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적’, 기꺼이 홍길동과 함께 역적이 되고픈 이유

[엔터미디어=정덕현] 연산(김지석)의 폭정은 날이 갈수록 혹독해진다. 여악들이 아기를 낳자 그 아기를 엄마에게서 떼어낸 후 땅에 묻어버리라고 하고, 임금이 사냥을 나오는 곳에 들어오는 자는 목을 잘라 성문 앞에 내건다. 급기야 학정을 견디다 못한 백성들이 ‘익명서’를 붙인다. 지금으로 치면 대자보다. 그 익명서를 붙이다 잡힌 이들은 역시 죽을 때까지 두드려 맞는다.

MBC 월화드라마 <역적>이 하필이면 연산군 시절의 그 암흑기를 사극의 소재로 삼은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어 보인다. 결국 사극이란 과거의 어느 시점을 현재로 가져오는 것이고, 따라서 그 시점이란 현재와 조우하는 무언가가 있기 마련이다. 그것은 <역적> 작가의 우리네 현재의 삶이 겪고 있는 고통과 아픔이 연산군 시절의 그것과 그리 다르지 않다는 인식이다.

<역적>에는 지금의 우리가 처한 시국 상황을 연상시키는 대목들이 다수 등장한다. 익명서를 붙였다고 끌려가 죽어가는 백성들을 보다 못한 길동(윤균상)이 그들을 구해내고 싶다고 하자 길동의 형 길현(심희섭)은 궁의 담이 높아서 백성들이 그걸 넘지 못하는 게 아니라고 한다. 그것보다는 감히 임금을 범하지 못하는 그 ‘마음의 담’이 높아서라는 것.



지난 탄핵 정국 때 대통령을 감히 넘어서는 안 될 신성한 존재처럼 감싸던 이들이 갖고 있는 것이 바로 이런 ‘마음의 담’일 것이다. 이미 시대는 왕의 시대가 아니라 국민의 시대로 바뀌었는데, 여전히 과거에 살아가는 이들은 대통령을 받들어야 할 존재로 여기고, 국민은 왕에 의해 다스려진다는 생각을 버리지 못한다.

그렇게 ‘마음의 담’이 공고해지는 건 임금 혼자가 아니라 그 주변을 둘러싼 촘촘한 권력구조 때문이다. “그래. 전하는 조선의 쌀이고 군사고 땅이지. 해서 전하 뒤에 숨어 쌀과 군사와 땅을 얻는 자들이 많아. 그자들은 아무리 임금이 학정을 해도 자신들의 안위만 보장된다면 절대 움직이지 않는다. 그자들이 움직이지 않으면 임금은 안전해.”

임금 주변에 달라붙어 권력과 사익을 추구하는 비선실세들이 존재하고, 그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임금을 보호 하려고 하기 때문에 그 ‘마음의 담’이 무너지지 않고 공고해진다는 걸 <역적>은 길현의 목소리를 통해 드러낸다. 결국 여기서 세상을 바꾸기 위해 필요한 건 백성 스스로 의식을 바꾸는 일이다. 그래서 길동은 숨어서 움직이는 도적이자 의적이 아니라, 나서서 세상을 바꾸는 역적이 기꺼이 되려 한다.



“성님, 말을 들으니 사람들 마음의 담이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건 줄 이제야 알겄소. 해서 밤에 몰래 백성들 꺼내오는 일은 안하겄소. 대신 벌건 대낮에 백성들 꺼내 올랍니다. 만약 벌건 대낮에 임금님 안방에 들이닥친 미친놈들이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 백성들 마음의 담이 좀 낮아지지 않겄소?” 숨어서 싸우는 것이 아니라 나서서 모든 것들이 명명백백하게 드러나게 싸워나가는 것. 이것은 우리가 최근까지 촛불을 들고 부조리를 알리려고 했던 그 집회의 의미와 크게 다를 바 없다.

그리고 그 궁극의 목표는 사람 목숨을 파리 목숨처럼 여기는 임금이지만 감히 범할 수 없다는 ‘마음의 담’ 때문에 하지 못했던 임금을 바꾸는 일이다. “하늘에서 큰 눈이나 우박이 내리면 한 해 농사를 다 망쳐버리지요. 그런데 어쩌겠소. 그건 우리 인간의 힘으로 어찌할 수 있는 것이 아니지 않습니까. 하지만 임금님은 하늘에서 내리는 우박도 아니고 큰 눈도 아닙니다.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바꿀 수 있는 것이요.”

길동의 이 연설은 마치 탄핵 정국에서 광화문 광장에서 들려오던 그 목소리들을 고스란히 연상케 한다. 연산의 폭정과 비선실세들 그리고 이어지는 탄핵의 목소리. <역적>은 탄핵 정국을 일찌감치 예견이라도 했던 걸까.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M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