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래퍼’ 장용준 사태가 보여준 홍보의 뼈저린 역류

[엔터미디어=정덕현의 이슈공감] 장용준은 Mnet <고등래퍼> 제작진과 처음으로 만나는 자리에서 “이런 자리 정말 싫어한다”고 첫 마디를 던졌다. 하지만 그는 <고등래퍼>에 나온 이유가 “자신을 알리기 위해서”라고 말했다. 싫어도 방송이 가진 힘을 십분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실제로 첫 출연에 인상적인 무대를 선보였다. 마치 기획사 아이돌처럼 ‘훈훈한 외모’에 래퍼에 걸맞은 반항적인 느낌, 그리고 무엇보다 랩 실력으로 주목받았다. 스윙스는 대놓고 “회사가 있냐”며 묻고는 없다고 하자 “자신과 얘기하자”고 그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기도 했다.

하지만 <고등래퍼>에 출연한 장용준은 그 첫 출연이 마지막 출연이 되었다. 그가 출연한 후 과거 그가 SNS에 올린 글들이 문제가 되었다. 마치 조건만남을 연상하는 듯한 트윗에 그에 대한 관심만큼 논란은 커졌고 여기에 그가 바른정당 장제원 의원의 아들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사안은 일파만파의 양상으로 번져나갔다.

장제원 의원은 지난 표창원 의원과의 한바탕 소동이 화제가 된 바 있고, 그로 인해 대중들의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이 소동은 그에게는 오히려 좋은 계기로 작용했다. 그는 JTBC <썰전>에 표창원 의원과 함께 출연해 두 사람이 화해했다는 걸 보여줬고 청문회에서의 활약상을 통해 보수에도 인물이 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하지만 <고등래퍼>에서 그의 아들 장용준이 논란에 휩싸이면서 그 불똥은 장제원 의원에게도 그대로 튀었고 그건 거기서 그치지 않고 이제 새로 창당한 바른정당으로까지 번져나갔다. 대중들은 마치 장제원 의원이 그간 미디어를 통해 보여준 좋은 이미지가 실체가 아니라는 걸 발견했다는 듯이 실망감을 드러냈다. 결국 정당에까지 불씨가 번져나가자 장제원 의원은 자신이 맡고 있는 당직에서 사퇴했고, 국민들과의 소통수단으로 활용하던 SNS를 폐쇄했다.



장용준과 장제원 의원의 이 이야기는 물론 현재 인성문제에 얼마나 대중들이 민감해하는가를 잘 보여준다. 하지만 이 이야기가 보여주는 것은 단지 이 부자의 불운만은 아니다. 오히려 이러한 인성문제가 민감한 사안으로 등장하는 만큼, 방송 같은 미디어는 한 사람의 이미지를 굉장히 좋게도 만들어낼 수 있지만 동시에 모든 걸 한 순간에 잃게 만들만큼 추락시킬 수도 있다는 걸 이번 사태는 보여줬다.

사실 <고등래퍼> 측은 문제가 이렇게 비화될지 몰랐을 것이다. 장용준이 장제원의 아들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해도 그것은 오히려 장용준에게도 또 <고등래퍼>에도 좋은 홍보의 기회가 될 것이라 예측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주목은 오히려 ‘홍보의 역류’를 만들었다. 굳이 주목받지 않았다면 장용준의 과거 SNS 역시 드러나지 않았을 사안이다. 또 장제원 의원이 최근 미디어를 통해 주목받는 인물이 되지 않았다면 이번 사태가 이처럼 걷잡을 수 없이 커지지 않았을 수도 있다. 물론 그렇다고 해도 비판은 피할 수 없었겠지만.

방송 역시 때론 일정 부분의 노이즈를 가져가는 것이 오히려 프로그램 홍보에는 기회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래서 <고등래퍼>에서 첫 회에 대놓고 약간의 노이즈로 활용된 건 김구라의 아들 MC그리가 이 프로그램에 출연한다는 사실이었다. 금수저 래퍼라는 식으로 프로그램은 노이즈를 깔아놓고 말미에 그를 출연시켜 시청자들의 관심을 증폭시켰다. 하지만 엉뚱하게도 노이즈는 그들이 예상치 못한 장용준에게서 불거졌다.



이런 노이즈는, 물론 <고등래퍼>라는 프로그램을 대중들에게 알리는 충분한 효과를 만들었지만, 너무 큰 파장으로 인해 프로그램 전체의 이미지를 깎아먹는 결과로 이어졌다. 마치 여기 출연하는 래퍼들이 다 비슷비슷한 부류인 것처럼 치부되어 부정적 이미지가 생겼기 때문이다.

장제원 의원도 그의 아들 장용준도 또 <고등래퍼> 프로그램 제작진도 모두 미디어의 힘을 알고 있고 이것을 제대로 홍보의 수단으로 활용했을 때 엄청난 효과가 있다는 걸 전략적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이번 사태는 만일 미디어의 힘에 의해 노출되어 주목받게 된다고 해도 부정적인 어떤 과거사 하나만으로도 ‘홍보의 역류’가 일어난다는 걸 보여줬다. 미디어를 통해 힘을 얻고자하는 이들은 이제 스스로 자신의 삶을 되돌아봐야 하는 상황이다. ‘바르다’는 표현을 애써 갖다 붙인다고 해도 실체가 바르지 않다면 오히려 역풍은 더 거세질 수 있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Mnet, JT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