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유산’이 서민들의 눈높이로 다가온 까닭

[엔터미디어=정덕현] MBC <위대한 유산>이라는 예능 프로그램의 제목이 우리에게 먼저 상기시키는 건 안타깝게도 찰스 디킨스의 소설 같은 것이 아니다. 사회가 워낙 금수저 흙수저 같은 암담한 이야기들로 가득하다 보니 이 ‘위대한 유산’이라는 제목도 꼭 그런 이야기마냥 들린다. 하지만 적어도 <위대한 유산>에 있어서 금수저 따위의 우려는 접어도 좋을 듯하다. 이 예능이 비추고 있는 세계는 우리네 서민들이 살아가는 공간에서 크게 벗어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부산 영도의 강지섭의 부모님이 무려 43년 간이나 운영하고 있다는 중국집은 우리가 흔히 지나치곤 하는 그런 중국집과 별 다를 바 없다. 아니 어찌 보면 도시에서 점점 기업화되고 있는 중국 레스토랑과는 전혀 다른 변두리의 소박하고도 정감 가는 동네 중국집이다. 어느 대기업 2세가 어울릴 법한 강지섭이라는 배우와는 어딘지 어울리지 않아 보이지만 그가 그 중국집 문을 열고 들어가 어색한 아버지와 마주 앉는 순간, 순박하기 이를 데 없는 부산 사투리가 튀어나온다.

오래도록 사용해서 바닥이 검게 그을려버린 전기장판에 앉아 서울에서 찾아온 아들을 보는 부모의 얼굴은 무심한 듯 반가움이 역력하다. 하지만 강지섭이 이 곳에 온 이유는 아버지의 유산(?)을 물려받기 위함이다. 그 유산이란 다름 아닌 중국집에서 한 평생 요리를 해 오신 아버지의 그 요리 노하우다. 철가방 들고 동네 배달을 나가 아주머니들과 한바탕 어우러지고, 늦게 돌아온 아들에게 지청구를 날리며 중국집의 노하우를 알려주는 아버지의 모습. 아마도 이 이야기 속에서 강지섭은 요리 기술을 넘어선 삶의 노하우가 아닐까.

걸 그룹 AOA의 찬미 하면 먼저 떠올리는 것이 화려한 무대지만, 그녀가 찾아간 곳은 다름 아닌 엄마의 작은 미용실. 그 작은 미용실에서 엄마는 찬미를 언니와 동생과 함께 홀로 오롯이 키워냈다. 그 미용기술을 배우러 온 찬미에게 엄마는 대뜸 단골손님의 머리를 맡기고는 가위질을 해보라고 시킨다. 어렵게 기술을 배웠던 자신과는 달리 좀 더 빨리 그 노하우를 전수해주고픈 엄마의 마음과, 서툴러도 열심히 해보려는 딸의 마음 게다가 불안해하면서도 정이 넘치는 단골손님의 마음까지 그 안에는 우리가 도시에서 잘 느끼지 못하는 따뜻함이 묻어난다.



강지섭이 중국집 노하우를 배우기 위함이 아버지를 이해하고 그 진정한 유산이 무엇인가를 직접 체험을 통해 알아보려 하는 것인 것처럼, 찬미 역시 그 미용기술 전수를 통해 알려하는 건 그 어려운 현실 속에서도 자신은 돌보지 않고 쉬지 않고 가위질을 하면서 세 딸을 잘 키워낸 엄마가 전하는 진짜 유산일 것이다. 하루 일과가 끝나고 술 한 잔을 기울이며 이제 잘 큰 딸이 엄마를 이해하는 그 마음을 내비칠 때 그토록 단단해 보이던 엄마가 눈물을 흘리는 장면은 이 프로그램이 전하려는 유산이 돈으로는 환산할 수 없는 삶의 가치라는 걸 드러낸다.

동명의 찰스 디킨스의 소설이 본래 전하려는 유산이란 바로 그런 것이었을 게다. 하지만 너무나 물질화된 세상에 살다보니 유산이란 분쟁의 주역으로 떠오르는 재산이거나 금수저 논란의 진원지가 되고 있는 부모의 후광 같은 의미로 변질되어 버렸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위대한 유산>이 포착하고 있는 강지섭네 중국집과 찬미네 미용실 이야기는 우리네 서민들의 삶을 통해 오히려 진정한 유산의 의미를 되새겨주는 것이 아닐 수 없다. 서민들의 눈높이를 찾는 것만으로도 <위대한 유산>은 꽤 괜찮은 예능의 지점을 찾아냈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M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