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 타자기’에는 먼저 간 청춘들의 넋이 어른거린다

[엔터미디어=정덕현] “니가 틀렸어. 너 때문에 내가 죽을 뻔 한 게 아니라 내가 죽을 뻔 한 위기의 순간마다 니가 날 살려줬던 거야. 니가 없었으면 나는 사제 총에 맞아죽고, 차 사고로 죽고, 오토바이에 치어서 죽었을 지도 몰라. 당연히 작가로서의 생명도 끝났을 지도 모르고. 우리가 만난 건 우연이 아닐 거라고 했잖아. 내가. 그 이유 이제 알 것 같아. 전생에 못 지켰으니까. 이번 생에 지키라고. 그리고 또 아마도 전생에 내가 너를 사랑했던 것 같은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음을 닫았던 것 같은데 내가. 해방된 조국에서 만나 마음껏 연애하라고. 죗값이 아냐. 면죄야. 그래서 내가 오늘 조국을 위해 뭔 짓 좀 해보려구.”

tvN 금토드라마 <시카고 타자기>에서 한세주(유아인)가 전설(임수정)에게 하는 이 말은 자못 비장하고 절절하다. 전생과 후생으로 얽힌 인연. 아마도 자신이 전생에 그를 쐈을 거라는 자책감으로 인해 현생에서 벌어지는 사건 사고들 역시 그 악연이 이어지고 있는 거라 믿는 전설. 하지만 그녀에게 한세주는 그것이 악연이 아니라 인연이고, 그 때 지켜주지 못한 걸 이번 생에 지키라는 뜻이며 따라서 죗값이 아니라 면죄라고 말한다.



어떤 이유에서인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했던 그들은 죽음을 맞이했다. 전설이 보게 되는 전생의 장면들은 자신이 그를 향해 총을 쐈을 거라는 믿음을 갖게 만든다. 그게 어떻게 된 것인지는 나중에 밝혀질 것이지만, 생각해보면 그 비극적인 사건은 그들의 의지에 의해 비롯됐다기보다는 누군가의 조작이나 함정에 의해 빚어진 일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들은 모두 독립운동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갖고 있었고, 그래서 사적인 사랑의 감정조차 그 대의 앞에 접어두고 있었다.

그러니 한세주와 전설, 그 누구의 잘못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아마도 당시 밀정으로 활동했던 백태민(곽시양)이나 전생에 카르페디엠의 마담이었던 현 전설의 엄마(전미선)와 관련된 어떤 사건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들의 비극적인 삶은 그래서 일제강점기 그 시대의 총칼에 맞서 싸우다 스러져간 이름 없는 청춘들을 떠올리게 한다. 한세주와 전설의 멜로가 그저 현대식 사랑이야기에 머물지 않고 훨씬 절절해지고 비장해지는 이유는 이처럼 전생으로서 일제강점기의 청춘들의 넋이 드리워져 있기 때문이다.



이즈음에서 한세주와 가까워진 걸 “전생에 나라를 구했다”고 전설이 말하자 친구인 방진(양진성)이 독립운동을 한 이들은 오히려 더 어렵게 살게 된 현실을 꼬집으며 “전생에 나라를 팔아먹는 것”이라고 농담처럼 던지는 말이 새삼스럽게 다가온다. 일제강점기에 나라를 팔아먹은 자들은 지금까지도 그 후손들이 떵떵 거리며 살고 있지만 젊은 청춘을 희생해 독립운동을 하던 그들은 곤궁한 삶을 이어가고 있는 현실. 그러면서도 그것이 전생에 이어 후생까지도 죗값을 받고 있다고 자기 탓으로 돌리는 삶이라니.

이러한 시대적 안타까움과 비장함이 담겨있기 때문일까. <시카고 타자기>에 깔리는 OST 중 SG워너비가 부르는 ‘우리의 얘기를 쓰겠소’라는 곡은 마치 ‘임을 위한 행진곡’을 듣는 것처럼 듣는 이들의 마음을 먹먹하게 만든다. ‘여기 우리의 얘기를 쓰겠소. 가끔 그대는 먼지를 털어 읽어주오.’로 시작하는 그 목소리는 그대로 <시카고 타자기>라는 드라마가 하려는 이야기를 말해주는 듯하다.

이름도 얼굴도 알려지지 못한 채 청춘의 그 어떤 즐거움도 유예하고 싸우다 스러져간 이들의 이야기를 다시 쓰고 기억해달라는 것. 심지어 전생과 후생을 이어 붙여서라도, 나아가 전생에 죽지 못하고 구천을 떠도는 청춘의 유령의 입을 통해서라도 그 먼지 덮인 얘기를 다시금 할 것이라고. 그러니 그 얘기를 들어달라고 <시카고 타자기>는 말하고 있다. 그것이 한세주와 전설이 엮어가는 사랑이야기가 특별한 무게감으로 가슴에 와닿는 이유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