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히 사람들의 변화를 일으키는 ‘해양천국’

[엔터미디어=오동진의 이 영화는] 간암 말기를 앓고 있는 왕심성(이연걸)은 삶에 미련이 없다. 자신의 병을 받아 들인지 오래다. 그렇지만 그는 지금 당장은 죽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 이제 21살이 된 자신의 아들 대복(문장)때문이다. 그는 여전히 아이다. 아이는 아프다. 자폐증이다. 아들 대복은 자신이 없으면 아무 것도 할 수가 없다. 심성은 죽기 전까지 아이에게 하나하나 일상을 가르치려 애쓴다. 계란을 깨는 법, 상점에서 아이스크림을 사는 법, 자신이 아이를 데리고 일하러 다니던 해양수족관에 버스를 타고 가는 법, 무엇보다 자신이 죽고 나서 아이가 혼자서 견디는 법을 가르치려 애쓴다. 통증은 점점 잦아든다. 그 아픔 때문이 아니라 마음 때문에 왕심성은 편치가 못하다. 자신의 병을 돌볼 여유가 없다. 그런 그를 바라보는 주변은 그저 애처로울 뿐이다. 대복은 과연 혼자 살 수 있을까. 이 간난의 삶을 이겨낼 수 있을까. 사람들의 가슴이 촉촉히 젖기 시작한다.

여성감독 설효로의 ‘눈물겨운’ 신작 <해양천국>은 자주, 드넓은 바다를 연상케 하는 맑은 해양수족관 안으로 사람들을 안내한다. 대복은 낮은 정신 연령대의 자폐아지만 수영만큼은 베테랑 수준이다. 아이는 물에 들어가는 것을 좋아한다. 물에서 놀 때를 보면 가장 자유로워 보인다. 당연한 것이, 아이에게 물은 곧 엄마의 자궁 속이다. 엄마 뱃속에서 아이는 유영했었다. 가장 편하고 평화로웠으며 조건없이 사랑을 받았던 기간이다. 아빠 왕심성은 그런 아이의 마음을 안다. 아이의 엄마(고원원)는 끝내 좌절의 고통을 이겨내지 못했다. 그녀는 아이처럼 수영을 잘했지만 결국 물에서 죽었다. 심성은 수족관 주인(동총)에게 어느 날 속마음을 털어 놓는다. “애 엄마가 실수했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하지만 난 그녀를 이해해요. 이건 이겨내기 쉬운 고통이 아니니까요.”

특이하고 놀라운 것은 왕심성을 비롯해서 그를 사모하는 가게집 여자(주원원)든, 수족관 주인이든, 아니면 아들 대복을 순수하게 바라보는 서커스 단원 여성이든(계륜미) 결코 ‘징징대지’ 않는다는 것이다. 영화 속 인물들은 잘 울지 않는다. 사람들에게 울라고 강요하지 않는다. 그냥 이것 역시 인생의 한 단면일 뿐이며 일반적인 사람들 보다 약간 더 불행한 일을 겪는 인물들의 얘기일 뿐이라고 말한다. 그러니 요란을 떨 필요가 있겠느냐며 차분하게 물러 앉는 식이다. <해양천국>의 미덕은 바로 그 지점에서 찾아진다.



아버지가 아들에게 계란 요리를 가르치는 장면이 인상적이다. 카메라는 아이가 처음으로 냄비 모서리에 계란을 대고 깨뜨리는 장면을 클로즈 업으로 보여준다. 아이는 계란이 깨지는 게 신기하다. 늘 수족관, 곧 엄마 자궁 속으로 퇴행하려 했던 다 큰 아이는 처음으로 세상이 그 밖에도 엄연히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결국은 모든 것이 파란(破卵)에서 시작된다. 알을 깨고 나와야 한다. 거기서부터 진정한 변화의 파란(波瀾)이 이는 법이다. 물결이 일어나는 법이다. 설효로 감독은 이 장면 하나만으로 아이가 결국 아빠의 품에서 벗어나 홀로서기를 감행할 수 있음을 짐작케 만든다. 여성감독 특유의 섬세한 감수성과 디테일이 돋보이는 장면이다.

희생은 사람을 변화시킨다. 일상은 그것 때문에 매번 고투의 연속이기 십상이지만 사람이 다른 사람을 위해 자기를 버리는 행위는 세상을 따뜻하게 순환시킨다.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각성의 눈물을 흘리게 한다. 하지만 영화 <해양천국>은 잠깐 울게 만드는 영화만이 아니라는 데 특징이 있다. 일단 영화를 보는 내내 흐르는 눈물을 주체할 수 없게 한다. 이 기이하고도 이상한 드라마는 또 한편으로, 여타의 신파극과는 달리, 한바탕 울고 말거나 극장 문을 나서면 쉽게 잊혀지는 따위의 내용이 아니다. <해양천국>은 우리 시대의 사라져 가는 부성에 대한 울림과 그 진동을 느끼게 해주는 영화다. 세상을 구원하는 것은 그리 큰 주제에서 찾아지는 것이 아니며 아버지가 아픈 아들을 사랑하는 것, 그 행위의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삶의 변화는 구체적인 것에서 이루어진다는 것, 중국 사회주의가 지금 가려고 하는 길은 사회 전체의 복지가 아니라 각 개인의 구체적 행복에서부터 시작돼야 함을 강조한다.

이연걸의 눈물 연기가 놀랍다. 영화 속에서 그는 울지 않지만, 아니 울지 못하지만, 사람들을 줄줄 울게 만든다. 연기력 면에서는 물론 자폐아 역을 해 낸 문장의 연기가 압도적이다. 그러나 이연걸은 가장 자상하고 서민적인 아버지의 이미지를 선보인다는 점에서, 무엇보다 그 같은 변신을 자신 같은 액션배우가 이루어 낼 수 있다는 것을 스스로 입증해 냈다는 점에서 톡톡한 평가를 받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사람은 변해야 한다. 배우도 변해야 한다. 관객도 변해야 한다. <해양천국>은 조용히 모든 사람들의 변화를 일으키는 영화다. 잔잔한 바람이 결국 큰 바람을 만든다. <해양천국>의 일으키는 조용한 마음의 반란을 느껴 보라고 권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영화평론가 오동진 ohdjin@hanmail.net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