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로에 선 이경규, 진짜 PD가 되거나 진짜 달라지거나

[엔터미디어=김교석의 어쩌다 네가] MBC 에브리원 ‘PD 이경규가 간다’는 이경규에게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예능이다. 출연진 구성부터 한철우, 유재환, 정범균, 김주희 등 그의 입맛에 맞게 측근들로 배치했다. 이경규가 프로그램의 알파이자 오메가이니 프로그램도 무형식이다. 과거 <무한도전>처럼 매회 새로운 주제 새로운 장르를 가져와도 상관없는 포맷이다. 첫 번째 주제는 분양한 강아지 가족을 모아서 동물 드라마 만들기였고, 두 번째 도전 과제로 조선시대 역사를 공부하고 퀴즈대결과 강연을 준비 중이다. 기획의도에 나와 있는 대로 베테랑 제작진과 출연진 모두를 진두지휘하는 절대 권력을 가진 예능 대부 이경규를 내세운, 이경규에 의한 예능이다.

이경규가 PD에 도전한 것은 또 한 번의 변신 시도다. 최근 예능대부에서 한 딸의 평범한 아버지이자 강아지를 좋아하는 아저씨로 캐릭터의 폭을 넓힌 후 또 다른 도전에 나선 것이다. 예능 플레이어로 30여년을 보내면서 그간 쌓은 경험과 감각과 시선으로 예능PD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포부 밑에는 이 프로그램의 재미 포인트이자 정수가 숨어 있다. 제작진이 가장 다루기 힘든 악명 높은 출연자로 알려진 이경규가 역지사지의 입장에 처하는 맥락의 반전이다. 연출의 입장에서 멤버들에게 답답해하거나, 분명 화를 낼 상황에서도 유하게 대처하는 ‘이경규가 달라졌어요’가 웃음의 포인트다.

그런데, 이런 차원의 재미는 이제 익숙하다. 지난 2년간 이경규는 캐릭터 변주를 통한 자기 희화화로 웃음을 생산하고 있다. 따라서 PD라는 콘셉트를 내세웠다면 재미는 관련한 진정성과 초보 연출가의 좌충우돌 성장기에서 찾아야 한다. 웃음은 이경규의 캐릭터에서 나올 수 있지만 신선함은 PD로 분한 색다른 모습에서, 충성도는 정서적 교감에서 나타나기 때문이다.



아쉬운 점은 이경규가 도전하는 PD의 역할이 사실상 연출이라기보다 촬영 도전기에 가깝다는 데 있다. 물론, 기획회의를 함께하고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장면도 전파를 탔지만 연출가로서 이경규가 주로 언급하는(김종민의 표현을 빌리자면 의식하는) 나영석, 김태호 PD 등과 가장 큰 차이는 어떤 정서, 어떤 스토리텔링을 담을지 등의 큰 그림이 보이지 않고, 단순히 현장에서 촬영을 어떻게 이끌어낼지에 머문다는 점이다. 오디오를 잡아먹는 매미 소리에 민감하지만 자기 측근들과 다루기 쉬워서 김종민을 캐스팅했다는 에피소드가 대표적인 예다.

그러다보니 늘 쉬운 길을 간다. 역사를 다룬다는 마음은 훌륭하다. 그런데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너무 쉽게 간다. 웃음 속에서 혹은 스토리텔링 안에 자연스럽게 녹이는 <1박2일>이나 <무한도전>과 큰 차이다. 선릉이 허묘가 된 사연에 대한 역사적 정보 전달 등 분명 가치가 있는 일이지만, 퀴즈와 전문가 초빙 강의가 새로운 화면은 아니다. 리얼버라이어티가 시청자들을 다음 주에도 찾아오게 만들려면 결국 캐릭터쇼의 재미를 무엇보다 우선 강화해야 한다. 그런데 캐릭터가 굳어 있는 상황에서 매주 전혀 다른 주제를 어디서 본 듯한 구성으로는 이경규 외에 아무것도 돋보이게 만들 수가 없다. 첫회 이후 뚝 떨어진 화제성이 이를 증명한다.



프로그램 내에서 이경규는 스텝들을 화면 안으로 불러들이거나 카메라 앵글을 자유롭게 요구할 수 있는 제왕적 존재로 군림하면서 그를 중심으로 형성된 다른 출연자들은 위축된다. 캐릭터쇼로 발전하기가 애초에 한계가 보이는 상황으로, <남자의 자격>에서 김국진이 없는 그림이다. 연출가의 역할도 애매하다. ‘PD 이경규가 간다’에는 오늘날 예능 제작진이 출연진 이상으로 중요해진 부분들이 없다. 촬영 현장에서의 역할만 담겨 있다. 오늘날 예능의 핵심인 ‘후반 작업’이 스케치로든 결과로든 존재하지 않는다. 그 결과 시청자들이 실제 PD 이경규를 평가하거나 따라갈 수 있는 정서적 맥박이 희미하다.

이경규는 동물 콘텐츠로 의미와 재미를 동시에 놓친 후, 예능의 블루칩 중 하나인 역사, 인문 관련 콘텐츠를 가지고 왔다. 이런 감각은 분명 뛰어나다. 또한 자기 자신을 무리하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시대흐름에 따라가는 능력과 태도는 귀감이 된다. PD로의 도전도 그 일환으로 여겨진다. 분명 많은 관심을 얻었다. 그런데 <마리텔>에서처럼 성공하기 위해선 더욱 더 확실한 선택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 김태호, 나영석 등 유명한 제작진과 비등한 능력을 보이거나, 아니면 이경규가 이끄는 캐릭터쇼의 성장을 보여주거나. 오늘날 예능에서 제작진이 왜 중요해졌는지를 못 깨닫는다면, 이번엔 어렵게 마련한 캐릭터의 힘을 축내야 할 상황에 직면할 수도 있다.

칼럼니스트 김교석 mcwivern@naver.com

[사진=MBC 에브리원]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