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1000회를 준비하는 ‘무도’에게 좀비란 어떤 의미일까

[엔터미디어=정덕현] 어쩌다 보니 좀비를 등장시키게 된 걸까 아니면 500회 특집에 맞게 의도한 걸까. MBC 예능 프로그램 <무한도전>이 500회 특집으로 마련한 ‘무도리go’ 게임의 마지막 라운드는 지금은 텅 비어있는 여의도 MBC사옥에서 벌어졌다. 이른바 ‘꼬리잡기’ 형식을 따온 ‘무도리잡기’ 게임. 그런데 엘리베이터에서 각 층에 한 명씩 내려놓고 시작한 게임은 갑자기 좀비들이 출현하면서 ‘좀비 특집’이 되었다.

영화 <부산행>의 좀비 연기를 했던 연기자들이 직접 참여함으로써 그 어느 때보다 실감나는 좀비들의 출현은 출연자들을 혼비백산하게 만들었고, 깜짝 놀라고 쓰러지고 무서워하는 모습만으로도 큰 웃음을 주었다. 특히 산만한 덩치를 갖고 있는 정준하는 시종일관 말을 더듬을 정도로 긴장하며 좀비들이 나타날까봐 전전긍긍하는 모습으로 역시 리액션 왕 다운 면모를 보여줬다.

결국 이 게임은 하하가 이겼지만 전체 ‘무도리go’ 게임의 우승은 유재석에게 돌아갔고, 그에게 부상으로 1000회 출연 프리패스가 돌아갔다. 500회를 넘어 1000회까지 계속 쭉 가자는 김태호 PD의 뜻이 담긴 센스 있는 포상(?)이었다. 그런데 궁금해지는 건 왜 하필 이 게임의 마지막을 좀비 특집으로 했을까 하는 점이다. 그건 진정 우연이었을까.

이번 500회를 맞아 <무한도전>이 한 ‘무도리go’ 게임은 사실상 그간의 많은 특집들을 회고하고 추억하기 위한 장치였다. 그래서 그 게임을 하며 자연스럽게 장기프로젝트로 했던 조정경기나 에어로빅, 댄스스포츠 등을 다시 상기할 수 있었고, 63빌딩에서 했던 ‘무한알바’나 역대급의 몰래카메라를 선보였던 ‘퍼펙트센스’ 게다가 <무모한 도전> 시기에 시도했던 ‘오리배로 유람선 따라잡기’ 같은 도전들을 추억할 수 있었다.



이런 콘셉트를 가진 <무한도전> 500회가 가장 아프면서도 레전드로 남은 ‘좀비 특집’을 빼놓았을 리가 없다. 무려 400명의 좀비 연기자들을 동원했고 카메라만 48대를 설치했으며 예산 자체가 평시에 2배 정도를 썼으나 박명수가 혼자 살겠다고 사다리를 밀쳐내는 바람에 단 28분 만에 실패로 돌아간 미션. 이 아이템은 <무한도전>의 대표적인 실패사례이지만 그렇기 때문에 이 프로그램만의 고유의 성격, 이를테면 실패해도 그 과정은 의미 있는 성공이라는 그 특징을 상징하는 사례가 되었다.

아마도 500회 특집의 마무리에 좀비를 등장시킨 건 그래서 다분히 의도가 깔려 있다고 읽히기에 충분하다. 그 좀비 특집의 실패사례가 보여주는 가치는 다름 아닌 <무한도전> 무려 500회를 달려올 수 있었던 초심이자 원동력이기 때문이다. 늘 도전에 실패하고 나서는 “에이스가 아니었습니다”라고 외치며 다시 도전하던 그들이 아닌가.

김태호 PD는 좀비 특집의 실패에 대해 묻는 필자에게 이렇게 말한 바 있다. “도전의 결과는 성공 혹은 실패예요. 성공하면 성공했으니 좋은 거고 실패하면 다시 한 번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은 거니 더 좋은 거죠.” 즉 안 되도 될 때까지 계속 도전하고 노력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는 것. 500회 특집 마무리를 좀비로 세운 건 아마도 그런 의미가 아니었을까. 죽어도 다시 살아나는 좀비들처럼 1000회까지 쭈욱-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M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