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랍도록 신선한 ‘마리텔’, 아직 축배를 들긴 이르다

[엔터미디어=김교석의 어쩌다 네가] 설특집 파일럿으로 등장한 <마이 리틀 텔레비전>은 두 눈을 번쩍 뜨이게 했다. 제도권 방송으로는 거의 최초로 시도하는 기획이자, JTBC나 CJ계열 케이블 채널들처럼 젊은 연령대의 특정 정서를 가진 시청자들을 타깃으로 삼은 공중파 예능의 반격이자 도전이었다. 1인 TV 방송의 인기와 소통의 중요성을 모르는 사람은 없었지만 이를 예능화한 실행력이 놀라웠다. 기존 레시피 프로그램의 구도 위에 몇 가지 터치를 더해 새롭고 신선한 예능으로 탄생한 <냉장고를 부탁해>처럼 발상의 전환이 전혀 만나보지 못했던 새로운 그림과 재미를 느끼게 했다.

본방송을 하기 2주 전에 인터넷 실시간 방송이 진행되면서 인터넷 여론은 또다시 들끓었다. 김구라와 허구라(허구연)의 만남은 화제가 됐고, 남자는 요리사 여자는 모델겸 트레이너라는 요즘 대세의 법칙은 그대로 이어졌다. 파일럿 우승자인 백종원은 여전히 ‘슈거’처럼 달콤했고, 예정화는 실시간 검색어에 상주했다. 경험이 쌓이면서 파일럿 때보다 콘텐츠 수준이 높아졌다는 것이 중론이었다.

그런데 정규 편성되고 맞이한 본방송은 생각만큼 뜨겁지 않았다. 밤 11시에다가 중년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한 <세바퀴>자리에 들어간 것도 감안하고, 시청률로 재단할 수 없는 화제성도 참고해야 하겠지만 마니악한 정서가 <세바퀴>의 광고판매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는 두고 봐야 할 것 같다. 아무리 화제성이 높더라도 시청률이 받쳐주지 않으면 높은 상품 가치를 받기 어렵기 때문이다. ‘우리끼리’를 넘어서 더 많은 사람들에게 다가가기 위한 고민이 칭찬과 격려와 함께 필요해 보인다.



미진한 느낌의 근원은 아무래도 너무 높았던 기대감에 기인한다. 파일럿 이상의 재미와 신선함을 기대했지만 정작 첫 방송은 무게 중심을 너무 다음 주에 두고 몸을 풀다 끝난 느낌이었다. 파일럿 당시의 신선한 충격은 물론, 2주전 인터넷 실시간 방송 당시 부흥의 현장을 본방송으로 옮겨 담지 못한 것이다. 이 방송이 어떤 프로그램인지 알고 초아의 캐릭터와 백종원의 요리를 아는 시청자들은 아쉽지만 반가움에 만족하며 다음 주를 기대할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방송을 처음 접하는 시청자들은 아무도 제대로 몸을 풀지 않고 끝난 이 프로그램에 어떤 재미가 있는지 알아차리기 힘들어 보인다. 최근 공중파에서 시도한 가장 신선한 예능임은 인정하지만 그것만으로 호객을 할 수는 없다.

방송은 보안을 생명으로 하지만 이 프로그램은 생리상 어쩔 수 없이 방송분이 모두에게 공개된다. 이것을 재가공해서 2주 분의 예능으로 만드는 것이 <마리텔>이다. 그러다보니 본방송에서는 인터넷 방송에서 보여주는 것 이상의 다른 이야기를 필요로 하고 인터넷 방송을 보지 않은 대다수 시청자들의 관심을 살만한 재미거리들을 발췌해서 부각해야 한다. 그런데 편집상의 무게 중심을 지금처럼 후반에 두고 2주 편성으로 나눈다면, 재미의 함량은 널뛰기할 수밖에 없다. 요즘 시청자들이 그 빈틈을 견딜 수 있을지 의문이다.

사실, 이러한 즉각적인 반응이 <마리텔>의 존재를 가능하게 하는 실시간 인터넷 방송의 생리다. 실증과 재미를 느끼는 반응과 속도가 실시간 수치로 나타나는 게 1인 인터넷 방송의 묘미다.



역시나 한 발 앞서는 제작진은 방송만의 또 다른 콘텐츠를 위해 요즘 인터넷 환경에 익숙한 센스를 바탕으로 채팅창을 발췌하고 자막을 활용하고, 왕중왕 전의 도입 등 장기 스토리 마련에 나섰다. 본방송만의 재미를 구축하려는 것이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인터넷 방송을 보는 사람들의 심리와 관심을 본 방송에도 옮겨오는 것이다. 실시간 인터넷 방송의 호흡을 2주 분량의 예능으로 만들면서 이번 주 방송에서는 백주부의 고급진 레시피, 김구라와 허구라의 만담, 초아의 매력, 예정화의 캐릭터 등 그 어떤 것도 볼 수 없었다. 끊임없는 소통과 당황스런 상황 속에서 출연자의 인간적 매력이 드러나는 게 포인트였는데, 이번 주는 그런 단계까지 나아가지 않았다.

“집에서 만들 수 있을 것 같잖아, 샌드위치.” 초아를 응원하는 AOA 멤버의 이 말에는 이 방송에 대한 모든 것이 함축되어 있다. 그 어떤 방송과도 다른 신선한 외투를 입고 있고, 인터넷 방송과 결부한 새로운 기술적 도전도 돋보이지만 결국 콘텐츠가 지향해야 할 부분은 바로 시청자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재미란 무엇인가라는 점이다. 소통이란 게 채팅창을 읽어주는 것만 뜻하지 않는다. 이 놀랍도록 신선한 기획이 쉽사리 식상해지지 않기 위해서 인터넷이 아닌 방송 시청자들과도 ‘매주’ 소통할 수 있도록 적절한 콘텐츠 분배가 필요해 보인다.

칼럼니스트 김교석 mcwivern@naver.com

[사진=M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