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식당’, 자동차가 없는 그 곳에서 살고 싶다

[엔터미디어=정덕현의 낮은 목소리] 만일 자동차가 없는 곳에서 산다면 어떨까요? 당장 불편할 것 같지만 사람들 사이의 관계나 함께 살아가는 삶은 자동차가 있는 세상과는 완전히 다르지 않을까요? 현실성 없는 이야기라고요? tvN 예능 프로그램 <윤식당>이 보여주는 발리의 작은 섬이 그런 곳입니다. 자동차는 없고 대신 마차를 이용하고 사람들은 다 똑같이 자전거를 타거나 걸어 다니죠.

우리나라에서 종종 갑질 고객 이야기가 나오는 뉴스나 드라마의 공간이 주차장입니다. 한 백화점에서 주차요원을 무릎 꿇리는 장면이 대표적이죠. 그 장면의 배경처럼 보이지만 갑질 고객의 뒤편에 서 있는 고가의 자동차는 사실은 그 상황의 주역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 자동차에는 ‘내가 이런 정도의 차를 타고 다니는 사람이야’, 하는 과시와 그러니 ‘이런 서비스는 당연히 받아야 돼’ 라는 비뚤어진 의식이 담기기도 합니다. 어쩌다 우리나라에서 자동차는 그 사람의 위세를 알리는 상징처럼 되어버렸죠.

하지만 <윤식당>이 있는 그 곳에는 그런 자동차가 없습니다. 물론 여행지로서 환경을 지키기 위해 자동차를 없앤 것이지만, 이렇게 하자 그 곳의 풍경 또한 완전히 달라집니다. 다 같은 눈높이에서 자전거를 타고 지나는 사람들은 서로에게 눈빛을 보냅니다. 혹여나 정유미 같은 외지인이 자전거를 타고 가다 스카프를 떨어뜨리면, 소년이 그걸 주워서 자전거를 타고 쫓아와 무심한 듯 건네주고 갑니다.



가진 것이 위계가 되지 않는 그 곳에는 일하는 사람이나 손님이나 늘 밝은 얼굴입니다. 만나는 것 자체가 굉장한 스트레스가 되기 십상인 우리네 풍경과는 너무나 다르죠. 식당을 찾는 손님도 또 식당에서 일하는 이들도 서로에 대한 존중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식사 전에 먼저 패들 보드를 빌려 타고 싶다는 손님에게 선선히 보드를 빌려주고, 손님은 약속을 잊지 않고 늦은 점심을 먹으러 찾아옵니다.

자동차가 없다는 사실은 또 다른 걸 의미하기도 합니다. 그것은 그 곳의 삶 자체가 돈 벌기에 대한 욕망 그 자체보다 삶을 즐기는 쪽에 맞춰져 있다는 것이죠. 자동차가 의미하는 속도나 능률, 효율 같은 것들은 대부분 ‘돈 벌이’와 무관하지 않은 것들입니다. 물론 그 곳에도 일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윤식당은 일과 놀이의 접점에 있는 곳처럼 보입니다. 눈앞에는 언제든 손만 뻗으면 닿을 수 있는 바다가 펼쳐져 있고 그 곳에는 바다거북이가 찾아와 헤엄을 치곤 하죠. 로망이 아닐 수 없습니다. 우리처럼 일터가 놀이의 공간과는 완전히 분리된 채, 일종의 전쟁터처럼 되어 있는 곳하고는 완전히 다르죠.



모든 일이 그렇듯이, 돈을 벌려고 하는 일들은 스트레스를 주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윤식당은 돈을 벌려고 일을 하는 것처럼 보이지 않습니다. 손님들 한 명 한 명을 말 그대로 소중한 손님으로 대하고 그들이 내놓은 음식을 맛있게 먹어주면 그게 또 행복합니다. 손님이 많이 몰려와 일이 많으면 버겁지만 그래도 웃음이 나오고, 또 손님이 전혀 없어 일을 놓고 있을 때도 허전하긴 하지만 그래도 손님을 기다립니다. 큰 돈을 벌지는 못하겠지만 그래도 행복하게 살만큼의 돈을 벌 것 같습니다. 그건 일을 한다기보다는 마치 식당 소꿉놀이를 하는 느낌이죠.

<윤식당>이 이토록 우리에게 판타지를 주는 건 그 곳이 일하는 사람들이나 노는 사람들이나 모두가 즐겁고 행복하기 때문이죠. 일이 많아도 걱정, 적어도 걱정이지만 그 행복감을 바탕으로 하면 일이 많아도 행복, 적어도 행복일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자동차라는 위계의 상징이 없는 그 곳은 위계에서 시작해 위계로 끝나는 우리네 삶의 공간과는 너무나 다르게 다가옵니다. 우리에게 이런 놀이터 같은 일터는 요원한 꿈일까요?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