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방과 쿡방 이끄는 ‘알쓸신잡’ 황교익과 ‘3대천왕’ 백종원

[엔터미디어=정덕현의 네모난 세상] 쿡방과 먹방 같은 음식 관련 프로그램들이 꽤 오래도록 트렌드를 이끌고 있는 현재, 아마도 가장 핫한 인물을 꼽으라면 백종원 요리연구가와 황교익 맛 칼럼니스트가 아닐까. 백종원은 현재 tvN <집밥 백선생>을 시즌3까지 이끌어오고 있고, 또 SBS <백종원의 3대천왕>으로 전국에 있는 맛집들을 소개해주고 있다. 황교익은 tvN <수요미식회>의 고정출연으로 그 시작부터 지금까지 프로그램의 색깔을 명쾌하게 해주는 음식에 대한 깊은 설명을 해주고 있고, 최근에는 <알쓸신잡>에 합류해 음식 그 속에 담겨진 인문학적인 의미까지 소개해주고 있다.

똑같은 음식을 소재로 하는 것이지만 이 두 사람이 다루는 방식은 사뭇 다르다. 요리연구가로 활동해온 백종원은 자신만의 레시피로 보다 쉽게 뚝딱 요리를 하게 해주는 이른바 ‘요리의 대중화’를 이끌어왔다고 볼 수 있다. <집밥 백선생>은 대표적인 프로그램이다. 물론 아주 새로운 요리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어쨌든 그의 요리는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주방의 풍경을 바꾸고 있다. 요리의 문턱이 높았던 아저씨들도 요리에 관심을 갖게 해주었으니 말이다.



백종원은 요리를 하는 와중에도 보여주지만 먹어보고 그 맛을 기억하는 것이 요리의 기본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그의 쿡방은 자연스럽게 먹방으로 이어진다. <백종원의 3대천왕>은 그의 이런 장점을 극대화한 프로그램이다. 물론 ‘3대’ 같은 순위적 개념이 음식에 무슨 의미가 있냐는 비판적 시선이 있지만 어쨌든 그가 지역의 유명한 음식점을 찾아가 먹는 음식은 곧바로 사람들의 발길을 집중시킨다.

백종원이 음식을 대하는 가장 중요한 지점으로 ‘대중적인 맛’을 꼽지만 그것이 비판을 받는 일도 적지 않다. 본인이 프랜차이즈의 대표로 있어서 그의 이런 ‘대중성’에 대한 추구는 자연스럽다고 볼 수 있지만, 그 대중적인 맛이라는 건 어쩌면 자극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는 뜻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음식을 말초적인 혀끝의 자극과 포만감 같은 것으로만 받아들이면 우리가 놓치는 지점이 생긴다. 음식에 담겨진 삶의 흔적들이나 그 흔적들이 드리우는 음식에 대한 남다른 감회, 그래서 생겨날 수 있는 또 다른 ‘생각하는 맛’이 그것이다.



<알쓸신잡>에 나온 황교익은 ‘생각하는 맛’이 무엇인가를 제대로 끄집어내준다. 우리가 아무 생각 없이 먹던 삼겹살에서, 사실은 일본시장을 위해 대량 양돈사업을 하면서 수출되던 안심, 등심을 제한 부분들을 우리가 먹으며 생긴 식습관 같은 씁쓸한 역사를 들려준다. 녹두장군 전봉준을 이야기할 때, ‘녹두’라는 표현을 그저 ‘작다’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는 것에 반기를 들고, 그 ‘녹두’가 사실은 양반들이 논밭에서 나는 양식을 착취해갈 때 민초들이 들에 쉽게 뿌려 키워 먹을 수 있었던 소중한 식량원이었다는 걸 상시시킨다. 녹두에서 민초들의 쓰러지지 않는 생명력을 읽어낸다는 것.

사실 현재 쿡방과 먹방 같은 음식 프로그램 트렌드는 조금씩 사그라들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백종원과 황교익은 앞으로도 충분히 이 트렌드를 이끌어갈 쌍두마차일 것으로 예측된다. 그들만의 독특한 콘텐츠가 존재하고, 또한 그들의 영역도 완전히 구분되기 때문이다. 때때로 그 접근방식이 너무나 다르기 때문에 두 사람이 부딪치기도 하지만.



우리가 백종원과 황교익을 통해 생각해야 할 건 그래서 음식을 대하는 이 두 가지 관점들을 어떻게 조화롭게 받아들이느냐가 아닐까. 음식은 물론 즐거운 것이고 요리 또한 누구나에게 열려진 세계다. 그 대중화의 세계를 백종원이라는 인물을 통해 들여다볼 수 있다면, 황교익이 들려주는 음식에 담겨진 보다 깊은 이야기들은 자칫 자극으로만 흐를 수 있는 음식에 대한 편향적 생각에 중심을 잡아준다는 점에서 소중하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S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