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살’, 최동훈 감독에게 아쉬운 딱 한 가지

[엔터미디어=듀나의 영화낙서판] (본문 중 영화 내용의 누설이 있습니다. 영화를 관람하실 분들은 참고 바랍니다.) 이번 칼럼의 주제는 ‘최동훈의 유리천장’이 되겠다. 그리고 그의 최근작 <암살>의 스포일러가 있다.

최동훈은 <범죄의 재구성> 이후 감독한 그의 작품에 최소한 한 명의 이상의 흥미로운 여성 캐릭터를 넣어왔다. 그 중 일부는 공식적인 남자 주인공보다 유명하다(대부분 사람들은 <타짜>하면 주인공 고니(조승우)보다 ‘이대 나온 여자’인 정마담(김혜수)을 먼저 떠올릴 것이다.) 김혜수, 전지현, 염정아, 김해숙과 같은 배우들은 최동훈의 영화에 출연하면서 얻은 게 많다. 이 정도면 황폐하기 짝이 없는 충무로 여성 캐릭터의 마당에서 최동훈 감독의 업적은 상당하다.

얼마 전에 개봉한 <암살>은 최동훈 영화 중에서도 여성 캐릭터의 비중이 높은 작품이다. 이전까지는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주인공이 일단 남자였고 여자들은 상대역이거나 적수거나 동료였는데, 전지현이 연기하는 안옥윤은 이 정도면 당당한 주인공이라도 해도 이상하지 않다. 암살 작전을 이끄는 주인공이고, 저격수이고, 배배 꼬인 멜로드라마의 주인공이기도 하니 아쉬울 게 뭐가 있으랴. 이 영화는 올해 개봉한 한국 영화 중 최고 히트작이 될 가능성이 높은데 그 영화가 이렇게 비중 높은 여자주인공을 갖고 있다면 그 의미는 상당히 크다.

그런데 보면 자꾸 아쉽다는 생각이 든다. 이 영화의 주인공은 안옥윤이고 마지막 장면을 지배하는 것도 안옥윤이고 다 안옥윤 이야기인데 무언가가 빠진 것 같다. 클라이막스 장면을 보라. 안옥윤은 친일파 강인국을 죽이기 직전이다. 그런데 망설이는 안옥윤을 대신 해서 총을 쏘는 건 하정우가 연기하는 하와이 피스톨이다. 강인국이 안옥윤의 친아빠임이 밝혀졌으니 이유는 이해가 간다. 하지만 엄마의 원수이고 동생의 원수인데 그 정도 일도 집안에서 해결 못하나? 그 뒤로도 안옥윤은 갑자기 활력을 잃어버린 것처럼 수동적이 되는데, 탈출하는 장면에선 그냥 몽유병에 걸린 것 같다. 그리고 그 직후에 비장한 액션으로 클라이맥스를 마무리 짓는 것은 하와이 피스톨이다. 안옥윤은 뒤에 다시 나와 이야기를 마무리 짓지만 이 영화의 에필로그는 여러 면에서 그냥 사족이라 잃어버린 힘을 완전히 되찾지는 못한다.



여기서 강한 데자뷰가 느껴진다. 최동훈의 이전 영화에도 비중있는 여성 캐릭터들이 갑자기 생기를 잃고 주저앉는 장면들이 나온다. 한 번이면 이해할 수 있다. 내용에 맞다면 그것도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그 패턴이 한 번, 두 번, 세 번, 네 번 반복되면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다.

이유는 모두가 안다. 지금까지 나온 최동훈의 거의 모든 영화는 최동훈표 안티히어로가 주인공이다. 아무리 여성 캐릭터가 강하더라도 결국 그 최동훈표 주인공에게 자리를 양보해야 한다. 그 중 <도둑들>은 그 경향이 좀 심한 편이다. 원수도 갚고 돈도 챙긴 최동훈표 주인공이 동료들의 몫까지 훔치면서 끝나는 장면에서는 많이 치사하다는 생각이 안 들던가? 그는 지나칠 정도로 자신의 남자주인공에게 관대하다. 그리고 그런 관대함을 표출하기 위해서는 주변의 여성 캐릭터가 희생되게 된다. 하지만 그가 그 직전까지 그 여성 캐릭터들을 위해 쌓아놓은 것이 많기 때문에 그 부분에선 갑자기 캐릭터의 뒤통수를 치는 것처럼 보인다.

‘유리천장’이라는 표현이 등장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최동훈의 영화 대부분은 앙상블 위주이며 여성 캐릭터의 비중이 크다. 당연히 평등한 경쟁의 판타지가 있다. 그리고 그 판타지는 영화의 결말에서 늘 깨지고 만다. 여성 캐릭터가 더 이상 올라갈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하는 것이다.



<암살>은 심지어 여자주인공이 클라이맥스를 남자조연에게 빼앗기는 영화라 더 신경이 쓰인다. 개인적인 감상을 말하라면 나는 하와이 피스톨이 6,70년대 일제시대 배경 액션물의 전통을 생산적으로 계승한 좋은 캐릭터라고 생각하고 이야기와의 어울림도 만족스럽다고 본다. 하지만 이제는 조연인 최동훈 안티히어로가 굳이 그럴 필요가 없는데도 갑자기 튀어나와 전지현이 맡은 원톱 주연 자리를 요구하는 장면은 여전히 몹시 신경이 쓰인다. 같은 이야기를 하더라도 굳이 안옥윤의 생기를 빼앗을 필요가 없었으니 더욱 그렇다. 아, 왜 그 10분을 못 참나?

<암살>에서 최동훈의 유리천장은 거의 조명등에 닿을 정도까지 올라갔다. 하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남아있는 것이다. 바로 위에 진짜 천장이 있는데 거기에 닿지 못하니 갑갑하기 짝이 없다. 그의 다음 영화에서 이 천장이 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을까?

칼럼니스트 듀나 djuna01@empas.com

[사진=영화 <암살>스틸컷]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