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인가족 2017’, 아직은 어수선하고 조금은 뻔한 밥상

[엔터미디어=TV삼분지계] ◾편집자 주◾ 하나의 이슈, 세 개의 시선. 각자의 영역을 가지고 대중문화와 관련된 글을 쓰고 있는 정석희·김선영·이승한 세 명의 TV평론가가 뭉쳐 매주 한 가지 주제나 프로그램을 놓고 각자의 시선을 선보인다. 엔터미디어의 [TV삼분지계]를 통해 전문가 세 명의 서로 다른 견해가 엇갈리고 교차하고 때론 맞부딪히는 광경 속에서 오늘날의 TV 지형도를 그려볼 수 있는 단초를 찾으실 수 있기를.

TV가 시청자를 위로하기 위해 구사하는 몇 가지 기술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보는 이들에게 ‘나와 크게 다르지 않은 이들의 삶을 새삼 다시 발견하고 위로받는 경험’을 선사하는 일이다. SBS가 새로 선보인 월요미니드라마 <초인가족>이 노리는 지점도 그것이다. 무겁고 고된 삶을 살아가며, 때로 다투고 서툴게 화해하고 위로하는 평범한 이들의 삶을 묘사하는 것. ‘소시민 찬가’라고 불러도 좋을 법한 이 우직한 전략은 이번에도 통할까? 믿음직한 배우들과 튼튼한 기획의도로 무장한 <초인가족>의 첫 방송을 [TV삼분지계]가 함께 살펴봤다.



◆ 어수선한 밥상 위, 시선을 끄는 ‘중2’의 존재

손꼽아 기다렸다. 얼마나 오랜만에 만나는 시트콤인가. 재벌, 검사, 의사, 실장님, 본부장님 따위가 아닌 그저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을 다룬다기에 기대감이 더 컸던 것 같다. 1,2회를 본 소감을 묻는다면? 글쎄. 이제 막 걸음마를 시작한 상황이 아닌가. 있는 반찬 없는 반찬 다 꺼내 놓은 밥상 같았다고 할지, 등장인물 소개에 머물렀다고 해야 할지. 심지어 대사가 한 두 마디에 그친 인물도 태반이었다. 따라서 아직은 기대 이상이다, 아니다, 뭐라 말을 하기 어렵다. 그래도 주인공 가족부터 회사 식구들까지 모두 호감 가는 연기자들로 채워졌으니 다음 회를 기다려볼 밖에. 캐릭터만 확실하면 서로 유기적으로 얽혀 스스로 이야기를 만들어간다는 얘기를 믿어보자는 거다.



<초인가족>에 관심이 가는 이유 중 하나는 그 무섭다고 소문난 ‘중2’가 등장하기 때문이다. 한동안 TV는 너무하다 싶게 청소년을 소외시켰다. 청소년 드라마는 아예 자취를 감췄고 어쩌다 고등학생이 주인공이어도 재벌 상속자거나 일명 ‘짱’이거나, 평범한 청소년들의 삶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그러다 최근 들어 MBC <아버님 제가 모실게요>에서 한지훈(신기수), 한창수(손보승), 두 중학생 캐릭터가 감초 노릇을 톡톡히 하기 시작했는데 <초인가족>의 나천일(박혁권), 맹라연(박선영)의 딸 나익희(김지민), 그리고 그의 친구들이 요즘의 중학생을 제대로 대변해주길 바란다. 귀엽고 엉뚱 발랄한 나익희가 이 드라마를 통해 어떤 성장을 보여줄지 기대가 된다.

칼럼니스트 정석희 soyow59@daum.net



◆ 편견을 반복하는 걸 두고 보편이라고 할 수 있나

<초인가족>이 내세운 무기는 ‘보통의 공감’이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40대 중반의 만년과장 나천일(박혁권)이나, 마이너스 통장을 굴리며 이 악물고 살아가는 그의 아내 맹라연(박선영) 등의 캐릭터들은 다들 어느 길모퉁이에서 한번쯤 마주쳤을 것 같은 얼굴들이다. 하루하루가 생존 투쟁인 2017년 소시민들의 삶을 위로하겠다는 제작진은, 조금은 상투적일 수도 있는 인물들을 과감히 극의 중심에 세워 공감의 문턱을 낮추는 것으로 그 목표를 달성하려 한다. 이런 ‘평범’한 소시민들이 영유하는, 대단한 갈등도 없고 엄청난 사건도 없는 시시콜콜한 일상을 전면에 내세우는 담백한 홈 드라마. 가까이는 조석의 원작을 시트콤으로 옮긴 KBS <마음의 소리>부터 SBS <순풍산부인과>, 멀게는 MBC <한 지붕 세 가족>까지 공유하는 DNA다.



