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제목이 ‘초인가족’인가 했더니

[엔터미디어=정덕현] 중간 정도의 위치에서 살아간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 SBS 새 드라마 <초인가족>의 나천일(박혁권)네 가족이 딱 그렇다. 초인1호 나천일. 승진에서 물먹은 만년과장. 화가 나 한번 골탕 먹어보라며 입사 14년 만에 월차를 냈지만, 자신이 없으면 회사가 돌아가지 않을 거라고 믿는 그를 찾는 문자 하나 없는 데 오히려 불안해하고 초조해한다. 이른바 ‘중간관리자’. 하지만 금수저들의 세상에서 ‘개미처럼 일하면 개 미친다’는 걸 그도 알고 있다.

그의 아내 맹라연(박선영)은 잘 생기고 돈도 잘 버는 옆집 남자와 남편이 비교된다. 엘리베이터에서 옆집 남자가 꾼 방귀도 남편이 꿨다고 믿는 그녀다. 그런 그녀에게 나천일은 “유전 무방귀 무전 유방귀”냐고 되묻는다. 그녀가 그렇게 톡톡 쏘는 이유는 너무나 비교되는 살림살이 때문이다. 막장드라마 말고 책을 읽으라는 나천일에게 맹라연은 반전이 넘치는 책이 있다며 가계부를 꺼내놓는다. 늘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반전.

한편 맹라연은 친정 엄마의 생일에서 언니와 동생에게는 값나가는 패물을 주고 자신한테는 돈 될 것 같지 않은 팔찌를 준 엄마에게 뾰로통해진다. 집안에서 늘 중간 역할을 해오며 위아래로 다 챙겨왔지만 자신만 찬밥인 것 같은 기분. 그녀는 엄마에게 왜 자기만 “며느리 취급”하냐고 쏘아붙인다. 그런 그녀에게 나천일은 자신도 그 맘을 안다고 말한다. 중간관리자로서의 고충과 집안에서 중간의 위치에 있는 그녀의 입장이 동병상련이다.



나천일의 딸 나익히(김지민) 역시 중간에 끼어 있는 느낌 때문에 기분이 울적하다. 열심히 노력해도 성적이 잘 안 나오는 것에 시무룩해 하고 자기가 좋아하는 남자 애가 자신의 절친 짝꿍과 친해진 것 같아 마음이 안 좋다. 마치 중간에 꽉 끼어 있는 듯한 기분. 결국 그녀는 집으로 돌아오자마자 방에 들어가 울음을 터트린다. 그녀는 맹라연에게 성적도 중간, 얼굴도 키도 중간밖에 안 된다고 토로한다.

그러자 중간에 끼어 있는 처지를 한탄하던 맹라연은 오히려 딸이 중간이어서 늘 행복했다고 애써 위로해준다. 그러다 갑자기 자신도 중간으로 산다는 게 서럽고 섭섭하고 억울하다며 딸과 함께 눈물을 흘린다. 나천일은 딸에게 “누구나 1등이었던 적이 있다”며 엉뚱하게 그녀가 “5만 마리 정자 중 1등”이었다고 위로한다. 그리고 마침 맹라연에게도 엄마로부터 전화가 온다. 사실은 그 팔찌가 아버지에게 처음 받은 선물로 자신이 가장 소중하게 여기는 것이라는 것. 자기가 제일 좋아하는 걸 주고 싶었다는 엄마의 말에 맹라연은 미안해진다.



나천일에게도 뒤늦게 그를 찾는 회사 상사, 동료들의 메시지가 날아온다. 부장이 보낸 메시지에서 ‘우리 나과장’이라는 표현에 감동하는 그는 여러 동료들의 메시지에 하나하나 답장을 보내주며 기뻐한다. 중간관리자로서 별 티도 안 나는 일을 하는 것처럼 보이는 그지만, 알게 모르게 그의 존재감은 분명히 있었다는 것.

<초인가족>이 첫 회에 가족을 소개하며 ‘중간’에 위치한 그들을 보여준 건 다분히 의도적인 일이다. 그들은 특별할 것 없는 중간을 살아가는 이들이라는 것. 그래서 밖에서도 또 안에서도 모든 게 수직적인 체계로 구분되는 삶 속에서 그들은 상처를 입는다. 그런데 그 상처를 서로 보듬어주는 존재는 다름 아닌 서로 중간의 위치를 공감하는 그들 자신이다.

<초인가족>이 굳이 ‘초인’이라는 지칭을 가족 앞에 붙인 까닭은 작금의 경쟁적인 현실에서 그것을 살아가게 해주는 존재가 결국 가족이고, 그래도 살아갈 수 있게 해주는 가족의 힘이 의외로 ‘초인적인’ 위로와 위안을 준다는 뜻일 게다. 그것은 가족의 힘이 위대하다는 뜻이면서 동시에 우리네 현실을 버텨내기 위해서는 ‘초인적인’ 힘이 필요하다는 뜻이기도 하다. 특히 중간에서 살아가는 우리네 서민들에게는 더더욱.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S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