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임당’, 썩어빠진 교육 그 때나 지금이나

[엔터미디어=정덕현] “사부학당 학동들 새벽부터 밤까지 사서삼경만 주구장창 외워댄다. 여기 아이들 모두 난다긴다하는 명문가 자손들이야. 바깥물정 백성들 고초 따윈 본 적도 관심도 없는 녀석들이야. 이 아이들이 그대로 지들 아버지 자리 물려받아서 또 관원이 되고 그 자식들이 또 관원이 되고 이래 갖고 나라꼴이 어찌 되겠느냐?”

중부학당 교수 백인관이 의성군(송승헌)에게 던지는 이 대사는 <사임당>이 건드리고 있는 교육에 대한 문제의식이 묻어난다. 중부학당에 들어가는 것으로 다음은 성균관, 그 다음은 출사의 길이 보장되는 명문가 자손들. 그리고 학당의 교수들을 쥐고 흔드는 자모회. 물론 이런 설정들은 <사임당>이라는 드라마가 현재적 관점에서 교육의 문제를 사극에 빗대 의도적으로 꺼내놓은 것일 게다.

공부 깨나 한다고 아무나 들일 수 없는 교육기관의 이야기는 거꾸로 이야기하면 능력은 못 미쳐도 집안이 좋거나 부자이거나 하면 들어갈 수 있다는 이야기처럼도 들린다. 그래서 <사임당>이 꺼낸 전라도 부잣집 아들 대룡과 사임당(이영애)의 아들이자 훗날 율곡 이이가 되는 현룡(정준원)이 중부학당에 들어가기 위해 벌이는 경연은 남다른 의미로 다가온다.

대룡을 중부학당에 집어넣기 위해 자모회의 수장인 휘음당(오윤아)이 독선생(지금의 가정교사)까지 붙이고 출제문제를 사전에 유출해 달달 외우게 만드는 대목은 지금 온 나라를 발칵 뒤집어 놓은 부정입학 비리까지 떠올리게 만든다. 하지만 정작 대룡은 공부에 아무런 뜻이 없다. 어찌 보면 오히려 자신이 좋아하는 음식에 조예가 있어 보인다. 하지만 그런 대룡의 의향 따위는 그 어머니에게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그저 출사하기 위해 정해진 길을 걷게 하려는 것일 뿐.

중부학당에 들어가면 자신은 죽을 지도 모른다며 어머니가 밥도 간식도 안 주겠다 하셨다고 말하는 대룡에게 현룡은 정반대 입장인 자신의 처지를 이야기한다. “우리 어머닌 조르고 졸라도 안 된다고 하셨어. 밥 안 먹어도 좋으니 제발 중부학당만 보내달라고 했는데도.” 현룡은 책을 읽는 것이 좋아 밥 먹는 것도 깜박 잊는다고 했다. 아이들은 저마다 성향과 꿈이 다르다.



아이들의 이야기를 엿듣게 되고 문제가 사전 유출된 걸 알게 된 의성군은 그래서 두 아이를 위한 새로운 경연 문제를 내놓는다. 그것은 일종의 ‘솔로몬의 선택’을 재해석한 문제다. 상자 하나를 놓고 향이 다 탈 때까지 서랍을 먼저 잡아 여는 이가 입학을 하게 될 거라는 문제. 그러나 어찌 보면 쉬워 보이는 이 문제 앞에서 아이들은 둘 다 눈물을 흘리며 서랍을 열지 못한다. 상대방의 입장을 너무나 잘 이해하기 때문이다. 현룡은 대룡이 밥도 못 먹게 될 거라는 말 때문에, 대룡은 현룡이 밥 먹는 것도 잊을 정도로 공부가 좋다는 말 때문에, 그들은 서로를 배려한다.

아이들이 무슨 죄가 있으랴. 결국 의성군은 두 아이들을 모두 중부학당에 입학시키기로 결정한다. 그가 입학의 조건으로 본 것은 아이들의 능력이 아니라 인성이다.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 그것이 없다면 배움은 오히려 백성들을 속이고 핍박하는데 사용될 흉기가 될 수도 있는 일이다.

중부학당 교수 백인관이 한탄하는 것처럼 어쩌면 이 모든 작금의 어려워진 현실들은 그 시원이 깨나 오래됐는지도 모른다. “바깥물정 백성들 고초 따윈 본 적도 관심도 없는” 이들이 사서삼경을 달달 외우거나 돈을 써서 관원이 되고 또 그 자식들이 관원이 되는 일들을 반복하면서 굳어져 버린 오랜 적폐들. 어쩌면 이 모든 것들이 교육에서부터 비롯됐는지도 모른다. 우리는 이미 타인에 대한 배려 따위는 전혀 생각하지 않고 오로지 엘리트 코스만 밟아온 누군가가 높은 자리에서 정의를 농단해온 현실을 목도하지 않았던가.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S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