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적’, 이토록 흥미로운 홍길동의 재해석이라니

[엔터미디어=정덕현] 난세는 영웅을 원하는 걸까. 1998년에 방영됐던 SBS 드라마 <홍길동>은 당시 IMF 외환위기라는 시국과 맞물리며 대중들의 열광을 이끌어냈던 바 있다. 그렇다면 2017년 현재 홍길동을 재해석한 MBC 월화드라마 <역적>은 이 시국의 어떤 지점들을 겨냥하고 있을까.

<역적>은 홍길동이라는 인물을 다루면서도 그 이름을 제목에 넣지 않았다. 대신 ‘역적’이라는 다소 도발적인 제목을 달게 된 건 이 드라마가 홍길동을 소재로 가져왔지만 그 이야기는 우리가 알던 ‘홍길동전’과는 다를 거라는 걸 말해준다.

실제로 <역적>은 홍길동(윤균상)을 서자 출신의 적서차별을 겪는 인물로 그리지 않고 아모개(김상중)라는 순수 노비 혈통의 아들로 탄생시켰다. 게다가 도술을 부리는 홍길동이 아닌 애기장수 설화를 가져와 홍길동을 엄청난 괴력의 소유자로 그려냈다.

길동이 시대의 역적이 되어가는 그 과정은 신분사회의 구조 안에서 물건 취급받으며 살아가는 노비들의 처지를 통해 자연스럽게 그려진다. 어머니가 죽음을 당하자 주인을 죽이고 익화리에서 새 삶을 살아가던 길동이네 집안과 이웃들은 복수의 칼날을 갈던 참봉부인 박씨와 그녀를 돕는 충원군(김정태)에 의해 갈갈이 찢어진다.

아모개는 옥사에서 모진 곤욕을 치른 후 가까스로 목숨만 살려냈고, 길동의 형과 여동생은 모두 뿔뿔이 흩어진다. 길동이 다시 아버지와 그를 형제처럼 따르던 무리들을 모아 충원군에게 복수를 해가는 과정은 그래서 개인적인 복수이면서 동시에 신분사회의 구조를 무너뜨리는 혁명적 행동이 된다.



즉 1998년에 다뤄진 <홍길동>이 백성을 핍박하는 양반들과 싸우는 서민 영웅의 양상을 보여줬다면, <역적>은 제목과 이야기 설정에서부터 보이듯 훨씬 더 국가 체제 자체와 싸워나가는 영웅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단순히 양반들 곳간을 털어 백성들에게 나눠주는 것 정도로는 비뚤어진 세상을 바꿀 수 없다는 걸 이 드라마가 정확히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역적>은 사건 전개만이 아니라 홍길동과 그 가족, 이웃들이 살아가는 방식과 연산군(김지석)을 위시해 그 수직적인 권력 구조 속에서 백성들을 핍박하며 살아가는 방식을 대비시킨다. 홍길동과 함께 하는 가족 같은 익화리 사람들의 차별 없는 삶은 그들이 밥을 지어먹는 장면에서부터 여실히 나타난다. 남자고 여자고 나이가 많고 적고를 떠나 다 함께 밥을 짓고 고기를 구워 먹는 장면은 그들이 강조한 ‘형제로서의 삶’을 잘 보여준다.

<역적>이 세상의 오랜 적폐와 대결하는 방식은 그래서 훨씬 더 세련되어졌다. 즉 복수나 치기어린 협객 흉내가 아니라 자신들이 꿈꾸는 ‘형제로서의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을 꿈꾸고 실행하는 것으로 세상과 대결하고 있다는 것. 마치 그래픽 노블을 보는 듯 어찌 보면 만화 같은 이야기를 사뭇 진지하게 풀어내는 <역적>의 방식은 그래서 지금의 시국과 절묘하게 어우러진다. 권력을 사유한 자들의 농단 앞에 촛불을 들고 있는 국민들이 그간의 적폐를 깨고 새로운 세상을 요구하고 있는 현재, <역적>의 울림은 더욱 클 수밖에 없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M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