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 시국이 만든 올해의 대중문화 키워드

[엔터미디어=정덕현의 네모난 세상] “잊지 않겠습니다.” 아마도 올해 대중문화의 키워드 하나를 꼽으라면 이 한 마디, ‘기억’이 아닐까.

SBS <그것이 알고 싶다>가 ‘두 개의 밀실’ 편을 방영한 건 여전히 증폭되는 세월호 참사에 대한 의혹들 때문이다. 그 날 세월호 화물칸에 실린 제주해군 기지로 가던 철근 278톤 이외에도 무언가 숨기려하는 수화물이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인양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에도 인양업체 선정과정에 남겨진 의혹들이 있었고 그것은 마치 인양을 하지 않으려는 의도이거나 혹은 늦추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처럼 여겨지게 만들었다. 그것이 결국 그 숨기려는 수화물과 관련이 있을 거라는 추측이 나올 수밖에 없었다.

무슨 일인지 세월호를 바다 밑에 그대로 놔두려는 이들은 아마도 이 모든 걸 망각 속으로 묻어두고 싶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하지만 벌써 2년이 훌쩍 지난 지금까지도 세월호는 바로 어제 일어난 사건처럼 대중들의 가슴에 달려 있는 노란 리본처럼 생생하다. 마치 망각으로 묻어두려는 시도는 오히려 대중들로 하여금 더더욱 기억하려는 노력으로 이어지고 있는 듯하다. <그것이 알고 싶다>는 다시금 세월호의 기억을 끄집어내 여전히 지속되는 의혹들에 질문들을 던졌다.

지금 상영되고 있는 영화 <판도라>에서도 세월호의 잔상은 지울 수가 없다. 최악의 원전사고라는 소재를 가져왔지만 대중들이 이 영화를 통해 떠올리는 건 다름 아닌 세월호 참사의 그 7시간 동안 비워져 있던 컨트롤 타워의 부재다. 컨트롤 타워가 사라진 절망적인 상황에 평범한 서민들이 나서 스스로를 희생해 작은 희망의 불씨를 틔운다는 이야기는 지금의 촛불정국을 고스란히 떠올리게 한다. 그리고 거기서 우리는 또한 ‘기억하라’는 목소리를 이어간다.



세월호 참사가 얼마나 큰 트라우마를 우리네 대중들에게 남겨놓았는가를 알 수 있는 대목은 그저 평범할 수 있는 드라마 한 편에서조차 ‘기억’의 문제가 거의 무의식적으로 다뤄져왔다는 걸 보면 알 수 있다. <시그널>에 우리가 그토록 열광했던 이유가 뭔가. 미제사건으로 남아 점점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지워져가던 것들을 심지어 ‘무전기 판타지’를 이용해 과거를 되돌려 현재를 바꾸고픈 그 간절함을 모두가 공감했기 때문이 아니었던가.

뺑소니 사고로 아이를 잃은 후 이혼하고 로펌에 들어가 승승장구하던 한 변호사가 알츠하이머를 갖게 되면서 겪게 되는 사건들을 다룬 <기억>에서는 아예 제목이 그러하듯이, 정의를 덮어버리는 망각을 담보로 성공을 보장하는 우리네 부조리한 사회 시스템을 고발했다. 알고 보니 로펌 사장의 아들이 뺑소니범이었던 것. 변호사는 자신의 승승장구가 결국 아들의 죽음에 대한 기억을 지우는 대가로 얻어진 것이란 사실을 알고는 절망하고 뒤늦게라도 진실을 위해 싸워나간다.



올 여름 블록버스터 시장을 강타했던 <밀정>과 <덕혜옹주>는 서로 정반대의 호불호를 낳으며 기억의 문제를 건드렸다. 모두 일제강점기를 다뤘지만 <밀정>이 이름도 모른 채 스러져간 의열단원들 같은 독립투사들에 대한 기억을 되새겨 호평을 받은 반면, <덕혜옹주>는 거꾸로 독립운동과는 아무런 상관없는 덕혜옹주를 마치 독립투사처럼 호도함으로써 비판받았다. 올바른 기억에 대한 문제의식을 드러냈던 올 여름 블록버스터 시장의 풍경이다.

<무한도전> 같은 예능 프로그램은 ‘산타아카데미’ 같은 지금의 시의성에 맞는 아이템을 방영하면서도 그 빨간 산타 복장에 노란 리본을 다는 걸 잊지 않았다. 세월호 참사에 대한 기억은 이렇게 르뽀에서부터 드라마, 영화, 예능에 걸쳐 광범위하게 올 한 해의 주요정서로 자리했다. 그리고 이건 제대로 된 진상 규명이 명명백백하게 이뤄지지 않는 한 치유되지 않는 트라우마로 남아 여러 대중문화 콘텐츠들의 소재로 이어질 것이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SBS, tvN, 영화 <밀정>스틸컷]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