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랑’, 박서준은 왜 주령구를 굴릴까

[엔터미디어=정덕현] “난 인생 운빨이라고 생각하거든. 근데 너 오늘 운 없다.” 진골들의 연회장에 들어선 무명(박서준)은 친구인 막문(이광수)을 흠씬 두들겨 패는 귀족에게 그렇게 첫 마디를 던진다. 자신을 향해 달려드는 귀족을 가볍게 제압한 무명은 바닥에 칼로 둥그런 원을 그어놓고 말한다. “왕경에 들어온 천인을 베는 게 니들 법이면 이 선을 넘어온 귀족을 베는 건 내 법이다. 베고 싶으면 넘어와서 베. 다 상대해줄 테니까.”

KBS 새 월화드라마 <화랑> 첫 회의 이 마지막 장면은 이 사극이 앞으로 전개해나갈 이야기의 대부분을 이야기해준다. 그것은 천인의 신분이자 이름조차 없어 무명이라 불리는 이가 왕경의 진골들만 있는 곳으로 뛰어 들어와 그들과는 다른 모습으로 자기만의 독보적 위치를 세워가는 이야기가 아닐까. 그의 모습이 진골 중의 진골인 수호(최민호) 같은 인물도 호감어린 시선을 던지는 걸 보면 신분을 뛰어넘는 무언가가 무명이라는 인물에는 존재한다는 걸 말해준다. 그건 바로 ‘운빨’이라고 말하는 그가 생각하는 삶의 태도에서 나온다.

정해진 운명을 그저 따라갈 것인가 아니면 알 수 없는 미래를 향해 주사위를 던질 것인가. 무명이 항상 주령구를 들고 다닌다는 건 이 인물이 ‘주사위를 던지는’ 캐릭터라는 걸 말해준다. 주령구는 신라인들이 놀이로 사용했다는 14면체 주사위. 무명은 주령구를 굴려보고 거기 나오는 괘에 따라 행동한다.

별거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주사위를 굴린다는 이 캐릭터 설정은 이 <화랑>이라는 사극에서 중요하다. 그것은 이 사극의 기본 구조가 ‘골품제도’라는 신라의 태생부터 정해지는 운명과 그것을 깨치고 나가는 무명이라는 인물의 이야기로 축조되어 있기 때문이다. 첫 회에 이미 드러난 것들이지만 이 사극에는 성골인 지뒤(박형식)가 베일에 싸인 인물로 서 있고, 그를 돕거나 해하려는 파로 나뉜 진골들이 그를 둘러싸고 있다. 여자주인공인 아로(고아라)는 진골 아버지와 천인 어머니 사이에 태어나 진골도 천인도 아닌 경계인의 위치에 서 있다.



이처럼 <화랑>에서 신분은 이야기 구조상 중요하다. 하지만 주인공이 이름조차 없는 무명이라는 것과 그가 운명은 정해진 것이 아니라 ‘굴리는 것’이라며 주령구를 들고 나타났다는 건 그가 이 틀에 박힌 신분제를 깨는 존재라는 걸 말해준다. 사극이지만 현대극을 사극버전으로 옮겨놓은 듯한 장소와 상황과 설정들이 등장하는 <화랑>은 그래서 그 신분제를 갖고 지금 현재 우리에게 던져진 이른바 ‘금수저 흙수저’의 시대를 얘기하는 중이다.

태생으로 정해진 삶이란 무명처럼 아무 것도 가지지 않고 태어난 이들만 힘겨운 건 아니다. 어쩌면 성골로 태어났으나 그래서 늘 자객의 칼날 아래 위협받으며 숨겨진 채 살아가는 지뒤도, 그렇다고 귀족의 양자가 되어 살아가면서 진골로서 자신을 세워야 하는 운명에 독한 현실적인 선택들을 하며 살아가야 하는 반류(도지한)도 그 운명이 좋다고만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결국 이 골품제라는 시스템은 운명을 태생적으로 결정짓는다는 그것 때문에 그 테두리 안에 살아가는 청춘들을 질식시킨다. 그런데 우리가 지금 사는 현실도 다르다고 말할 수 있을까.



사실 <화랑>의 첫 방송은 6.9%(닐슨 코리아)의 시청률로 생각만큼 좋은 성적은 아니다. 물론 전작이었던 <우리 집에 사는 남자>보다는 높은 수치지만 사극인데다 방영 전부터 화제가 됐던 작품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보면 낮은 수치다. 아무래도 경쟁작인 <낭만닥터 김사부>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렇다고 이 사극의 운명이 이대로 끝날 것으로 단정하긴 어렵다. 무엇보다 무명이 들고 있는 저 주령구가 의미하는, ‘태생적 운명과 대결하는’ 모습이 얼마나 지금의 현실을 살아가는 시청자들의 마음을 공감시키는가에 따라 운명은 바뀔 수도 있다. 과연 <화랑>이 던지는 주령구의 괘는 어느 쪽으로 굴러갈까.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K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