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로 끝내기엔 아쉽다, ‘알쓸신잡’ 그 기적 같은 순간의 정체

[엔터미디어=정덕현]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그 한 사람의 감성, 기운 같은 것들이 머릿속으로 들어오거든요. 한 사람의 뇌라는 것이 나의 뇌가 아니라 여러 사람의 관계로 뇌가 형성되는 거잖아요. 가장 기뻤던 게 김영하의 뇌가 나의 뇌로 들어온 것이에요.”

tvN 예능 프로그램 <알쓸신잡>이 시즌을 마감하며 나눈 마지막 이야기에서 황교익은 이 프로그램을 하며 느낀 소감을 그렇게 전했다. 그러고 보면 <알쓸신잡>이 우리가 상상했던 것보다 더 큰 어떤 것을 준 프로그램으로 남는 건 바로 이 황교익이 말하는 그들의 뇌와 했던 ‘교감’ 때문이었을 것이다. 우리가 그냥 지나치곤 했던 것들을 저들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다보니 부지불식간에 그 감성과 기운 속으로 우리도 슥 들어갔던 그 기적 같은 경험의 순간들.

그러니 “행복한 가족”의 느낌을 공유하게 된 건 이 지식수다 여행의 소감으로 그 느낌을 전한 정재승 박사만이 아니었다. 프로그램을 통해 우리들도 그들과 함께 뇌를 나눈(?) 가족 같은 친근함과 즐거움, 놀라움과 경외감 같은 걸 똑같이 느꼈으니까.



유시민 작가는 그 마지막 소감으로 ‘소중히 여기며 사는 삶’에 대해 이야기했다. “뭔가를 소중히 여기며 살아가는 게 참 중요한 거구나. 여기 참가한 분들이 각자 보니까 뭘 되게 소중히 여기는 게 있더라구요.”

과학이라는 학문을 통해 세상을 들여다보며 박물관을 소중하게 들여다봤던 정재승 박사, 음식이라는 매개를 통해 역사와 문화 그리고 삶의 이야기를 했던 황교익 맛 칼럼니스트, ‘언어 수집가’로서 세상의 모든 것들의 언어를 담아내려 했던 김영하 소설가 그리고 우리가 사는 삶의 정체에 대해 무수히 고민하고 올바른 삶과 행복한 삶에 대해 늘 호기심을 갖던 유시민 작가. 또 음악을 사랑하고 그 음악이 주는 행복감처럼 함께 하는 이들을 배려했던 빼놓을 수 없는 유희열까지. 저마다 소중한 것들이 있고 그래서 그 소중한 것들을 궁구하며 그것을 대화를 통해 공유하려는 모습이 어쩌면 <알쓸신잡>의 정체가 아니었을까 싶다.



김영하 소설가는 역시 소설가다운 통찰력으로 <알쓸신잡>이 가진 핵심적인 가치와 그 기적들에 대해 이야기했다. “정말 빛나는 것들은 대화를 통해서 나오거든요. 각자 생각들을 많이 하시죠. 그런데 대화를 통해서 얘기하는 도중에 더 빛나는 것들이 많이 나왔거든요.” 결국은 지식수다에서 우리는 ‘지식’에 방점이 찍힌 줄 알고 있었지만 사실은 ‘수다’라는 장치가 더 중요했을 수 있다는 걸 김영하 소설가는 콕 집어냈다.

되돌아보면 우리 사회가 좀 더 살기 좋은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알쓸신잡>만 같으면 좋지 않을까 싶다. 사실 <알쓸신잡>은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이야기의 축소판이고 우리네 인간이 좀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가기 위한 여정을 담았다. 낯선 이들이 서로 만나 낯선 곳을 일정 시간 여행하며 그 안에서 각자 소중하게 느꼈던 경험들을 함께 모여 나누고 공유하면서 ‘더 빛나는 것들’을 끄집어내는 과정. 그것이 우리가 사는 세상을 좀 더 살기 좋게 해주지 않을까. 정말 시즌 하나로 끝내기엔 아쉬운 소중한 시간들이었다. 나영석 PD가 다시 한 번 놀라운 마법을 발휘해 이 박사님들 그대로 새 시즌으로 돌아오기를.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