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고인’, 기억의 문제가 유독 중요하게 다가오는 까닭

[엔터미디어=정덕현] 고구마다. 사이다다. SBS 월화드라마 <피고인>에 대한 의견들은 눈을 뗄 수 없다는 호평에서부터 마치 시청자 본인이 감옥에 갇혀 있는 듯 답답하다는 볼멘소리까지 다양하다. 그도 그럴 것이 아내를 살해했다는 살인죄 누명을 쓰고 심지어 기억까지 잃은 채 감옥에 갇히고 마침내 탈옥에 성공한 박정우(지성)가 조금씩 기억을 찾아가고 또 닥친 문제들을 하나하나 풀어가는 과정은 흥미로울 수밖에 없다.

하지만 그 과정이 한 회에 단서 하나로 매듭 하나를 풀고, 그렇게 풀어진 매듭도 다시금 진짜 살인자인 차민호(엄기준)에 의해 다시 꼬이는 과정을 거듭하다 보니 시청자들은 사이다를 기다리다 연거푸 목구멍으로 밀어 넣어지는 고구마에 턱턱 숨이 막힐 지경이다. 도저히 16회만으로는 스토리를 마무리 지을 수 없다며 2회 연장을 선언한 것에 대해 그럴 거면 더 빠른 전개를 했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는 건 그래서다.

그런데 이러한 호평과 비판이 엇갈리는 가운데, <피고인>이 시청자들의 시선을 붙잡아두고 있는 건 그 밑바닥에 깔려 있는 어떤 무언가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건 바로 우리에게는 하나의 트라우마이자 넘어야할 산으로 다가오고 있는 ‘기억의 문제’다. 왜 하필 박정우는 기억과 망각을 거듭하는 걸까. 감옥에서 그를 봐주는 정신과 의사는 그에게 말한다. 너무나 고통스런 기억이기 때문에 그것이 어느 한계를 넘으면 자신을 스스로 보호하기 위해 망각이라는 기제를 꺼내든다는 것. 결국 박정우는 차민호와 대결하고 있는 것이지만, 내적으로는 스스로와도 싸우고 있는 중이다. 그것은 바로 기억과 망각의 대결이다.



왜 기억과 망각의 이 대결이 의미심장하게 다가오는 걸까. 그것은 우리 사회가 갖고 있는 무수한 사건사고들이 바로 이 기억과 망각의 대결로도 읽히는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삼풍백화점 붕괴, 성수대교 붕괴 등이 연달아 벌어졌을 때마다 우리는 ‘안전 불감증’에 걸린 우리 사회의 문제들을 지목하곤 했다. 하지만 어째서 이런 일들은 멈추지 않았을까. 그리고 급기야 세월호 참사 같은 참담한 일들까지 벌어졌을까. 결국 당시에는 잊지 말자고 했던 그 다짐들이 금세 망각으로 지워져버리고 원점으로 돌아갔기 때문이다.

이런 기억과 망각의 문제는 비단 사고에만 머물지 않는다. 갖가지 정관계 비리들이나 법조계 비리들, 정경유착, 더 시원을 따라 올라가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친일파 청산 문제, 지금까지도 이렇다 할 사과를 제대로 받아내지 못한 위안부 문제 등등. 사안들이 터질 때마다 기억하자고 우리는 얘기했지만 어느 순간 마치 최면이라도 거린 듯 다시금 망각의 바다 속으로 빠져버렸다. 그건 책임자 처벌과 같은 제대로 된 사후처리가 이뤄지지 않음으로써 오히려 가중된 고통 속에서 우리 스스로 그 아픔을 지워내려 했던 탓은 아니었을까.

박정우가 처한 상황이 딱 그렇다. 그 고통을 제대로 마주해야 비로소 그 고통스런 ‘기억의 감옥’ 속에서 빠져나갈 수 있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그 고통을 끝까지 마주 봐야 한다. 망각의 유혹이 고개를 들어도 그걸 이겨내야 한다. 그래서 결국은 진실을 밝혀내고 진범을 처벌 받게 해야 비로소 ‘기억의 감옥’에서 풀려날 수 있다. 만일 그렇게 확실한 결말을 내지 못한다면 그는 끝없이 반복되는 기억의 고통과 망각 속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우리가 현실에서 끝없이 반복되는 사건과 사고로 고통스런 삶을 계속 살게 되었듯이.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S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