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자’, 돼지를 향해 직진하는 소녀가 주는 감동이란

[엔터미디어=정덕현의 그래서 우리는] (본문 중 영화 내용의 누설이 있습니다. 영화를 관람하실 분들은 참고 바랍니다.) 봉준호 감독의 새 영화 <옥자>는 단순명쾌한 영화다. 도축될 위기에 처한 유전자 조작으로 탄생한 슈퍼돼지 옥자를 미자(안서현)가 구하는 이야기. 하지만 이 단순한 마치 동화 같은 이야기에 봉준호 감독은 무수히 많은 상징들을 넣어 그 울림을 극대화했다. 영화는 단순하지만 영화 속 인물들(슈퍼돼지 옥자를 포함해)이 처하는 상황과 그 상황에서 그들이 보여주는 선택과 행동은 그래서 곱씹어보면 꽤 많은 의미들로 읽혀진다.

산 속에서 자유롭게 살아가던 옥자와 미자가 초반 보여주는 벼랑 끝에서의 생존 장면은 그저 대상이 아닌 가족으로서의 둘의 관계를 곧바로 드러내고 후에 이어질 옥자 구출작전에 아무런 고민도 없이 뛰어드는 미자의 행동을 너무나 쉽게 이해시킨다. 영화 속에서 미자는 마치 자연 그대로를 캐릭터화한 것처럼 고민하고 생각하기보다는 행동하는 존재로 그려진다. 영화가 끝나고 나도 미자가 달리고 또 달리는 그 장면이 강렬하게 뇌리에 남아 있는 건 그래서다.

옥자를 끌고 간 미란도 서울사무소를 찾아간 미자가, 투명해 저 앞에 안내원이 보이지만 단단해 결코 뚫고 들어갈 수 없을 것처럼 보이던 창을 향해 돌진하는 장면도 대단히 인상적이면서 상징적이다. 그건 앞뒤 재지 않고 목적을 향해 달려가는 미자의 직진 캐릭터를 보여주면서 동시에 자본으로 구축된 그 회사의 말끔한 세계가 결코 이 작은 소녀에 의해 부서질 것 같지 않지만 그녀가 만든 충돌의 울림으로 인해 의외로 깨져버린다는 걸 그 장면은 드러낸다. 그건 아마도 이 영화가 자본의 세계에서 우리가 어떻게 인간다움을 잃지 않고 저들과 싸워나갈 것인가에 대한 단초를 담아낸 것일 게다.



결국 미자는 옥자를 구출하려는 그 행위를 바로 성공시키지는 못했지만, 그것이 언론에 노출되게 함으로써 ‘울림’을 만들어낸다. 옥자 같은 슈퍼돼지가 유전자조작을 통해 만들어진 것에 대한 불편함을 미자 같은 농민들에 의해 친환경적으로 길러졌다는 것을 통해 상쇄시키려던 글로벌 기업 미란도의 CEO 루시(틸다 스윈튼)는 미자에 의해 만들어진 이 ‘울림’을 다시 덮기 위해 그녀와 옥자의 감동적인 상봉식을 계획한다.

하지만 그런 포장 역시 동물해방전선(ALF)에 의해 끔찍한 고기공장의 실체가 드러나면서 실패로 돌아가자 루시가 이끌던 미란도는 그녀의 쌍둥이 언니인 낸시 손으로 넘어간다. 루시가 그나마 친환경적 이미지 같은 거짓 홍보를 통해서나마 이 고기산업을 이해시키려 했다면, 낸시는 그런 것과 상관없이 자본주의적 판단만을 내린다. 가격을 낮추면 결국 소비하게 될 것이라고. 이것은 아마도 노골화된 자본주의의 민낯을 고발하는 대목일 것이다.



공장은 마치 수용소의 홀로코스트를 떠올리게 할 정도로 끔찍하고 슬프다. 공장으로 끌려 들어가는 슈퍼돼지들의 물결 속에서 돼지들은 생명을 잃은 채 고기로 분해되어 포장된다. 그런데 똑같은 위기에 처한 옥자를 미자가 구해내는 방식이 의미심장하다. 보다 액션을 통해 구출작전이 벌어질 것처럼 여겨졌지만, 의외로 간단했기 때문이다. 할아버지가 옥자를 사기 위해 모았지만 살 수 없게 된 걸 알고 대신 산 금돼지를 옥자의 가격으로 지불하는 것. 아마도 루시는 거부했을 이 제안을 철저히 자본주의 논리에 입각해 결정하는 낸시는 받아들인다. 금돼지를 쥔 그녀에게 미자는 고객이다. 돈과 생명은 그렇게 교환된다.

하지만 이 영화에서 가장 슬픈 장면은 마지막 엔딩에 들어가 있다. 옥자를 구해나오는 미자의 발걸음이 철조망 저 편으로 가득 채워져 공장으로 끌려 들어가는 슈퍼돼지들을 바라보며 한없이 무거워질 때, 가족으로 보이는 슈퍼돼지 부부가 새끼를 철조망 바깥으로 밀어내는 장면이다. 마치 아이를 부탁한다는 듯 얼굴로 마음을 전하는 그 슈퍼돼지 부부를 뒤로 두고 새끼는 옥자의 입 속에 숨겨져 그 홀로코스트를 빠져나온다.

이 영화에서 주목해야 될 이미지는 ‘입’이다. 고기를 생산하는 공장에서 유전자조작으로 탄생한 슈퍼돼지가 스테이크로 나와 그것을 시식하는 자리에서 사람들은 고기를 먹고 “최고”라고 말한다. 그들에게 생명에 대한 불편함 따위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그들은 그 고기가 한 때는 말을 알아듣는 생명이었다는 사실을 전혀 알지 못한다.



사람은 고기를 먹어치우지만, 옥자는 그 입에 새끼를 숨겨 생명을 구한다. 사람들은 공장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을 어렴풋이 알지만 그 이야기를 들으려 하지 않는다. 대신 그렇게 생산된 고기를 듣지 않는 대가로 맛있는 식사를 한다. 그들에게 생명은 ‘함께 살아가는 존재’가 아니다. 대상일 뿐. 반면 미자는 집으로 돌아와 옥자와 할아버지와 함께 소박한 식사를 한다. 그것은 우리 식의 정서로 ‘식구’의 의미가 들어가 있다.

옥자의 귀에 대고 미자는 무언가 귓속말을 한다. 그녀가 무슨 이야기를 옥자에게 했는지는 알 수 없고, 또 그리 중요한 것도 아니다. 그것보다 더 중요한 건 그렇게 이야기를 건네는 존재로서 생명을 대하는 모습이니까. 유전자 조작으로 탄생한 돼지의 이야기지만, 이토록 감동적인 서사가 가능한 건 그 단순명쾌한 이야기 안에 봉준호 감독이 곳곳에 심어놓은 상징들 덕분이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영화 <옥자>스틸컷, 메이킹필름]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