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짝이던 스타에서 연기력 갖춘 배우로 변신한 김선아와 김희선

[엔터미디어=소설가 박진규의 옆구리tv] 배우 김희선과 김선아가 쥐고 있는 패는 각기 다르다. 김선아가 열 장 가까운 카드를 들고 있다면 김희선은 딱 한 장의 카드를 들고 있다. 김희선이 들고 있는 카드는 그냥 김희선이다. 김선아가 쥐고 있는 카드는 모두 투명한 가면이라 언뜻 보기에는 김선아로 보이지만 그렇지 는 않다. JTBC의 <품위 있는 그녀>는 극적인 이야기 전개와 함께 두 여주인공의 각기 다른 연기와 매력에 빠져볼 수 있는 드라마다.

그런데 1990년대 중반과 2천 년 대 중반에 전성기를 맞았던 두 사람은 배우보다 스타라는 수식이 어울렸다. 여배우와 스타에는 무언가 미묘한 차이가 있다. 어슴푸레해지는 해질녘의 시간과 별들이 반짝이는 밤하늘의 느낌이 다른 것처럼. 단 두 사람 모두 전성기 시절 반짝거림의 느낌은 좀 달랐다.



김희선은 말 그대로 김희선이라는 아이콘으로 존재했다. 김희선은 1990년대 X세대의 ‘되바라진’ 스타의 중심에 있었지만 생각보다 안티가 적었다. 그러니까 없지는 않고 생각보다는 적었다는 건데 그건 이 스타가 지닌 특유의 그늘 없는 밝은 에너지 덕이 아닌가 싶다. 김희선은 그 밝음이 버릇없음과 솔직함 사이에 걸쳐 있었다.

다만 아쉬움은 그녀의 솔직함이 연기에도 고스란히 드러난다는 점이었다. 1990년대 <미스터Q>, <토마토> 등에서 김희선은 본인이 보여줄 수 있는 발랄한 면에서만 빛났다. 그 외에 극의 진행을 위한 복잡한 감정들은 모두 날려먹기 일쑤였다. 혹은 인물의 감정보다 발랄함이 너무 과해서 연기의 밸런스가 무너지는 때도 있었다. 그럴 때면 짧은 호흡과 쨍한 목소리 같은 그녀의 단점이 빤히 드러났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김희선이란 아이콘 자체는 다이내믹하지만 그녀의 연기는 상당히 심심하거나 부피감이 얇은 느낌이 있었다.



특히 이런 단점이 확연하게 드러났던 작품은 나름 대작이었던 영화 <비천무>였다. 영화 자체의 완성도에서 문제가 있었지만 큰 스케일의 대작 여주인공을 짊어지기에 김희선의 연기에는 아쉬움이 많았다.

반면 소소한 영화 <와니와 준하>나 지극히 멜로적인 감정이 도드라지는 MBC <세상 끝까지>에서의 김희선은 나쁘지 않았다. 그녀는 그녀 또래의 젊은 여성이 지닐 법한 기쁨이나 슬픔, 어두움 등을 살려내는 데 무리가 없었다. 또한 차분하게 가라앉은 여주인공 안에서 부러 과한 발랄함이 드러날 필요도 없었기 때문이다.



한편 MBC <세상 끝까지>에서 여주인공의 말더듬이 어수룩한 친구로 나왔던 김선아는 의외로 많은 가면을 지니고 있다. 그녀의 이름을 알렸던 한 화장품 CF에서는 도회적이고 시크한 김선아의 얼굴을 볼 수 있다. 2천 년대 초중반 영화판에서 김선아는 코믹영화에서 꽤 다양한 캐릭터들을 담당했다. 망가지거나, 걸크러쉬하거나, 혹은 로맨틱한 여주인공까지 전부 소화할 줄 알았다. 특히 김선아는 겉으로는 밝아 보이는 인물의 뒤에 숨겨진 그늘진 얼굴을 보여줄 줄 아는 흔치 않은 장점이 존재했다.

다만 이 배우에게는 찰떡처럼 들러붙어 본드처럼 떨어지지 않는 캐릭터가 있었으니 바로 <내 이름은 김삼순>의 김삼순이었다. 살집 있는 몸에 다소 어눌한 말투를 지닌 연애 앞에 순박한 김삼순은 성공한 로맨틱코미디물의 대표로 손꼽히는 작품이다. 성공작 이후 김선아는 <여인의 향기>나 <시티홀>에서 여전히 좋은 연기를 보여주지만 대중들은 여전히 그녀의 연기 곳곳에서 김삼순의 그림자를 찾아냈다. 더구나 김선아 특유의 느릿한 말투와 김삼순의 조합이 워낙에 찰떡이어서 더더욱 그런 인상을 주었는지도 모르겠다.



전성기 이후 두 스타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연기 변신을 하려 애써왔다. 실패도 있고, 아쉬움도 있고, 대중들이 기억하지 못하는 것들도 있었다. 물론 그 중에 성과도 드러났다. 두 배우 모두 반짝이던 스타 시절과는 조금씩 달라진 면모를 보여주고 있었으니까.

김희선은 MBC <앵그리맘>으로 본인이 보여줄 수 있는 새로운 캐릭터를 찾아냈다. 그건 여전히 김희선이다. 다만 순정만화 속의 김희선이 아니라 엄마가 되고, 아이를 키우고 그 안에서 인간사의 복잡한 감정들을 알아가는 김희선이다. 다만 여전히 밝고, 그 밝음이 이제는 작품 속 캐릭터로 잡혀가는 인상이다. JTBC <품위 있는 그녀>의 우아진은 이런 김희선 식 연기의 연장선이자 품위 있는 업그레이드 버전이라 볼 수 있겠다. 그녀의 밝음이 주는 에너지가 빛을 발해서 이 드라마의 불쾌할 수도 있는 어둡고 질척질척한 이야기들은 쉽게 잊힌다.



반면 김선아는 몇몇 드라마나 영화에서 보여준 어두운 얼굴들을 <품위 있는 그녀>의 박복자를 통해 완성했다. 어린 시절부터 버림받고 자란 불쌍한 박복자는 상류층에 올라가기 위해, 그리고 올라서서도 여전히 비틀린 얼굴을 지니고 있다. 더구나 박복자는 모든 걸 손에 쥐고 나서도 여전히 허한 얼굴을 드러낸다. 그건 우아진이 지닌 품위를 당최 얻어낼 수 없어서다. 이 모든 복잡한 감정들이 부글거리는 내면을 김선아는 징글징글하게 소화했다. 그러면서도 도도하고 화려한 비주얼은 잃지 않았다. 자칫하면 흔한 삼류 드라마의 괴물이 될 수 있던 박복자를 아름다운 괴물로 만든 건 그간 이 배우가 품고 있던 어두운 그늘의 가면 덕이 크다.

칼럼니스트 박진규 pillgoo9@gmail.com

[사진=JTBC, M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