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 시리즈와 삼시세끼’, 그 연전연승의 비결

[엔터미디어=정덕현] “올해의 마지막을 <응답하라 1988>과 <삼시세끼>가 잘 마무리해주었으면 합니다.” <응답하라 1988>이 시작되기 전 tvN 이명한 본부장은 그 전망을 묻는 필자에게 그렇게 말한 바 있다. 결과론이지만 말 그대로 올해의 마지막을 <응답하라1988>과 <삼시세끼>가 제대로 마무리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고 시청률 13%(닐슨 코리아). 이 두 프로그램이 거둔 성적이다. 케이블 채널에서 이렇게 나란히 두 프로그램이 이런 성적을 낸 건 그 유례가 없다.

단지 성적만이 아니다. 올해 대중문화 콘텐츠에서 대표적인 것들을 꼽으라고 한다면 단연 <삼시세끼>와 <응답하라 1988>이 빠질 수 없을 것이다. <삼시세끼>는 예능이 어디까지 갈 수 있는가를 보여줌으로써 그 잠재력을 한없이 확장시켰고, <응답하라 1988>은 이제는 신원호표라고 해도 좋을 법한 새로운 드라마 시리즈의 틀을 확고히 구축했다. 이 두 콘텐츠는 다름 아닌 tvN을 대표하는 상품이 되었고 그 방송국 브랜드를 만드는데도 지대한 위치를 차지했다.

궁금한 건 어떻게 이처럼 이 두 프로그램이 연전연승을 할 수 있었을까 하는 점이다. 대부분 본편이 성공하면 속편은 망하는 게 통상적이다. 본편의 기대감을 속편이 채워주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삼시세끼>나 <응답하라1988>은 시즌을 거듭할수록 시청률이 점점 올라간다. 반응도 점점 뜨거워진다. <삼시세끼>가 이제 어촌편 마지막을 찍었다는 이야기에 벌써부터 시청자들은 “마지막이란 말은 하지 말아 달라”고 토로한다.

이것이 가능한 건 새로움과 익숙함을 제대로 묶어내는 나영석 PD와 신원호 PD의 탁월한 균형감각 덕분이다. 신원호 PD는 과거 필자와의 인터뷰에서 속편이 왜 망하는가에 대한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대부분 본편이 성공하면 속편에는 무언가 새로운 걸 보여주려 한다. 만일 감독이 바뀌게 되면 이런 새로움에 대한 욕망은 더욱 커진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대중들이 원하는 건 본편의 성공에 들어있는 익숙한 요소들이다. 물론 속편만이 갖고 있는 새로운 이야기는 있어야 하지만 본편의 매력적인 요소들을 무시해선 안 된다고 신원호 PD는 말한 바 있다.



나영석 PD의 연전연승의 힘은 항상 대중들의 눈높이에서 생각한다는 것에 있다. 대중들이 원하는 것, 또 생각하는 것들을 본인도 똑같이 공유하고 있어야 ‘저들만의 이야기’가 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삼시세끼>가 정선을 여러 번 찾아가고 또 만재도를 찾아가서도 변함없는 건 이 대중들이 원하는 편안하고 아날로그적인 정서다. 물론 매번 새로운 인물들이 찾아오고 거기서 새로운 이야기가 펼쳐지지만 궁극적으로 그 바탕의 이야기는 이서진과 옥택연, 차승원과 유해진의 익숙한 이야기를 벗어나지 않는다.

<응답하라 1988>이 <응답하라 1994>나 <응답하라 1997>보다 더 좋은 성적을 거두며 승승장구하고 있다는 건 그래서 놀랍긴 하지만 신원호 PD의 생각을 떠올려보면 전혀 예측불허의 일도 아니었다는 걸 알게 된다. 이건 <삼시세끼>와 <꽃보다> 시리즈를 변주하며 연전연승을 기록하고 있는 나영석 PD에게도 똑같이 해당되는 이야기다. 그것은 모두 대중들에게 맞춰진 이들의 일관된 시선에서 가능해진 일들이다.

어쨌든 이들이 이처럼 대중의 눈높이를 유지해준 결과 올해도 우리는 즐거움과 감동을 이들의 콘텐츠를 통해 얻을 수 있었다. 마치 우리의 마음을 대변하듯 <삼시세끼>는 피곤한 일상에 청량제가 되어주었고, <응답하라 1988>은 각박한 현실에 따뜻한 손난로가 되어주었다. 내년에도 이들의 연전연승을 볼 수 있기를.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