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것이 알고 싶다’, 이 정도면 한국식 히어로물로 손색없다

[엔터미디어=김교석의 어쩌다 네가] 가장 트렌디한 MBC 예능 <마리텔>이 한 자릿수 시청률에 머물 때, 동시간대의 SBS 시사교양 프로그램 <그것이 알고 싶다>는 늘 두 자릿수 이상의 시청률을 기록한다. 이 결과는 젊은 세대가 TV를 본방으로 안 보기 때문에 나온 것이 아니다. 살인, 강간, 억울한 누명과 같이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이슈가 이목을 사로잡는 전부도 아니다. <그것이 알고 싶다>의 높은 시청률과 화제성은 상식이 무너지고 시스템이 작동되지 않는(않는다고 느낄 수밖에 없는) 세상에서 만난 올바름에 대한 기대다.

시청자들은 사정기관의 능력과 열정 대한 불신, 유전무죄 무전유죄에 대한 확신, 연신 오작동을 하는 사회안전망과 정의구현의 배신 속에서 우리 사회를 진실과 정의의 편으로 이끌 최후의 보루처럼 <그것이 알고 싶다>를 받아들인다. 그래서 미해결 사건의 피해자나 억울한 판결을 받은 사람들도 법원 판결 이후에도 마지막 수단으로 이 프로그램의 명성과 영향력에 기댄다. 가장 영향력 있는 일종의 민간 신문고인 셈이다.

지난 주 에피소드도 <그것이 알고 싶다>에 마지막 희망을 거는 수많은 투고 중 한 사건을 다뤘다. 이야기는 1심에서 무기징역을 선고받은 금호강 살인사건의 피의자로부터 온 자필 편지로부터 시작됐다. 제작진은 하루에도 백여 건의 억울함을 호소하는 편지가 오지만 그 중에서 이름과 얼굴을 공개할 수 있으며 접견을 부탁한다는 말이 인상 깊었고, 억울한 정황에 대해 구체적인 해명이 흥미로운 지점이 있었다며 이 사건을 재조명한 변을 밝혔다.

15년 지기 절친한 친구를 살해한 누명을 썼다는 피의자의 이야기는 처음에 잘못된 수사와 무능한 재판부의 판결, 공권력의 남용에 관한 사례 중 하나인 것처럼 보였다. 얼굴이 안 보이는 CCTV 하나만 가진 경찰의 입장과 수사기록은 부실해 보였고, 피의자 가족의 사연은 절절하고 억울했다. 숱한 사례가 있었던 것처럼 <그것이 알고 싶다>측에서 수사의 맹점을 뒤집어 숨겨진 진실에 가까이 가줄 것으로 기대했다.



제작진은 피의자가 자백을 번복한 후 경찰과 피의자는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상황을 균형을 갖추고 전달했다.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새로운 정보와 그간의 정황 가설을 뒤집는 단서가 밀페이유처럼 쌓이면서 시청자들은 이야기 속으로 빨려 들어갔다. 마치 미드 ‘CSI’와 같은 범죄수사물을 볼 때나 느낄 법한 긴장감과 몰입도였다. 그렇게 제작진은 경찰과 피의자 양측에서 흘러나온 퍼즐을 하나 둘 맞춰갔다. 그러자 그림은 서서히 형태를 드러내기 시작했다.

레고 블록처럼 나오고 들어간 부분이 하나로 결합되면서 충격적이고 섬뜩할 정도로 뻔뻔한 인면수심의 얼굴이 나타났다. 마지막 조각을 놓는 건 시청자의 몫이지만 누가 봐도 그림을 알아볼 수 있었다. 피의자가 우연이라고 주장했던 보험금, 자백할 때 그린 세세한 약도, CCTV로 밝혀내지 못한 동선에 대한 해명, 그리고 편지 곳곳에 묻어나는 증거를 찾아오라는 속마음은 하나로 연결되었다. 진실을 밝히고 싶다는 간절함과 아버지의 눈물과 동생의 억울함 이면에 절친의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무참히 훼손하며 살해한 누군가의 민낯이, 최후의 반전 카드로 삼으려고 한 <그것이 알고 싶다>를 통해 전국적으로 공개된 것이다. 그것도 그가 왜 이렇게 자백을 번복하고 억울함을 호소하는지 그 심리적 기재까지 파헤쳐서 말이다. 편지를 쓴 그는 반성을 하지 않고 있었다.

<그것이 알고 싶다>는 자신들에게 도와달라는 피의자의 이야기를 기꺼이 들어주며 (남아 있을지 모를)영혼까지 털어버렸다. 제작진은 그동안 강력사건을 주로 다루면서도 이런저런 사회적 발언을 아끼지 않았다. 이번 사건의 경우처럼 피의자의 발목을 잡은 법보행 분석과 같은 법적 지식을 널리 알리기도 했고, 사회적 안전망에 대한 촉구와 예방책들을 소개하기도 했다. 수사나 판결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경우 사정기관에 대한 충고도 피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번 편은 자신들의 영향력과 가진 책무에 대한 경계의식을 갖고 ‘감히’ <그것이 알고 싶다>의 브랜드를 이용하려는 범죄자에게 일벌백계의 준엄한 꾸짖음을 내렸다. 세상에 완전범죄는 없다는 경고와 함께.



금호강 살인사건 피의자가 법원 판결을 뒤집을 최후의 수단으로 <그것이 알고 싶다>을 두드린 것은 잘잘못을 떠나 프로그램 브랜드의 위상을 드러내는 단면이다. 법과 사회가 못하는 심판, 법과 사회가 놓친 억울한 사연을 찾아내 최대한 해소하고 진실에 가까이 다가섰기 때문에 획득한 가치다. <그것이 알고 싶다>에 갖는 올바름에 대한 기대는 근성 넘치는 취재력과 영민한 구성으로 우리 사회의 가장 음습한 곳들을 파고들어 궁금증을 해소하고 삐뚤어진 사회의 여러 어긋난 뼈를 제자리로 맞추고 비판을 하는 데서 비롯된 것이다. 그래서 혼자서 보기 무서울 정도로 끔찍한데 이 모든 것이 우리의 일상에서 벌어진 일이라는 게 더욱 오싹한 데도 계속 찾아보게 만든다.

<그것이 알고 싶다>는 흉포한 사건사고, 인면수심의 범죄행각 등을 통해서 범죄자는 끝까지 도망갈 수 없다는 믿음과 권선징악의 희망을 준다. 그래서 <그것이 알고 싶다>는 국가기관이 잘 하지 못한 부분을 해결하는 일종의 한국식 히어로물이다. 프로그램의 얼굴인 김상중이 인기를 얻는 까닭이고, 금호강 피의자를 향한 마지막 손짓과 경고가 엄중하게 느껴지는 이유다.

칼럼니스트 김교석 mcwivern@naver.com

[사진=S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