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담 뺑덕’, 제 아무리 정우성이 벗어도 안 통한 까닭

[엔터미디어=정덕현] 영화 <마담 뺑덕>은 ‘심청전’을 현대적인 치정멜로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심학규(정우성)는 성추행 루머 때문에 지방으로 내려왔다가 거기서 덕이(이솜)를 만나 위험한 사랑에 빠진다. ‘욕망에 눈 멀다, 집착에 눈 뜨다’라는 포스터 문구가 보여주듯이 심학규는 점점 욕망에 빠져들어 시력을 잃어가는 남자이고, 덕이는 집착에 눈을 떠 파괴적인 사랑을 하게 되는 여자다.

심학규의 설정이 소설가인데다 영화가 그의 내레이션으로 이야기를 전개해나가고 있어 영화는 다분히 문학적인 느낌을 준다. 하지만 그러한 문학적 표현이 너무 지나치게 인물의 심리 변화를 설명하고 있다는 것은 이 작품의 치명적인 오류다. 만남에서부터 갑자기 눈이 맞아 버리는 심학규와 덕이의 이야기에는 치밀한 심리 묘사가 빠져 있다. 그래서일까. 인물들은 살아서 움직인다기보다는 마치 감독이 정해놓은 길 위에서 역할 연기를 하는 것처럼 관객에게 몰입감을 주지 못한다.

그저 내레이션이 ‘욕망에 빠졌다’고 말하는 것으로 인물은 욕망에 빠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그것이 관객으로 하여금 심학규나 덕이의 심정에 똑같이 동화되게 하지는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다 보니 영화는 자연스럽게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 마치 ‘심청전’이라는 고전이 정해놓은 길을 억지로 따라가는 듯한 느낌을 만든다. 갑자기 심학규의 아내가 죽고, 갑자기 그가 눈을 멀어가고, 갑자기 그의 딸이 팔려가는 상황들은 만일 ‘심청전’이라는 텍스트를 우리가 모른다면 지극히 인위적이라고 여겨질 수밖에 없다.

즉 <마담 뺑덕>은 ‘심청전’이라는 텍스트를 가져오긴 했지만 완전한 재해석이라기보다는 마치 텍스트를 이용하는 듯한 결과물을 만들었다. 이것은 굳이 <마담 뺑덕>이라는 제목을 내세워 현대적인 재해석을 하고는 있지만 그 새로운 주제의식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는 것도 한 몫을 차지한다. ‘춘향전’을 방자의 시선으로 재해석해낸 영화 <방자전>을 떠올려보라. 거기에는 방자의 시선이 갖는 서민적인 시각이 현재의 관객들로 하여금 그 재해석에 고개를 끄덕이게 만든다. 반면 <마담 뺑덕>은 그저 치정극에 머물렀을 뿐, 현대적 의미를 되살리지는 못하고 있다.



게다가 이 영화는 전반부의 정조와 후반부의 정조가 너무나 다르다. 전반부의 학규와 덕이의 빗나간 사랑은 무언가 벌어질 듯한 기대감을 한껏 만들어내지만 후반부는 급격히 이야기를 전개시키고 미진하게 마무리한 느낌마저 준다. 그러니 영화를 보고 나온 관객들의 잔상에 남는 것은 어떤 정조나 정서가 아니라 정우성과 이솜의 벗은 몸뿐이다. 그것이 어떤 아련함이나 아픔, 강렬함으로 여운을 주지 못했다는 것이다.

한동안 <색계> 같은 작품이 성공하면서 중년 관객들을 대상으로 한 노출 수위가 높은 작품들이 자주 상영되곤 했다. 송승헌이 노출연기를 선보인 <인간중독>은 물론 그 하려는 이야기는 달라도 <색계>를 다분히 염두에 둔 작품임에 분명하다. 하지만 이들 작품이 노출 수위가 높다고 하더라도 관객들이 바로 그것 하나 때문에 영화관을 찾았던 것은 아니다. 거기에는 노출만 있는 것이 아니라, 중년들에게 걸맞는 사랑과 사회에 대한 작가의 수준 높은 시각이 들어 있었다.

하지만 <마담 뺑덕>은 ‘심청전’이라는 텍스트를 끌고 와 그저 노출을 위해 활용하고 있는 듯한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물론 노출만이 이 작품의 목적이라고 말하긴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그 노출 이외에 그다지 남지 않는 메시지나 여운은 이 작품의 목적이 결국 그런 자극에 있었던 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만들어낸다. 하지만 어디 관객들이 그리 단순할까. 영화가 무언가를 전해주지 못한다면 제 아무리 정우성이 벗어도 안 된다는 걸 <마담 뺑덕>은 보여주고 있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영화 <마담 뺑덕>스틸컷]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