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상륙작전’, 이 오락영화를 즐기기 어려운 까닭

[엔터미디어=정덕현의 그래서 우리는] 영화 <인천상륙작전>은 도대체 왜 만들어진 걸까. 이 핵심적인 질문을 던져보면 이 영화의 정체가 명확해진다. 일단 영화 외적으로 자꾸만 제기되는 ‘이념성’은 떼어놓고 보자. 물론 이 영화의 제작사 대표인 정태원은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대놓고 “정신 무장을 하고 안보의식을 가졌으면 하는 마음으로 만들었다”며 이념을 앞세웠지만 그렇게 보면 영화는 그저 쉽게 선전물로 치부될 것이다. 하지만 만일 이념을 목적으로 만든 것이라면 <인천상륙작전>의 의도는 실패했다고 볼 수 있다. 도대체 21세기에 여전히 공산당은 악마 혹은 적이라는 단순구도가 과연 먹힐 것인가. 1970년대 반공시대도 아니고.

그러니 일단 의심해봐야 하는 건 이념을 앞세우는 것에도 또 다른 의도가 들어 있지는 않은가 하는 점이다. 그건 다름 아닌 상업적 의도다. 이제는 이념도 장사가 된다. 이미 <디워> 논쟁이나 <국제시장> 논쟁을 통해 확인된 바에 의하면 보수냐 진보냐의 진영 대결구도는 어쨌든 우리나라에서는 여전히 영화를 보게 만드는 동인이 되기도 한다. 이 관점을 보면 <인천상륙작전>은 누가 봐도 상업적 의도가 다분히 깔려 있는 오락영화다.

혹자는 ‘인천상륙작전’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다루기 때문에 이 영화가 역사에 대한 새로운 관점 같은 걸 담고 있지 않냐고 말할 지도 모른다. 물론 <인천상륙작전>은 이 한반도의 역사를 바꾼 전투가 맥아더 장군이라는 영웅만이 아니라 이를 위해 음지에서 기꺼이 목숨을 던진 켈로부대원들이 있었다는 걸 조명하고 있다. 하지만 그건 스토리상의 설정일 뿐 영화가 인물을 다루는 방식은 이런 역사적 관점과는 사뭇 상반된다.

맥아더 장군(리암 니슨)은 거의 신적인 존재처럼 과장되게 그려져 있다. 그는 마치 우리를 위해 잃었던 딸을 되찾아주기 위해 집채만 한 파도가 쳐도 결코 물러남이 없이 앞으로 나가는 전설적인 존재이며, 일상어라고는 상상하기 어려운 명언들만 던지는 그런 인물이다. 음지에서 인천상륙작전을 수행한 장학수(이정재)가 맥아더 장군과 만나는 장면을 보면 마치 신적인 존재가 인간을 가엽게 여기는 듯한 그런 모습이 연출된다.



반면 우리네 장학수를 비롯한 부대원들의 모습은 어떤가. 주인공인 장학수나 역시 감초 같은 역할에 눈물까지 만들어내는 남기성(박철민) 같은 인물을 빼놓고 보면 작전에 투입되어 무수히 죽어나간 이들의 이름이나 얼굴이 영화가 끝나고 나면 그다지 기억되지 않는다. 즉 이 영화는 마치 그 이름도 없이 작전에서 희생된 이들을 기리는 것처럼 제스처를 취하지만 사실 그들 개개인이 어떤 사람들이었는지에 대해서는 별반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그러니 이 영화를 갖고 역사를 보는 관점 같은 걸 얘기하는 건 어울리지 않아 보인다. 그건 하나의 제스처일 뿐이니까.

그래서 결국 남는 건 이 영화가 철저한 오락영화이고 상업영화라는 점이다. 그걸 확증하듯 보여주는 건 이름 없이 희생된 우리네 대원들보다 더 자세하고 잔학하게 묘사되어 있는 림계진(이범수)이라는 악역이다. “이념은 피보다 진하다”며 이념이 다르다면 가족에게도 총을 쏘는 걸 영웅적 행위로 말하는 이 인물은 철저히 악마처럼 그려지기 때문에 상업영화로서의 동력을 만들어낸다. 그런 극단적 악역은 인간적인 고민도 필요 없이 그가 죽는 걸 바라보고픈 욕망을 자극한다. 그래서 영화는 시종일관 그를 적으로 내세워 싸우는 대원들의 액션을 보여준다.



그런데 이 이념도 아니고 오로지 상업적인 선택으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은 바로 그것 때문에 어떤 불편함을 만든다. 상업영화지만 그래도 ‘인천상륙작전’이라는 우리네 역사의 이야기다. 거기에는 실제로 이름 없이 기꺼이 작전을 위해 몸을 던진 이들도 있었다. 그런데 그들의 진정성이나 진면목을 거의 건드리지 않고 영화는 오로지 그걸 상업적으로만 활용하고 있다. 그러니 불편해질밖에.

그런 점에서 보면 <인천상륙작전>은 이념을 담은 선전영화로서도 또 오락영화로서도 실패한 작품이다. 물론 500만에 육박하는 관객이 이미 봤으니 오락영화로 성공한 게 아니냐고 말할 수는 있을 게다. 하지만 이념 대립이 때로는 상업적인 성공을 가져다주기도 하는 우리네 영화 시장에서 단순히 관객 수가 성공한 오락영화라는 걸 확증해주지는 않는다. <디워>가 굉장한 관객을 동원했지만 우리가 그걸 성공한 오락영화라 부르기 어려운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디워>에 이어 <국제시장> 그리고 <인천상륙작전>까지 온전한 오락영화로서의 성공이 아니라 이른바 보수 진보의 이념 대결을 불쏘시개로 활용해 성공을 거두는 작품들이 나오고 있다는 건 우리네 영화계로서는 기형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심지어 예술의 영역에서조차 상업성을 위해서는 이념도 역사도 모두 장사로 활용되는 걸 목도하고 있는 것처럼 여겨지기 때문이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영화 <인천상륙작전>스틸컷]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