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리화가’ 배수지에게서 심청이와 춘향이가 보인 이유

[엔터미디어=정덕현의 그래서 우리는] 이제 아이돌 그룹의 수지라는 호칭보다는 연기자 배수지라는 이름이 더 어울릴 듯싶다. 영화 <건축학개론>으로 얻은 국민첫사랑 수지는 이제 <도리화가>를 통해 연기자 배수지로 기억되지 않을까. 극중 배수지가 연기한 채선이 신재효(류승룡)의 ‘쑥대머리’를 들으며 “아프고 슬프고 아름답다”고 표현했던 것처럼 영화 <도리화가>의 배수지는 아프고 슬프고 아름답다.

그것은 그녀의 외모를 말하는 게 아니다. 그녀가 하고 있는 연기가 그렇다는 거다. 어찌 보면 배수지 본인이 아이돌로서 그 연습생 시절 겪었던 일들이 채선이라는 인물을 통해 제대로 접신하고 있는 느낌이다. <도리화가>라는 작품이 아프고 슬프고 아름답게 여겨지는 데는 연기자 배수지와 극중 인물 채선이 시대를 한참 뛰어넘어 같은 예인으로서 주고받는 공감대가 깔려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극중 인물인 채선은 슬픔을 잉태하고 자라난 인물. 아비는 어린 시절 처자식을 버리고 떠나버렸고, 어미는 가난 속에서 죽어가는 자신을 알고선 딸을 기방에 맡기고 먼저 떠나버렸다. 그러니 어느 날 저잣거리에서 듣게 된 심청가의 애끓는 한 자락이 제 맘 같이 여겨질 수밖에 없었을 게다. 그걸 보며 한없이 눈물을 흘리는 어린 채선에게 신재효 선생이 다가가 던진 말, “그래 맘껏 울거라. 그러다보면 웃게 될 것이다”라는 그 말은 판소리가 가진 사람의 마음을 휘어잡는 그 힘이 어디서 나오는가를 잘 말해준다. 한을 뛰어넘으면 거기 남는 게 예술이 아닌가.

조선 말기 대원군이 집권하던 시기, 여성들은 결코 오를 수 없었던 그 판소리 무대에 당당히 올라 개방을 반대하던 대원군 앞에서 펼친 낙성연(1867년 흥선대원군이 전국의 소리꾼들을 위해 열었던 경연)으로 조선 최초의 여성 소리꾼이 된 진채선이라는 실존인물의 이야기다. 그녀가 심청가와 춘향전을 통해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었던 그 힘은 아마도 그녀 스스로가 심청이 되기도 하고 춘향이 되기도 했던 삶 그 자체에서 나온 것이 아닐까. 그것이 바로 이 작품에서 자주 등장하는 너름새(연기)의 핵심이다.



진채선은 판에 올라 심청과 춘향을 연기하고, 배수지는 그런 진채선을 연기한다. 그리고 그 진채선과 배수지는 직업적으로 노래하고 연기하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이 기묘한 어우러짐은 그래서 한참 영화를 보다보면 배수지에게서 심지어 심청과 춘향이 보이기도 하는 그런 몰입감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판소리라는 소재가 떠올리는 것은 저 <서편제>의 분위기지만 <도리화가>는 그렇게 한의 정서를 처절하게 담으려 하지는 않는다. 그것보다는 오히려 판소리 경연에 대한 현대적인 해석을 시도하고, 대신 유려하고도 아름다운 영상으로 그 정조를 담아내는 연출을 택하고 있다. 그래서인지 경복궁에서 펼치는 낙성연은 마치 지금의 오디션 프로그램의 한 장면을 보는 것처럼 다이내믹하다. 또 눈발을 헤치고 나아가는 채선의 영상은 이 영화의 정조가 되고 있는 아프고 슬프고 아름다운 장면으로 기억된다.

무엇보다 그 중심에 배수지라는 예사롭지 않은 잠재력의 배우가 있다. 사실 <건축학개론>에서 그녀가 한 것은 연기라기보다는 그 자신을 그대로 드러내는 일이 아니었을까. 하지만 <도리화가>에서 배수지는 확실히 자신 속에 내재되어 있는 연기 잠재력을 살짝 끄집어내 보여준다. 이것이 가능했던 건 저 진채선이라는 인물이 가진 힘일 것이다. 어쩌면 관객들은 그녀의 연기에 한없이 몰입되어 눈물을 흘리다 어느 순간 웃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지도 모른다. 저 극중의 어린 채선이 그랬듯이. 또 배수지라는 연기자가 <도리화가>라는 작품을 통해 경험했을.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영화 <도리화가>스틸컷]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