문제는 <초인가족>이 생각하는 ‘보통’과 ‘평범’이 과연 두루 쉽게 ‘공감’할 만한 것인가 하는 점이다. 캐릭터 설정이 인터넷에 공개되었을 때 안대리(박희본)를 ‘30대 중반이 되도록 아무도 안 데리고 가서 안대리’라고 서술한 설명이 다소간의 논란이 되었던 것처럼, 2017년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다양한 삶의 모습이 합당한 존중을 받는 게 아니라 기존의 편견을 쉽게 반복하는 식으로 묘사되는 것이다. 팍팍한 삶 때문에 남들처럼 해외 여행이나 명품 가방 사진을 SNS에 올리지 못하는 처지를 한탄하던 라연은 뻔하게도 ‘남편과 아이에게 상다리가 부러져라 근사한 음식을 차려주는 주부 9단인 나’를 연출하고, 천일은 결혼 후 몸이 불어난 아내의 사진을 그대로 지갑에 넣기엔 남들 눈이 신경 쓰인다는 이유로 사진에 과도한 보정을 가한다. 이걸 ‘보편’이라 말해도 좋은 걸까? 가사노동에 뛰어나다는 점을 자랑하며 기뻐하는 주부와, 아내의 외모를 부끄러워하는 남편을? 글쎄, 조금은 불안해 보인다.

칼럼니스트 이승한 tintin@iamtintin.net



◆ 정말 2017년 맞나요?

<초인가족 2017>이 제목에 굳이 ‘2017’을 포함한 것은 현재 대한민국의 좌표를 생생하게 그리겠다는 의도다. 갈수록 혹독해지는 생존조건 아래 슈퍼파워를 넘어 ‘울트라 슈퍼파워’를 요구받는 소시민들의 모습을 지칭하는 ‘초인’은 윤태호 작가의 ‘미생’만큼이나 이 시대 구성원들의 실존적 초상을 잘 표현한 단어로도 보인다. 하지만 실제 극 중에서 그러한 의도를 충분히 구현했는가는 다른 문제다. 회사에서는 비주류 만년 과장, 집에서는 실속 없는 가장인 나천일(박혁권), 대한민국의 평범한 주부 9단 맹라연(박선영), 엉뚱한 중2병 외동딸 나익희(김지민)의 모습은 이미 이전의 가족극에서 숱하게 만난 인물형들이다. ‘2017년’을 실감할 수 있는 지점은 눈에 띄지 않는다.



가장 당혹스러운 것은 맹라연이라는 캐릭터다. 완벽하고 잘생긴 옆집 남자는 방귀도 안 뀔 거라 믿고, 막장드라마에 한껏 감정이입하다가 남편에게 “책을 좀 봐”라는 핀잔을 들으며, 남편이 포토샵으로 매만진 자신의 과거 사진을 보고 “어떤 년이야?”라고 화내는 모습 등은, 아무리 가족에게 헌신하다 지친 전업주부라 해도 요즘 40대 초반 여성들의 현실이라기엔 너무도 과장된 묘사다. 특히 2회에서 라연이 자신을 무시하는 가족들을 향해 ‘나도 옷 사 입고 마사지 받고 일하는 아줌마 두고 자랑하면서 살고 싶다’며 억눌린 감정을 표출하는 장면은 여성의 욕망에 대한 이 작품의 편협한 시각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SNS 요리 자랑으로 자아실현하는 장면도 마찬가지다. 무려 20년 전 작품인 <순풍 산부인과>에서 전업주부 선우용녀가 사회적 자아의 희미함을 ‘주전자’라는 시를 통해 표현했던 장면과 비교하면 이 드라마의 상상력은 얼마나 안이하고 시대착오적인가.

칼럼니스트 김선영 herland@naver.com

[사진=S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