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다 카터의 ‘원더우먼’과 갤 가돗의 ‘원더우먼’

[엔터미디어=정덕현의 그래서 우리는] 사실 슈퍼히어로물의 세계에서 여성 히어로의 지분은 낮았다. 마블이 탄생시킨 블랙위도우(스칼렛 요한슨) 정도가 두드러진 여성 히어로의 존재감이 아닐까 싶다. 그런 점에서 DC가 탄생시킨 영화 <원더우먼>에 대한 기대와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았다. 그리고 개봉된 <원더우먼>에 대한 국내외 반응들은 물론 호불호가 나뉘는 부분이 있지만 대체로 호의적인 편이다.

갤 가돗 주연의 <원더우먼>이 그 시대적 배경을 1차 세계 대전으로 삼은 건 실로 신의 한 수가 아니었나 싶다. 전쟁의 신 아레스와 대적할 수 있게 탄생된 여성영웅이라는 설정과 1차 세계 대전의 그 빗발치는 총탄 속으로 뛰어 들어가는 이 여성 히어로의 모습은 상징과 실감을 동시에 충족시켜주는 장면이 되었기 때문이다.

전쟁의 신 아레스가 남성으로 그려져 있고, 그 남성성과 대항하는 여성성으로서 원더우먼 다이애나 프린스가 무고하게 죽음을 맞이하는 인간을 위해 전장 한 가운데로 뛰어드는 장면은 마치 신화를 담은 그림처럼 선명하다. 다이애나는 그래서 전쟁이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파괴와 폭력에 맞서는 슈퍼히어로로 세워진다.



게다가 1차 세계 대전의 전장 속에서 싸우는 다이애나의 모습은 처음부터 초인적인 모습을 드러내지는 않는다. 다만 날아오는 총알을 손목의 팔찌와 방패로 막아내고 놀랄만한 점프력과 괴력을 발휘하는 장면으로 그 힘을 인지시키고, 차츰 후반부의 상상을 초월하는 아레스와의 대결로까지 이어놓는다. 황당할 수 있는 장면을 1차 세계 대전이라는 시대상황 속에서 조금씩 그 힘을 납득시키면서 차츰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간 건 다분히 전략적이다.

여성 관객들의 입장에서 보면 다이애나 같은 여성 히어로가 전장에 뛰어들어 전쟁의 방향을 바꿔버리는 그 액션에 카타르시스를 느낄 만하다. 갤 가돗은 다이애나가 가진 그 강인함과 순수함을 연기로 잘 표현해냈다.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며 만들어낸 멜로 상황 역시 ‘사랑’이라는 감정을 폭력과 맞서게 하는 힘으로 그려내기 위한 설정으로서 담아낸 것도 이 영화가 꽤 균형감각을 갖고 있다는 걸 확인하게 해준다.

하지만 <원더우먼>의 발목은 잡은 건 의외로 갤 가돗이라는 배우에게 갑자기 터진 시오니스트 논란이다. 이스라엘 출신으로서 군 복무 경험이 있는 갤 가돗은 2014년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의 민간인 대피지역에 무차별 폭격을 했을 때, SNS에 이스라엘 군을 독려하는 글을 올린 것이 문제가 됐다. 이런 전적을 가진 그녀가 전쟁과 맞서 싸우는 원더우먼을 연기한다는 것이 맞지 않다는 논란이 생겨난 것. 그래서 영화와 배우를 분리해서 봐야 한다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다.



<원더우먼>의 갤 가돗 논란이 생겨나면서 갑자기 부각된 인물은 과거 동명의 TV 시리즈로 우리에게 영원한 원더우먼으로 남아있는 린다 카터에 대한 관심이다. 물론 당시의 TV 시리즈는 원더우먼을 다소 성 상품화하는 방식으로 소비한 면이 있다. 하지만 이를 연기했던 린다 카터는 현재 재즈 가수로 활동하고 있으며 성소수자에 대한 지지를 표명한 페미니스트로서도 잘 알려져 있다.

그녀는 과거 TV시리즈가 그려냈던 원더우먼 캐릭터에 대한 불만을 털어놓은 바 있다. 그녀는 원더우먼의 본질이 ‘슈퍼파워’가 아니라 ‘따뜻한 마음과 지성, 선의’라고 밝히며, 작가들이 “남자 슈퍼히어로에 여자 옷만 입혀놓았을 뿐 다른 고민을 하지 않은 것 같다”고 밝히기도 했다. 물론 이것은 현재 영화화된 <원더우먼>을 두고 하는 말이 아니라 과거 TV 시리즈에 대한 불만의 토로다. 그 린다 카터가 꿈꾸던 여성 히어로의 모습을 현재 영화 <원더우먼>은 잘 그려냈다고 보인다. 물론 갤 가돗 논란이 그림자를 드리우곤 있지만.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영화 <원더우먼>스틸컷]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