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범’ 이토록 의미없는 반전이 또 있을까

[엔터미디어=황진미의 편파평론] ▲이 영화 반(反)▲. (본문 중 영화 내용의 누설이 있습니다. 영화를 관람하실 분들은 참고 바랍니다.) 영화 <공범>은 <그놈 목소리>에서 연출을 맡았던 박진표 감독이 제작을 맡고, 조연출을 맡았던 국동석 감독의 연출데뷔작으로, <그놈 목소리>를 영화적 모티브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즉 영화를 통해 공개된 범인의 목소리를 듣고, 누군가 자기 가족을 의심하기 시작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 것인가를 상상의 기점으로 삼아, 피의자의 가족이 느끼는 복잡한 심경을 그린 영화이다. 주연을 맡은 손예진, 김갑수의 섬세한 연기는 단연 최고라고 할 수 있으며, 진실이 밝혀지기까지 극적 긴장감도 좋은 편이다. 따라서 영화를 ‘감성 스릴러’라고 부르는 데에는 이의가 없다.

그러나 <공범>을 좋은 영화로 보기는 어렵다. 처음 던진 화두는 미온적으로 전개되다가 도중에 길을 잃어버리고, 엉킨 문제의식은 우연히 닥친 파국과 생뚱한 반전으로 흐지부지 되어버리는 등 서사의 난맥상이 뚜렷하기 때문이다. 요컨대 <공범>은 ‘가족을 범죄자로 의심하는 이의 윤리적 딜레마’라는 매력적인 화두를 던져놓고, 논의를 제대로 진전시키지 못하다가 서사의 완결성도 기하지 못하는 분명한 한계를 보여준다.

◆ ‘딸 바보’ 아버지가 설마 15년 전의 유괴범?

대학졸업 후 언론사 입사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다은(손예진)은 한참 화제가 되고 있는 영화 <악마의 속삭임>을 보러 간다. <악마의 속삭임>은 공소시효가 얼마 남지 않은 15년 전 유괴사건을 다루면서, <그놈 목소리>가 그리했듯 실제 유괴범의 목소리를 들려준다. 영화를 본 다은은 유괴범의 목소리가 아버지(김갑수)와 비슷하다고 느낀다. 함께 영화를 본 친구들도 낯익은 목소리라고 말할 정도이다. 하지만 그런 의심은 참 어이없다. 다은의 아버지는 세상에 둘도 없는 ‘딸 바보’로, 엄마도 없이 다은을 금지옥엽 키워낸 착한 아버지가 아닌가. 영화는 초반에 아버지가 얼마나 헌신적으로 자신의 유일한 희망인 딸을 위해 사는지, 그리고 부녀관계가 얼마나 격의 없이 살가운지 보여주는데 여러 장면을 할애한다.



의심이 잦아들 무렵, 한 남자가 아버지를 찾아와 협박을 한다. 심지어 집에까지 와서 행패를 부린다. 다은은 아버지에게 비밀이 있다는 의심을 잠재우지 못하고, 남자친구를 통해 아버지의 전과기록과 어머니의 사망 기록을 떼어 본다. 그런데 아뿔사. 아버지는 전과가 화려하고, 어머니는 사망기록이 없다! 다은은 혼자서 의문을 해결하기위해, 나름 수소문을 벌이고 어린 시절 기억을 떠올리며 진실을 알아내려 애쓴다. 그러나 다은이 미처 진실을 알아내기도 전에 경찰이 들이닥친다. 다은이 아버지의 전과기록을 조회한 것을 계기로, 아버지는 15년 전 유괴사건의 유력한 용의자로 수사 선상에 오르는데....

<공범>은 가난하지만 예비 언론인으로서 진실과 정의의 가치를 믿으며 살아가던 다은에게 닥친 잔혹한 의심을 보여준다. 일생 자신에게 가장 큰 사랑을 쏟아 부은 아버지가 추악한 범죄자가 아닌지, 심지어 어린 시절 자신이 무심코 했던 행동이 끔찍한 범죄와 연루된 것은 아닌지 의심하며 괴로워하는 다은의 심리에 초점을 맞춘다. 다은은 무엇보다 진실을 알고 싶다. 그런데 극구 부인하면서도 딸에 대한 사랑을 잃지 않는 아버지의 안타까운 눈빛과 범죄피의자 가족이 된 자신에게 쏟아지는 사회의 싸늘한 시선은 진실을 알고자하는 다은의 발목을 잡아끈다. 다은은 진실과 정의보다 가족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을까 혼란스러워 한다.

