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참 웃다가 먹먹해지고 아련해지는 ‘장수상회’

[엔터미디어=정덕현] tvN 예능 <꽃보다 할배>에서 박근형은 여전히 정력적인 청년의 모습이다. 하지만 영화 <장수상회>에서 그가 연기하는 성칠은 이름에 걸맞게 성질머리 고약하고 고집 센 노인네다. <꽃보다 누나>에서 윤여정은 세련되고 섬세한 여배우의 모습이었다. 하지만 영화 <장수상회>에서 그녀가 연기하는 금님은 나이 들었지만 여전히 소녀 같은 가녀린 여성이다.

꽃할배와 꽃누나의 만남은 의외로 가슴 설레는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고약하고 고집 센 노인네였던 성칠이 금님에게 잘 보이기 위해 이런 저런 노력을 하는 모습은 마치 이제 첫사랑에 빠진 청춘을 보는 듯하다. 하지만 어딘지 금님이라는 인물은 수상하다. 마침 재개발을 추진하는 마을에서 유일한 반대자인 성칠의 마음을 되돌리려 일부러 접근한 인물처럼 보인다.

이러한 수상함은 영화가 중반 이후로 넘어가면서 반전을 예고한다. 그 반전의 이야기는 <장수상회>가 단순한 노년의 사랑을 다루는 것처럼 보이던 이야기를 아버지라는 존재에 대한 이야기로 확장시킨다. 여기서 남녀 간의 사랑의 이야기는 가족 간의 사랑의 이야기로 나아가 사람이라면 마땅히 가질 수밖에 없는 사람에 대한 사랑의 이야기로 커져간다.

<장수상회>의 아버지 성칠은 어느새 짐이 되어버린 우리 시대의 아버지들을 떠올리게 한다. 혼자 살기 때문에 자신이 죽으면 장례를 지내달라며 통장과 비밀번호를 적어 놓은 성칠의 봉투를 발견하고 금님이 “미안하다”며 오열하는 장면은 은근슬쩍 숨겨두었던 아버지에 대한 부채감을 끌어낸다. 아마도 그 장면을 보며 뭉클해졌다면 그것은 우리 시대의 아버지들이 표현은 하지 않아도 그처럼 외로웠을 거라는 걸 금님처럼 똑같이 느꼈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이 짐처럼 취급되어온 아버지에 대한 각성은 영화 속의 공간들을 다시금 돌아보게 만든다. 한 때는 논밭이었던 땅이 도시가 되고 그 도시의 한 구석에 장수상회가 세워진다. 그 장수상회는 다시 장수마트가 된다. 그리고 마을 사람들은 재개발을 꿈꾼다. 과거는 그렇게 조금씩 지워지고 사라져간다. 성칠이 그토록 재개발을 반대했던 것은 그저 성질 고약한 노인네의 고집에 불과했던 게 아니다. 사라져 가는 것들을 끝까지 한 자락이나마 쥐고 있고 싶은 그 간절함이 거기에는 묻어난다.



죽어가는 것. 사라져가는 것을 보는 일은 슬픈 일이다. 그럼에도 오로지 남아있는 자식들만을 생각하는 건 아버지들의 인지상정이다. “자식은 부모 가슴 한 켠에 묵직하게 자리 잡은 돌덩이와 같다”는 말은 이런 아버지들이 표현하지 않는 속내를 잘 드러낸다. 하지만 그럼에도 이 슬픔을 이겨낼 수 있는 건 결국 사랑이다.

“우리 둘 중에 누가 먼저 죽든 울지 맙시다. 어차피 잠깐 떨어져 있는 거니까.” 성당에서 성칠이 금님에게 하는 이 말 속에는 사랑만이 가능하게 하는 불멸의 가능성이 담겨있다. 모든 것은 사라져가지만 누군가의 기억 속에서 그들은 여전히 살아있을 것이다. 금님과 성칠이 서로의 이름을 건네던 그 설레던 첫 만남의 기억이 영원히 남아있는 한.

삶은 희극처럼 경쾌해 보이지만 그 이면을 들여다보면 비극처럼 묵직해진다. <장수상회>는 그래서 코미디의 발랄함과 동시에 휴먼드라마의 진지함을 동시에 보여준다. 물론 드라마틱한 장치들을 하기 위해 조금은 작위성이 들어가 있지만 그래도 그것이 우리 시대의 아버지들을 다시 한 번 돌아보게 만드는 효과를 내고 있다는 건 분명한 사실이다. 어찌 보면 뻔한 노년의 사랑이야기처럼 보이지만 영화는 거기에 멈추지 않는다. 한참 웃다가 먹먹해지고 아련해지는 그런 영화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영화 <장수상회>스틸컷]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