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의 신2’, 재미보다 헝그리 정신 회복이 급선무다

[엔터미디어=김교석의 어쩌다 네가] 정규 편성된 Mnet <음악의 신2>는 재밌다. 나영석 PD에겐 이서진이 답이듯, 이상민과 함께 있을 때 박준수 PD의 페이크다큐는 가장 낄낄거리고 보게 된다. 시즌1에 비해 헝그리함이 부족하단 평가를 듣지만 이상민 특유의 ‘사람이 좋아 보이진 않은데 밉지가 않은’ 쌈마이 캐릭터는 여전히 매력적이다. 시즌2를 해달라고 4년을 동안 보채게 만드는 그 짙은 잔향 말이다. 그런데 예상과 달리 화제성과 시청률 모두 처참하다. 이는 웹방송 프로모션의 대실패 때문이다.

비록 웹이었지만 <음악의 신>이 돌아온다고 했을 때 난리가 났었다. 포털은 물론 게시판에서도 4년 전 추억을 회고하고, 그때 그 재미를 모르는 사람들에게 전파했다. 시즌1이 이상민 부활 스토리였다면 이번에는 탁재훈의 복귀라는 꽤 호소력 짙은 이슈를 스토리라인으로 가져왔다.

그러나 기대와 환호 속에 출발한 웹방송은 1화부터 날개를 잃었다. 우리가 기억하던 음악의 신과는 거리가 있었다. 탁재훈은 나서지 않았다. 그러자 가상과 현실의 경계는 사라지고 모든 상황이 시트콤화되면서 페이크다큐의 생명인 긴장이 무너졌다. 과거 팬들을 다시 모으고자 정규편성을 위한 미션을 세우고 구걸하는 찌질한 정서를 내새웠지만 어차피 편성은 정규편성이란 것도 알고 있었다. 이 대대적인 프로모션은 오히려 본방에 회복하기 힘든 독이 됐다.

그나마 본방은 웹 시청 후 반응들을 잘 반영해 정비했다. 우선 탁재훈 복귀 스토리에서 음악예능과의 전쟁으로 전향적으로 틀었다. 탁재훈의 분량은 대폭 줄였고, 뮤지를 비롯한 탁재훈계 인물들은 모두 걷어냈다. 이로써 길을 잃고 헤매던 스토리와 등장인물이 많아 어수선했던 문제를 해결했다. 여기에 원년멤버 이수민이 다시 합류하면서 시즌1의 낄낄거리는 웃음을 회복했다.



이상민이 <음악의 신2>의 정신적 지주라면 이수민과 백영광은 쇼의 코미디를 책임지는 원투펀치다. 모두를 황당하게 만드는 이수민의 뻔뻔함과 출연자들의 이성을 잃게 만드는 백영광의 무차별 드립은 그 어떤 방송에서도 볼 수 없고 소비된 적 없는 오로지 <음악의 신>만의 오리지널리티다.

백영광은 아이돌인 경리에게 입에 넣은 탁구공을 실제로 내뱉고, 내년쯤 임신해서 어쩔 수 없이 결혼할 거라는 막말을 경계 없이 내뱉는다. 그러다 물세례나 따귀를 맞는다. 실제 출연진의 단말마에 가까운 욕설과 리얼한 성격이 드러나는 당황스런 상황들을 그냥 보고 있기란 매우 힘들다.

18년차 연습생 이수민도 복귀하자마자 기어를 몇 단계 바로 올려버렸다. 여전히 글래머러스한 몸매로 등장해 실력과 반비례하는 자신감과 춤사위로 모두를 뒤집어버린다. 이 두 에이스 캐릭터 덕분에 어설픈 시트콤이었던 웹방송에서는 없던 재미가 살아났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음악의 신2>는 풀지 못한 숙제가 있다. 시즌1이 폭발적인 인기를 끈 것은 이상민의 당시 비루함이 <음악의 신>의 병맛 허세와 절묘하게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 실제 이상민의 상승곡선과 <음악의 신>의 상승 그래프가 일치하면서 시청자들은 그 다음 이야기를 궁금해 하고 응원했다. 이상민의 쌈마이 허세는 그렇게 코미디가 됐고, 시트콤은 실제가 됐다. 그런데 시즌2의 메인 스토리라인이었던 탁재훈의 복귀가 날아갔다. 그 자리를 대신한 것이 음악예능과의 전쟁이다.

음악예능과의 전쟁은 사실 이상민, 탁재훈 모두 치러야 할 명분이 뚜렷하지 않다. 1990년대 스타를 소환하는 ‘응구스’ 프로젝트도 그렇다. 탁재훈의 복귀, 이상민의 부활 등과 같은 스토리가 없다보니 유병재, 에픽하이, 디바, 김풍, 나인뮤지스, 김정민, 김성수, 량현량하 등등의 게스트에 보다 의존하게 된다. 장면 장면은 웃긴데 뚝뚝 끊긴다. 과도한 설정의 나열은 시트콤이든 페이크다큐든 장르가 무엇이든 간에 이 시리즈를 계속 지켜보게 만드는 스토리의 빈약함을 낳았다.



이것은 뼈아프다. <음악의 신> 시리즈는 허구 세계 위에서 그려낸 시트콤이 아니기 때문이다. 리얼리티를 기반으로 하는 극화된 쇼다. 실제 이상민이란 인물을 스토리의 기반으로 삼고 촬영 중인지 장난을 치는 건지, 실제인지, 헷갈릴만한 애드립으로 얼기설기 엮인다. 긴장과 재미, 이야기는 모두 현실을 비트는 데서 나왔다.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고 몰락한 1990년대 뮤지션이 갑자기 나타나 서바이벌쇼와 전쟁을 벌인다는 게 그랬다.

지금, 웃음과 병맛은 원투펀치와 이상민으로 어떻게 해결했다. 이제 남은 문제는 극의 토대가 되는 리얼리티를 살리는 것이다. 시리즈의 존재를 고민하게 만드는 근원적 문제다. 리얼리티가 받침이 안 되면서 웃음과 스토리가 결합되지 않고 있다. 4년 전 열광적인 지지를 보냈던 마니악한 시청자들은 리얼리티쇼에 가까웠던 콘텐츠가 시트콤화 되면서 애정을 쏟을 이유를 못 찾고 있다. 바로 이것이 다들 아쉬워하는 ‘헝그리 정신’의 정체다. 프로모션 차원의 웹방송은 이 정수를 놓치고 가면서 큰 실망을 안겼다. 그리고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칼럼니스트 김교석 mcwivern@naver.com

[사진=Mnet]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