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직격탄 맞은 이진욱·박유천, 배우로 다시 서려면

[엔터미디어=정덕현의 이슈공감] 배우는 일종의 가면을 쓴 존재다. 대중들은 그것이 진면목이길 기대하지만 사실은 드라마나 영화 같은 판타지 속의 캐릭터를 연기해내는 것이 배우들의 역할이다. 물론 가면을 쓴다고 해서 가짜라는 이야기는 아니다. 연기론에서 가면은 남을 흉내 내는 것이 아니라 자신 속에 있는 또 다른 나를 꺼내놓는 일이다. 그러니 가면에도 배우 자신의 많은 모습 중 하나가 비춰지는 건 당연한 일이고, 그래야 좋은 배우이기도 하다.

최근 벌어진 박유천과 이진욱의 스캔들은 배우로서 사생활 노출이 어떤 의미인가를 잘 보여주는 사례가 되었다. 이 배우들 누구도 자신들의 사생활이 노출되는 건 원치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성폭행이라는 법적인 문제가 제기되며 파헤쳐지기 시작한 사생활은 그들의 배우로서의 삶을 갈기갈기 찢어 놓았다. 법적으로는 두 사람 다 무고를 당한 것으로 결론이 났지만 그 과정에서 노출된 사생활들은 그간 그들이 쌓아놓은 배우로서의 이미지를 거의 무너뜨렸다.

이진욱이 말한 것처럼 “무고는 정말 큰 죄”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보면 법적으로 죄가 없는 이진욱이나 박유천에 대한 대중들의 감정은 결코 좋지 않다. 그것은 법적 공방 도중 흘러나온 ‘원나잇’이라는 표현이나 ‘화장실’ 같은 단어들이 대중들에게는 그다지 상식적인 관계로 여겨지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성인이고 미혼이니 누구와 어떤 방식으로 성관계를 갖는 것에 대해 왈가왈부하는 건 고루한 일이다. 그리고 이른바 문화나 예술을 하는 사람들에게 이런 것에 대한 완고한 자세를 요구하는 사회가 그리 바람직하다고 여겨지지도 않는다. 하지만 문제는 배우라는 직업과 이런 사생활 노출로 인해 생겨난 이미지들이 부딪칠 때다.

배우의 사생활 노출은 그것이 좋은 것이든 나쁜 것이든 배우라는 직업에는 그다지 좋을 수가 없다. 그것은 어떤 식으로든 배우라는 직업이 갖는 이미지에 선입견을 만들기 때문이다. 배우는 여러 가면을 써야 하는 존재이며 그렇기 때문에 진면목을 드러내지 않는 것이 대중들에게는 더 쉽게 몰입감을 제공할 수 있기 마련이다. 이것은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문제와 별개로 배우라는 직업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더더욱 중요하다.



결국 무고임이 드러났고 법적으로 하등 문제가 될 것이 없는 일이 문제가 되어 이미지에 직격탄을 입은 박유천과 이진욱은 억울할 수 있다. 하지만 배우라는 직업적인 입장을 염두에 두고 본다면 이것이 사적인 일이라 하더라도 만일 드러났을 때 그 반향이 배우 이미지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는 미리 조심했어야 하는 일이 아닐까. 어떤 면에서 보면 사생활 문제가 야기하는 윤리적인 문제보다 대중들이 더 불편하게 생각하는 건 배우로서 보였던 이미지와의 괴리일 것이다. 그리고 그 괴리는 향후 이들의 연기에 대중들이 더 이상 몰입할 수 없는 상황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억울해할 일이라기보다는 최소한 미안해야 할 일이다.

박유천과 이진욱 모두 남겨진 문제는 명백하다. 그것은 배우라는 직업적인 문제를 어떻게 지속 가능하게 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이미 죄는 벗어났지만 배우의 가면 뒤에 보이지 말아야할 이미지가 노출되었다. 냉정하게 얘기하면 이제 다시 과거로 돌아갈 수는 없다. 지금 현재의 이미지 그대로 받아들여야 하고 거기서부터 다시 배우 이미지를 쌓아나가야 그나마 연기의 기회를 가질 수 있지 않을까.

이미지의 문제는 이미지로 풀어낼 수밖에 없다. 부정적인 이미지가 생겼다면 그걸 받아들여야 한다. 그래서 무고가 인정됐다고 해서 “떳떳하다”거나 “당당하다”는 식으로 아무 일도 없었던 듯 과거로 돌아가려 하는 건 별반 소용이 없다. 이미지(든 실체든)를 부정하기보다는 받아들이고 거기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MBC, S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