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근두근 내 인생’, 먹먹함이 설렘으로 바뀌는 순간

[엔터미디어=정덕현] (본문 중 영화 내용의 누설이 있습니다. 영화를 관람하실 분들은 참고 바랍니다.) 조로증에 걸려 몸은 이미 팔십 세 노인이 다 된 아름이의 나이는 열여섯 살. 공교롭게도 그의 부모인 대수(강동원)와 미라(송혜교)가 아름이를 갖게 된 나이도 열여섯이다. 열일곱에 낳았지만 그들이 만나 서로에게 두근대는 마음을 가졌던 건 열여섯. 이른바 우리가 흔히 이팔청춘이라고 말하는 나이다.

왜 하필 이팔청춘일까. 부모는 그 나이에 사랑을 했고, 한 번도 이성과의 사랑을 해본 적이 없는 아름이는 그 나이에 생을 마감한다. 바로 이 이팔청춘이라는 설정은 <두근두근 내 인생>이라는 영화에 중요한 메시지와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이팔청춘의 나이에 맞닥뜨리는 죽음이라니.

대개 병동에서 벌어지는 이야기, 그것도 아이가 먼저 저 세상으로 떠나는 이야기는 전형적인 신파 구조가 될 가능성이 높다. 마음만 먹는다면 영화는 관객들을 눈물 쏙 빼는 경험 속으로 몰아넣을 수 있다. 하지만 영화 <두근두근 내 인생>은 그런 선택을 하지 않는다. 이웃집 할아버지 장씨(백일섭)에게 조로증 소년이 “같이 늙어가는 처지잖아요”라고 말하듯이, 울기보다는 웃으려는 노력을 더 많이 보여준다.

어린 나이에 일찍 죽음을 실감하기 때문일까. 아름이는 어찌 보면 부모와 어르신들까지 오히려 다독이는 어른의 심성을 보여준다. 엄마가 일하는 것을 덜어드리기 위해 자신은 싫을 수 있는 방송을 선선히 하겠다고 나서는 아이다. 영 상태가 안 좋아져 언제 죽을 지도 모른다는 걸 스스럼없이 토로하는 아이에게 오히려 아이처럼 발끈하는 건 칠순의 이웃집 장씨다.

영화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갖고 있는 나이에 대한 선입견을 기분 좋은 훈훈함으로 깨버린다. 아직도 게임기에 집착하는 대수는 여전히 아이 같고, 그 앞에서 아름이는 부모 같은 모습을 보여준다. 이웃집 장씨에게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는 PD가 아름이가 어떤 아이인가를 묻자 “친구”라고 말하는 대목에서는 수십 년의 나이를 순식간에 훌쩍 뛰어넘는 뭉클함이 느껴진다.



하지만 아름이 앞에서 짐짓 아이인 척 구는 대수나 아무렇지도 않다는 듯 여전히 이팔청춘의 목소리로 대하는 미라나 모두 아이가 보이지 않는 곳에서는 참을 수 없는 눈물을 흘린다. 어쩔 수 없는 부모 마음으로 돌아가는 것. 하지만 이들이 아름이 앞에서 눈물을 숨기는 것은 신파 구조로 눈물샘을 더욱 자극시키기 위함이 아니다. 그것은 이 영화의 주제와도 맞닿아 있다. 다가오는 미래의 슬픔보다 더 중요한 건 지금 함께 하는 순간의 즐거운 기억들이다.

김애란 작가의 원작 소설을 바탕으로 하고 있어서인지 영화는 이야기가 가진 힘에 대해 역설한다. 나이 열여섯에 죽음을 맞이하든 아니면 팔십에 죽음을 맞이하든 결국 인간은 죽음을 피할 수 없다. 중요한 건 그 열여섯 이팔청춘에 가슴 설렘을 마음 한 구석에 품고 편안히 누울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대수와 미라가 처음 만나 사랑에 빠지는 장면은 그래서 마치 동화 같은 이야기로 재구성된다. 단 한 번도 이성과의 두근대는 사랑을 경험하지 못했던 아름이는 아마도 이야기를 통해 자신의 부모가 느꼈던 그 이팔청춘의 설렘을 처음으로 공유했을 지도 모른다. 이것은 소설 같은 이야기의 힘이기도 하다. 우리는 모두 사라져도 이야기는 영원히 남는다. 누군가의 기억 속에서.

결국 이 영화가 신파로 흐르지 않고 잔잔하게 우리네 삶을 얘기해줄 수 있었던 건 죽음이라는 피할 수 없는 상황을 눈물이 아닌 웃음의 기억으로 채워주려 했기 때문이다. 아마도 아름이의 기억 속에는 부모의 모습이 여전히 아이 같은 아빠 대수와 당찬 엄마 미라의 이팔청춘으로 남아있을 것이다. 그것만으로 충분하지 않은가. 죽음? 그게 대수인가. 당장 두근대는 가슴이 있는 한.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영화 <두근두근 내 인생>스틸컷]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