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희정의 ‘말하는대로’, 공약보다 소신과 철학 왜 중요할까

[엔터미디어=정덕현] “우리는 국토로 치면 10%. 그 좁은 문을 향해 모두 스펙을 쌓기 위해 등허리가 휘고 있는 것 아닙니까? 이 인 서울(in Seoul)이라는 천정부지의 높은 임대료와 그 아파트의 성냥갑 속에서 우리는 치열한 스펙경쟁에 하루하루를 우리 인생을 소모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헬조선이지요. 지난 20세기까지 중앙집권화된 그 국가권력을 모아서 그 권력을 향해서 모든 사람이 충성을 하라고 그랬고 모든 개성을 잠재우라고 했습니다. ‘닥치고 따라와.’ 그러나 21세기 우리의 행복은 이 집중화된 중앙집권화된 체제에서는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우리는 우리답게 새로운 인생을 만들어낼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우리 새로운 인생 한 번 안 살아볼랍니까?”

JTBC <말하는대로>에서 안희정 도지사의 목소리는 거침이 없었다. 우리 사회가 왜 헬조선이 됐는가에 대한 그의 생각은 명쾌했다. 그는 그 원인을 ‘중앙집권화된 체제’로 명명했다. 전체의 10%밖에 되지 않는 서울에 전체 50%의 인구가 몰려들어 살아남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하는 사회. 그 곳에 가야만 더 높은 임금을 받을 수 있다는 그 암묵적인 강박이 하루하루를 스펙경쟁에 내몰고 그것으로 우리네 인생 대부분을 소모하게 만드는 사회. 그것이 그가 본 헬조선의 실체였다.

안희정은 그러나 그것이 20세기의 삶의 방식이었지 21세기 우리의 삶은 달라야 한다고 강변한다. 사실상 압축 성장이라는 목표를 향해 개인적 삶의 행복 따위는 접어든 채 달려오게 했던 건 강력한 중앙집권 체재를 통해서였다. 우리에게는 군사독재라고도 불리는 그 체재 속에서는 질문 따위가 용납되지 않았다. 안희정이 그 중앙집권화된 권력의 목소리를 “닥치고 따라와”라고 명명한 건 그래서다.

그리고 그 군사독재는 끝났지만 그 잔재의 그림자가 여전히 드리워진 것이 이번 국정농단 사태를 통해 드러난 것이 아닐까. 대기업과의 정경유착과 공적 권력의 사적 착복 같은 군사독재 시절의 통치방식과 하나도 달라지지 않은 정부의 실체가 드러남으로써 달라졌다 착각해온 그 환상을 여지없이 깨고 있는 게 현재의 상황이 아닌가.



<말하는대로>에서 안희정은 이 여전한 중앙집권화된 체제의 문제를 메르스 사태를 거론하며 확인시켜 주었다. 지방에서 생겨난 메르스 의심 환자들의 검사를 반드시 서울에서 확인해야 하는 그 비효율적인 시스템이 국가 위기 상황을 더 위기로 몰아넣는 원인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현재 AI에 이어 구제역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는 국가적 사태에 속수무책인 통제 불능의 정부를 통해서도 확인되고 있다.

<말하는대로>에서 안희정이 던진 “새로운 인생 한 번 안 살아볼랍니까?”하는 그 질문이 더 가슴에 와 닿은 건 그래서다. 물론 중앙집권화된 권력의 예를 인 서울(in Seoul)을 예로 들어 말했지만, 사실 이건 지역분권의 문제를 넘어서 ‘다양성’을 추구하는 사회에 대한 비전이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가지만이 옳고 그래서 그렇게 권력화된 한 가지에 모두가 몰두하는 몰개성한 사회가 아닌 저마다 자신이 원하는 것들을 소신 있게 해나갈 수 있는 다원화된 사회. 실로 안희정이 ‘말하는 대로’의 사회가 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안희정은 공약보다 중요한 게 소신과 철학이라고 했다. 공약은 언제든지 속임수를 쓸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선거 때마다 공약을 보고 뽑게 되면 돌아오는 건 배신감일 수 있다는 것. 그래서 대신 중요한 건 소신과 철학이 보여주는 그 후보의 ‘방향성’이라는 것이다. 철학은커녕 생각 자체가 없어 보이는 권력자들의 민낯을 목도하고 있는 현재, 그리고 조기에 치러질 가능성이 높은 대선을 앞두고 있는 현재 곱씹어봐야 할 말이 아닐까.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JT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