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행’ 마동석과 ‘덕혜옹주’ 라미란의 미친 존재감이란

[엔터미디어=정덕현의 그래서 우리는] 마동석, 라미란 보러 영화관 간다? 이런 이야기가 나올만한 상황이다. 올 여름 블록버스터 시장에서 가장 먼저 1천만 관객을 돌파한 <부산행>의 마동석이 그렇고, 입소문을 타고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하며 2백만 관객을 돌파한 <덕혜옹주>의 라미란이 그렇다. 이들은 모두 이 두 영화의 주인공이 아닌 신스틸러라고 할 수 있지만 이들이 사실상 흥행 보증수표라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다. 도대체 무엇이 이런 주인공 못지않은 존재감을 이들에게 부여한 걸까.

<부산행>에서 마동석이 연기하는 상화는 아내와 함께 부산행 KTX를 탔다가 좀비들과의 일전을 벌이게 되는 평범한 인물이다. 조금 껄렁껄렁한 건달 같은 느낌을 보이지만, 아내인 성경(정유미)이 하는 말 한 마디면 무조건 복종하고 또 사람에 대한 기본적인 상식 같은 걸 지키는 그런 사내. 어찌 보면 대단한 인물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상식적이지 않는 사람들 틈에서 그의 우직한 상식은 하나의 판타지로 보일 정도다.

무엇보다 상화라는 인물이 가진 매력은 마동석이라는 배우로부터 나온다. 잘 단련된 몸으로 터질 듯한 근육을 드러내며 좀비가 아니라 괴물이 등장해도 맨 주먹으로 때려눕힐 것 같은 그 이미지는 그 두렵고 황당한 상황 속에서 관객들이 그에게 의지하게 되는 가장 큰 이유다. 그는 머리 쓰지 않고 몸으로 부딪쳐 아끼는 사람들을 지켜내며, “욕 먹더라도 자신을 희생하는 게 아빠들”이라는 서민 영웅의 면모를 보여준다. 그가 <부산행>에서 주인공 이상의 매력을 발산하는 이유다.

<부산행>에 마동석이 있다면 <덕혜옹주>에는 라미란이 있다. 물론 영화적 장르도 다르고 시대도 다르며 사건도 전혀 다르지만, 두 영화 속에서 마동석과 라미란은 닮은 구석이 많다. <부산행>의 상화가 KTX의 생존자들을 지켜내는 인물이라면, <덕혜옹주>에서 라미란이 연기한 복순이란 인물은 일제에 의해 강제로 일본에 끌려간 덕혜옹주(손예진)를 옆에서 때론 엄마처럼 때론 언니처럼 든든히 지켜주는 인물이다.



친일파 앞잡이인 한택수(윤제문)의 행태 앞에서 꼿꼿이 맞서며 때론 주먹까지 날리는 복순이의 행동은 <덕혜옹주>라는 비장하고 슬플 수밖에 없는 영화 속에서 시원한 사이다가 아닐 수 없다. 그녀가 온 몸을 던져 덕혜옹주를 지키려는 그 마음은 고스란히 관객들의 마음으로 공유되기도 한다. 물론 덕혜옹주의 그 비극적인 이야기가 가진 무게감이 이 영화의 중요한 매력이긴 하지만, 그 안에 숨통을 트게 해주는 라미란의 역할은 그 어떤 것보다 크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부산행>의 마동석이 그러하듯이, <덕혜옹주>의 라미란 역시 복순이라는 캐릭터에 더해 배우로서 그녀가 갖고 있던 이미지가 일조한 면이 있다는 점이다. 드라마 <응답하라 1988>에서부터 영화 <히말라야>까지 라미란이 주는 든든한 면모는 <덕혜옹주>의 복순이라는 캐릭터가 특별한 설명을 하지 않아도 관객들이 몰입할 수 있게 해준다.

마동석과 라미란이 이처럼 관객들에게 박수 받는 존재가 된 건 이들이 독특한 서민 영웅의 판타지를 자극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언가 잘났고 신분이 다르고 부유한 사람들이 아니라 조금 못났고 신분도 비천하며 그럭저럭 살아가는 서민이지만 그래도 상식이 살아있고 든든히 기댈 수 있는 힘이 되어주는 그런 존재들. 지금의 대중들이 희구하는 영웅이란 이런 인물이 아닐까.

마동석과 라미란. 물론 <부산행>과 <덕혜옹주>라는 좋은 작품이 있고 또 그걸 전면에서 끌어주는 공유나 손예진 같은 배우들의 저력이 있기에 가능한 이야기지만, 마동석과 라미란은 이 두 영화를 보는 이유가 될 정도로 잘 어우러진 면이 있다. 이들은 더 이상 신스틸러라는 말로는 부족한 어떤 연기자의 길로 들어서고 있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영화 <부산행><덕혜옹주>스틸컷]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