영화는 후반에 이르기까지 다은의 의심이 진실인지 아닌지, 또 다른 진실이 있는 건 아닌지 계속 의심하게 하며, 영화에서 반복되는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라는 경구처럼 끝까지 마음을 놓을 수 없는 긴장감을 유지한다. 특히 공소시효가 종료되는 순간 표변하는 인물의 표정과 곧이어 밀어닥치는 파국적인 결말은 매우 드라마틱하다. 그러나 의미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영화의 뒷심은 미약하다.



◆ 진전 없는 결말에 의미 없는 반전

<공범>은 유괴의 모티브를 통해 지금까지 자신이 믿어 왔던 아버지를 불신하게 된 젊은이의 갈등을 다룬다는 점에서 <화이>와 공통점을 지닌다. 그러나 <공범>은 <화이>처럼 화끈하게 뒤집고 파괴하는 분명한 결단을 보여주지 못한다. 물론 지금까지 맺어온 정에 이끌리고, 험한 세상에서 나를 지켜줄 버팀목인 아버지를 적대하고 단죄하는 것은 어렵다. 현실논리의 측면에서 보자면 <공범>의 망설임과 미온적인 선택이 훨씬 개연성 있고 공감된다. 그런 의미에서 <화이>의 결단은 현실적이기 보다 신화적인 것이다.

<공범>은 처음 제시한 질문, 즉 ‘내가 사랑하는 아버지가 범죄자인 것으로 의심되면, 어떻게 할 것인가’ 라는 질문을 두고 고뇌하는 주인공의 모습을 현실적으로 묘사한다. 그러나 단지 묘사에 그칠 뿐 그 이상의 본질적인 탐구는 없다. 즉 던져진 화두를 끝까지 밀고나가 윤리적 문제의식을 깊이 있게 파고들지 못한다. 그저 화두의 언저리를 맴돌다 간간이 문제의식을 지분거리며, 무기력한 제자리걸음을 반복할 뿐이다.



영화는 말미에 다은과 관객이 미처 알지 못한 또 다른 진실이 있다며 반전을 제시한다. 그러나 그 반전은 영화의 핵심적인 문제의식에 아무런 보탬이 되지 않는다. 반전은 마치 아버지의 행위가 다은과의 부녀관계를 지키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변명을 담고 있는 듯 보인다. 그러나 그렇게 인정하기도 어렵거니와, 설사 그 절박함을 인정한다 해도 영화가 품은 지리멸렬한 윤리적 문제의식이 달라지지도 않는다. 오히려 그는 왜 그토록 ‘다은의 아빠 되기’에 집착하였는지, 다은을 키움으로써 범죄와 손 떼며 새 삶을 살게 된 그가 어떻게 그런 행동을 저지를 수 있었는지 등 풀리지 않는 의문만 가중될 뿐이다.

어쩌면 반전은 다은이 지금까지 자신을 짓누르던 심리적 부담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살기 쉽게 도와주는 기능을 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렇게 보더라도 영화의 문제의식에 하등 도움이 되지 않는다. 어느 쪽으로 보든 반전은 불필요하며, 영화가 내내 골몰하던 화두를 슬쩍 다른 방향으로 틀어, 윤리적 문제의식을 진전시키지 못한 미완의 서사에 면피를 제공하고자 붙인 사족처럼 보인다.

그나마 영화가 던진 의미 있는 메시지를 꼽으라면, 아무것도 모르고 범죄에 연루되거나 가까운 이의 범죄 사실을 알면서도 묵인·방조·은폐하여 ‘공범’이 되는 일이, 만만치 않은 고통과 죄의식을 수반한다는 사실이다. 다은처럼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젊은이로 어렵게 시험에 합격하여 공무원이 되었지만, 뜻하지 않게 부정선거라는 추악한 범죄에 연루된 이들도 하루빨리 진실을 밝혀 ‘공범이 되는 고통’에서 벗어나길 바란다.

칼럼니스트 황진미 chingmee@naver.com

[사진=영화 <공범>]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