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룡이 나르샤’ 유아인, 연기의 잔트가르가 되어가는 중

[엔터미디어=정덕현] 이른바 유아인 전성시대다. JTBC 드라마 <밀회>에서 순수 청년 선재로 그 잠재력을 서서히 드러내더니 영화 <베테랑>에서는 완전 정반대의 공분을 자극하는 악역으로의 변신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더 흥미로운 건 사극 속에서의 유아인이다. 영화 <사도>에서 그가 연기한 사도세자를 떠올려보라. 이토록 슬픈 아들의 처지를 온몸으로 보여줬던 사도세자가 있었나 싶다. 관 뚜껑을 열고 뛰쳐나오는 광기에서부터 머리를 돌바닥에 짓찧으며 피눈물을 흘리는 장면까지 유아인의 사도세자는 확실히 선연한 느낌으로 관객들에게 남았다.

그리고 SBS 드라마 <육룡이 나르샤>의 유아인이다. 그가 연기하는 이방원이란 인물은 워낙 드라마틱한 삶을 살았기 때문인지 여러 차례 사극의 주인공으로 등장한 바 있다. 그 대표적인 작품이 <용의 눈물>이다. 하지만 <용의 눈물>이 좀 더 개인적 관계와 정치적 입장 사이에서 갈등하는 이방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육룡이 나르샤>는 여말선초 혼돈의 시기에 고려를 끝장내고 조선을 세워가는 그 대업의 과정에서 이방원이 하는 역할에 더 맞춰져 있다.

유아인이 연기하는 젊은 이방인은 그래서인지 훨씬 더 다채로운 면을 보여준다. 즉 완성형의 이방원이 아니라 차츰 성장해가며 단단해지는 이방원의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에게 남아있는 근원적인 아픔은 힘이 있어도 정치력이 부족해 이인겸(최종원) 같은 인물 앞에 무릎을 꿇는 아버지 이성계(천호진)를 봤던 기억이다. 그 기억은 아마도 이 어린 이방원에게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필요한 것이 정치력이라는 걸 실감하게 했을 것이다.

그래서일까. 아버지가 더 이상 잔트가르가 아니라는 걸 확인하고는 그의 앞에 나타난 새로운 잔트가르로 그는 정도전(김명민)을 꼽는다. 힘만이 아니라 판세를 읽어내고 또 그 판을 짜고 실제로 실행에도 옮기는 인물. 어느 덧 청년으로 성장한 이방원은 그래서 <육룡이 나르샤>에서 유일하게 정도전이 짜는 판에 변수를 만드는 인물이다. 정도전은 그래서 이방원을 ‘폭두(어디로 튈지 알 수 없는 콩)’라고 일컫지만 바로 그 점은 훗날 정도전도 어쩔 수 없는 이방원이란 존재의 탄생을 예고하기도 한다.



홍인방(전노민)의 협박에 거의 넘어갈 뻔한 해동갑족을 화약통을 들고 들어가 설득시키는 이방원의 모습은 칼보다 무서운 세치 혀의 정치력으로서 그의 존재를 새롭게 세운다. 이방원은 어느새 잔트가르를 좇던 소년이 아니라 그 스스로가 잔트가르가 되어가고 있다. 그가 위기에 대처하는 기상천외한 방식들은 정도전 말대로 ‘폭두’같은 느낌을 주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적에게도 효과적이다.

여기서 이방원이 가진 여러 모습들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그는 일단 일을 저지름으로써 조선 건국을 주도하는 통쾌한 캐릭터지만 또한 정도전의 걱정처럼 어딘가 무서운 면을 내포하고 있는 인물이기도 하다. 고문을 당할 때는 스스로에게 지지 말라고 다짐하는 것처럼 유약한 듯 강인한 모습을 보여주고, 또 어떤 정치적인 행보를 보일 때는 모두를 압도시키는 카리스마를 갖췄지만 동시에 분이(신세경) 앞에서는 솔직하게 연정을 드러내는 그 나이대의 소년 같은 얼굴을 보여준다.

쉬워보여도 이건 결코 쉬운 연기는 아닐 것이다. 일면을 드러내는 캐릭터는 오히려 쉽다. 그만큼 전형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육룡이 나르샤>에서 폭두라고까지 불리는 이방원이라는 캐릭터는 전형성을 깨는 인물이다. 어떤 쪽으로 튈지 알 수 없는 다양한 면들을 자연스럽게 드러냄으로써 그것이 오히려 어떤 두려움을 만들어내는 존재. 실로 유아인이라는 배우가 왜 지금 대세인지를 확인하게 하는 캐릭터가 아닐 수 없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S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