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시세끼’, 이 보통의 1년이 남긴 특별함이란

[엔터미디어=정덕현] <삼시세끼> 1년 간 어떤 변화들이 있었을까. 이서진은 처음 모습 그대로 툴툴거리며 “요리는 역시 인스턴트야”라고 말한다. 그러면서도 그의 표정은 즐거움이 가득하고 손은 누가 시키지 않아도 재게도 움직인다. 옥택연은 여전히 어딘가 조금은 어색한 음식을 하며 “정통은 아니다”라고 말한다. 하지만 꽤 그럴싸해졌다. 중간에 합류한 김광규는 애써 갖가지 양념을 들이부어 꽤 먹을 만한 겉절이를 내놓는다.

여전히 툴툴대고 어딘지 정통은 아닌 듯 별다를 바 없는 밥상을 보여주며, “직접 키워 해먹는다는 건 하지 말아야할 일”이라고 얘기하면서도 그들의 얼굴에는 어떤 보람 같은 것들이 느껴진다. 나영석 PD 역시 1년 간 삼시세끼 해먹으면서 그 의미가 ‘사 먹으라’고 결론 내주어서 고맙다고 비아냥대면서도 그리 싫지만은 않은 모습이다.

그렇다. 달라진 건 별로 없어 보인다. 여전히 옥순봉 아래 집이 덩그라니 한 채 서 있고 그 모두가 떠난 자리에 이서진과 옥택연이 서 있다. 하지만 그 별다를 것 없다는 그들의 이야기와는 달리 그 안에는 어마어마한 일들이 있었다. 아무 것도 없던 하트 밭에 옥수수들이 가득 자랐고 거기서 수확한 옥수수들은 그들은 한 때나마 흥청망청 고기 부호 놀이를 하게 해주기도 했다.

옥택연과 박신혜가 심었던 야채들은 무성하게 자라 그 열매들을 내주었다. 잭슨과 밍키는 어느새 엄마가 되어 2세들과 새로운 가족을 이루었고 꿀벌들은 옥순봉 사람들을 위해 야생화들에서 꿀을 애써 날랐다. 처음 낯설었던 시골살이는 이제 뭐든 척척 해내는 익숙함으로 다가왔다. 여전히 도시의 삶이 좋다고는 하지만 이서진은 이 시골 삶 역시 꽤 즐거운 기억으로 남았을 것이다.



무엇보다 그 곳을 찾았던 무수히 많은 게스트들에게 줄 수확한 작물들을 챙기자 그들과의 추억들이 방울방울 피어올랐다. 김치를 담그며 이서진의 보조개를 패이게 했던 ‘담그지우’, 망친 감자옹심이 때문에 속상해했던 김하늘과 버럭 셰프의 면모를 보여줬던 이선균, 늘 부지런한 보조로 묵묵히 일만 했던 손호준, 마치 형제처럼 읍내를 활보했던 지성 등등. 그들의 면면들이 그 아무 것도 일어나지 않은 것만 같은 옥순봉 세끼 집에는 여기저기 서려 있었다.

박신혜로 시작해서 박신혜로 끝내는 그 수미쌍관을 <삼시세끼> 시즌2가 굳이 선택했던 건 그 처음과 끝의 변화가 얼마나 다른가를 보여주기 위함이었을 것이다. 어느새 박신혜는 게스트가 아니라 ‘신혜렐라’가 되어 갖가지 맛있는 음식들을 척척 맛보게 해주는 그런 존재가 되어 있었다. 그녀가 부여한 밝은 에너지가 너무나 컸기 때문일까. 그녀가 떠난 자리에는 커다란 허전함이 남았다.



아마도 이 박신혜의 빈자리에서 느껴지는 허전함은 <삼시세끼>라는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들의 소회 그대로일 것이다. 한바탕 왁자했던 한 여름의 그 즐거웠던 기억들을 이제는 정리하는 시간이다. 그들이 애써 달라진 건 없다고 말하는 것 역시 그 아쉬움을 숨기기 위함이 아닐까.

실제로 달라진 건 없을 것이다. 내년에도 다시 씨앗은 뿌려지고 작물은 자라고 텅 비었던 그 곳에 사람들의 왁자한 목소리들이 들려올 것이다. 그리고 어느 시간이 되면 그들은 아쉽게도 헤어져야 한다.

하지만 <삼시세끼>의 1년 간을 들여다보면서 이 보통의 일들이 이제는 대단히 특별한 일들로 다가온다. 매일 매일 반복되는 그 일상이 주는 특별함. 시간의 더깨가 쌓이면서 생겨나는 기적 같은 순간으로 남은 추억들. <삼시세끼>가 보여준 보통의 1년은 어느새 특별한 시간으로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다. 별다를 것 없이 흘러가는 듯 보이는 우리네 삶이 그렇듯이.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