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깨비’ PPL이 너무해, 상품이 작품을 뒤덮을 때

[엔터미디어=정덕현의 이슈공감] 김은숙 작가는 확실히 드라마 장인이다. tvN 금토드라마 <쓸쓸하고 찬란하신 도깨비(이하 도깨비)>를 보면 그녀가 거두고 있는 성취가 그간 지속적인 작품 활동으로 쌓여온 공력의 결과라는 걸 확인할 수 있다. 한때 ‘연인 시리즈’로 대중들의 시선을 집중시켰던 그녀는 또한 그 커다란 성공 이후에 그 멜로 코드의 반복으로 슬럼프를 겪기도 했었다. 드라마가 너무 ‘대사빨’로만 가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왔었다. 하지만 그런 과정들을 겪으면서 그녀는 확실히 성숙했던 것 같다.

올해 그녀가 내놓은 <태양의 후예>는 그녀 작품의 본판인 멜로를 액션과 전쟁과 재난 장르로까지 접목시켜 확장시켰다. 그리고 <도깨비>는 이를 판타지까지 넓혀 동서를 뛰어넘는 다양한 서사들을 자유자재로 엮어내는 장인의 경지를 보여줬다. 멜로와 대사에 있어 어떤 경지를 성취한 작가가 이제는 서사와 세계관까지 갖게 됐으니 이보다 강력해질 수가 있을까.

하지만 김은숙 작가가 장인의 경지에 오른 건 드라마의 서사를 짜는 것만이 아니다. 그녀는 또한 PPL에 있어서도 장인 경지에 올랐다. 지금 생각해보면 <시크릿 가든> 때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와 김주원(현빈)의 서재에 놓였던 다섯 권의 시집 즉 ‘아무렇지도 않게 맑은 날(진동규)’, ‘가슴 속을 누가 걸어가고 있다(홍원철)’, ‘우연에 기댈 때도 있었다(황동규)’, ‘나의 침울한, 소중한 이여(황인숙)’, ‘너는 잘못 날아왔다(김성규)’가 화제가 되며 서점가에 이상돌풍을 일으켰던 사실은 놀랍기까지 하다. 책이 PPL로 들어왔지만 그것이 작품 캐릭터와 어우러지고 또 독특한 시적 정서를 만들어냄으로써 드라마의 밀도를 높여주었고, 또한 책 역시 불티나듯 팔려나갔으니.



이런 상황은 <도깨비>에서도 반복된다. 드라마 속에 짧게 등장했던 김인육 시인의 ‘사랑의 물리학’은 이 드라마의 독특한 정서를 만들어내며 서점가를 들썩이게 만들었다. 이 시가 들어 있는 ‘어쩌면 별들이 너의 슬픔을 가져갈 지도 몰라’라는 김용택 시인이 선별한 여러 시인들의 시를 모아놓은 시집은 단박에 베스트셀러 1위에 올랐다. 가끔씩 드라마 속에 회고조로 들어가는 지은탁(김고은)이 밝게 웃으며 통통 뛰는 장면은 이제 ‘사랑의 물리학’의 시 구절을 자동적으로 떠올리게 하는 장면으로 기억되고 있다. PPL을 이토록 작품의 내용과 어우러지게 배치하고 그것을 드라마의 정서로까지 만들어내는 건 김은숙 작가의 PPL 경지가 보통 수준을 넘어섰다는 걸 잘 보여준다.

하지만 이러한 경지가 놀라우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과도하다는 느낌을 주는 건 어쩔 수 없다. 생각해보면 <도깨비>라는 작품은 PPL을 넣는 것이 그 설정 상 쉽지 않다는 걸 알 수 있다. 여기에는 현실적인 인물들이 거의 없다. 도깨비(공유)와 저승사자(이동욱)가 등장하고, 도깨비 신부로서의 지은탁이 등장한다. 이들은 모두 현실적인 인물들이 아니다. 즉 작품 속 판타지적 존재들이라는 점이다. 그런데 놀라운 건 이 작품 속 인물들조차 PPL이라는 상품과 어우러지는 대목이다.



이름도 없고 그 흔한 휴대폰도 없는 저승사자가 스마트폰을 구입해 새로 만난 연인 써니(유인나)에게 전화를 할까 말까 고민하는 그 상황들은 너무나 자연스럽게 PPL로 연결된다. 사실 ‘없는’ 것이 캐릭터인 저승사자이기 때문에 스마트폰 작동법도 익숙하지 않다는 점은 그 PPL이 얼마나 자연스럽게 시청자들에게 해당 스마트폰의 기능을 설명하는데 최적화되어 있는가를 잘 보여준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놀라운 것이 이 상황의 액면은 저승사자가 스마트폰의 PPL을 하는 장면이라는 점이다. 이게 불가능할 것처럼 여겨지지만 김은숙 작가의 세계에서는 가능함을 넘어서 심지어 그 효과를 극대화하는 상황까지 나아간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런 극대화가 과도함으로 인해 시청자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건 물 한 방울이 더해져 넘쳐버리는 잔처럼 아슬아슬하다. 도깨비가 특정 커피를 마시고 숙취해소 음료를 선전하는 건 아무리 봐도 과도하다. 때때로 시청자들은 그래서 어떨 땐 고개를 끄덕이다가도 이건 해도 너무한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PPL을 필요악이다. 드라마가 일정 부분의 제작비를 거둬가기 위해서는 필요하지만 과도해지면 작품 자체를 망가뜨린다. 드라마가 상품이 아니고 작품이 되는 건 그 작품 속의 이야기들이 어떤 세계관을 만들어내고 그것이 시청자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하지만 작품 속에 너무 많은 상품들이 들어가 공감을 방해하고 거대한 상품 전시장 같은 느낌을 주기 시작하면 작품은 상품의 이미지가 압도하게 된다. 시청자들은 지속적으로 상품을 봐야 하는 그 피로함과 불편함을 토로할 수밖에 없다.

김은숙 작가가 드라마의 장인이 되었다는 건 의심할 여지없는 일이 되었다. 하지만 그만큼 PPL의 장인이라는 점은 그 명성에 남는 위태로움이 아닐 수 없다. 적절한 선을 유지하는 것. 작품이 제작될 수 있기 위해 최소한의 PPL을 유지하는 건 모두가 공감할 수 있지만, 아예 이걸로 돈을 벌어보겠다고 작정하는 순간 작품은 상품으로 전락하게 된다. 제 아무리 좋은 이야기라도 이런 상품에 공감을 표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제발 해도 너무 한다는 이야기는 듣지 말아야 하지 않을까.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