가장 큰 차별점은 그런 외형적인 모습이나 역동적인 동작보다, 좀비를 바라보는 남다른 시각에서 비롯된다. 그것은 좀비로 변하게 되는 민초들을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에서 만들어지는 것으로 한국 좀비들은 그저 괴물이 아니라 애환이 담긴 불운한 존재들로 그려진다. 해외의 좀비들이 박멸의 대상으로 종종 상정되는 것과 달리, 한국 좀비들은 싸워야 하는 존재이지만 동시에 연민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이 지점은 자신을 희생해 좀비가 되면서도 어떤 과업을 수행해내는 그런 인물들 또한 가능하게 만든다.

한국좀비에 이런 차별적인 요소가 들어간 이유는 우리가 갖게 된 남다른 서민의식 때문이 아닐까 싶다. 부조리한 현실 앞에서 힘겨운 상황을 맞이하기도 하지만, 그럴 때마다 한 마음으로 모여 집단적인 놀라운 힘을 발휘하기도 하는 그런 서민들에 대해 우리는 연민을 느끼면서도 동시에 그 역동적인 힘을 느끼기 때문이다. 코로나19에 대처하는 우리의 위대한 서민들의 모습이 딱 그러하듯이.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넷플릭스]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