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랑’은 어째서 청춘의 죽음으로부터 시작했을까

[엔터미디어=정덕현] “천인은 그냥 짐승처럼 죽어야 하는 거야? 그깟 성문 좀 넘은 게 죽을 일인가. 왜 우리는 아무것도 아닌 건데!” 둘도 없는 친구 막문(이광수)의 죽음 앞에 무명(박서준)은 절규했다. 그 절규에 대해 막문의 아버지인 안지공(최원영)은 이렇게 얘기했다. “그게 이 신국의 구역질나는 질서다. 그렇게 쉬운 문제가 아니다.”

KBS 월화드라마 <화랑>은 이렇게 한 청춘의 죽음으로부터 시작한다. 그 죽음을 맞은 막문이 원했던 건 그저 아버지와 누이를 만나는 것이었다. 천인 출신인 어머니와 함께 어린 시절 망망촌에 버려졌고, 가족을 찾기 위해 넘어서는 안되는 왕경을 넘어 들어온 것이지만, 그는 삼맥종(박형식)의 얼굴을 봤다는 이유만으로 억울한 죽음을 당한다.

유일한 성골인 삼맥종은 자신을 죽이려는 살수들 틈에서 살아남기 위해 얼굴을 숨긴 채 살아가는 인물. 막문이라는 한 청춘의 어이없는 죽음과 이를 목도한 무명의 절규는 <화랑>이라는 드라마가 겨냥하고 있는 것이 다름 아닌 골품제라는 걸 명확하게 해준다. 무명은 막문의 죽음 앞에 각성하게 되고 이 무참한 신분제 속에서 현실에 대한 복수를 꿈꾸게 된다.

<화랑>이 그리고 있는 세계는 물론 지금 우리가 처한 현실보다 더 참혹한 신분사회다. 그래서 천인으로 태어나면 갈 수 있는 곳과 갈 수 없는 곳이 정해진다. 만일 왕경 같은 곳으로 마음대로 들어왔다가는 죽음을 맞이해도 항변할 길이 없다. 무명은 하지만 이런 한계와 경계를 인정하지 못하는 인물이다. 막문이 왕경에 들어왔다는 이유로 귀족에게 죽을 위기에 처했을 때 무명은 말한다. “왕경에 들어온 천인을 베는 게 니들 법이면 이 선을 넘어온 귀족을 베는 건 내 법이다. 베고 싶으면 넘어와서 베. 다 상대해줄 테니까.”

무명이 주령구(지금으로 치면 16면체 주사위)를 던지는 인물이라는 건 그가 정해진 운명을 걷지 않겠다는 의지를 내포한다. 성골이냐 진골이냐 아니면 반인이냐 천인이냐 같은 것들이 모두 운명을 결정해버리는 사회. 그 곳에서 이제 앞날이 창창한 청춘들은 절망감에 사로잡힐 수밖에 없다. 모든 것이 태생으로 정해지는 사회에서 무명은 그걸 거부하고 주령구를 던지고 있는 것이다.



태후는 신라를 보다 강성한 나라로 만들기 위해 ‘화랑’을 모집하려 한다. 이 제안을 받아들인 위화공(성동일)은 ‘화랑(花郞)’의 의미를 이렇게 풀어냈다. “꽃같이 아름다운 사내. 지혜롭고 어진 제상. 아름답고 특별한 존재. 신국의 미래”. 그것은 아마도 청춘이라면 누구나 추구할 수 있어야할 존재일 것이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무명이나 막문 같은 청춘들에게 ‘화랑’이란 언감생심 꿈꿔서도 안 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결국 <화랑>은 신라시대의 ‘화랑’이란 특수한 청춘들을 통해 현재의 청춘들이 겪고 있는 현실을 반추하게 하는 드라마다. 골품제라는 견고한 신분제도는 지금의 현실로서는 금수저 흙수저로 나뉘는 자본의 신분제로 재현되고 있다 말할 수 있다. 능력이 있어도 노력을 해도 넘어설 수 없는 한계가 보이는 현실. 이것이 골품제와 무엇이 다를까.

“세상에는 너 따위가 열어서는 안 되는 문이 있다. 네가 그 문 앞에 있다.” 삼맥종의 엄포에 무명은 말한다. “사람이 넘지 못하는 길, 가지 못하는 곳, 열어서 안 되는 문, 그딴 게 있어도 된다고 생각 하냐. 다 개소리라 생각한다.” 그가 던지는 일갈이 지금의 현실에도 귓가에 쟁쟁하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K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