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선’, 그저 오지 소재의 의학드라마 같지 않은 이유

[엔터미디어=정덕현] “치료가 아니라 실험이겠지. 논문에 칸 채우고 싶어 몸살 났잖아.” 송은재(하지원)가 국내에서는 한 번도 시도된 적 없는 ‘엑시투 간절제술’을 통해 직장암 말기환자 설재찬(박지일)을 수술하려고 하자 이를 막으려는 김도훈(전노민)은 비꼬듯 그렇게 말했다. 그러자 송은재는 오히려 그에게 이렇게 쏘아붙였다. “논문에 칸 채우는 게 뭐가 나쁩니까? 언제나 처음은 있죠. 두려워해야 하나요?”

MBC 수목드라마 <병원선>의 이 대화는 마치 새로운 수술을 두고 모험이라도 시도를 해보려는 의사와 이를 위험하다고 막는 의사의 진보-보수 논쟁처럼 보인다. 하지만 실상을 들여다보면 다르다. 송은재가 그토록 위험한 수술을 하려는 건 환자를 생각해서라기보다는 자신의 실적을 위한 선택이기도 하다. 그녀는 이렇게 큰 케이스를 성공시켜 쫓겨난 서울대한병원으로 화려하게 복귀하려는 목표를 갖고 있다.

물론 이런 속사정은 김도훈 역시 마찬가지다. 그는 환자의 생명을 걱정해서 송은재를 말리려는 것이 아니다. 그녀가 만일 그 수술을 성공이라도 하게 돼서 다시 서울대한병원으로 복귀하면 자신의 입지가 어려워진다는 것을 알고 있어서다. 겉으로는 도전이니 모험이니 생명이니 하고 있지만 실상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서로 대립하고 있는 것.



이런 송은재에게 곽현(강민혁) 역시 반대의사를 드러낸다. 그는 송은재에게 “선생님이 실패하면 설재찬이라는 사람이 죽는 거예요”라며 그 도전의 대상이 다름 아닌 생명이라는 걸 환기시킨다. 그러자 송은재는 “과학은 실패를 통해 진보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곽현은 거기에 대해 “이런 비정한 진보라면 거절합니다.”라고 응수한다.

병원에서 환자의 수술을 놓고 벌어지는 논쟁이고, 그것도 진보와 보수의 논쟁처럼 포장되어 있지만 그 실상은 저마다 ‘생존하기’ 위한 안간힘이라는 시청자들은 알고 있다. 아마도 이런 상황을 보며 정치권의 진보 보수 대립을 떠올리는 분들도 적지 않을 것이다. 그들이 저렇게 대립할 동안 이제 죽을 지도 모를 누워 있는 환자는 어쩌면 그들의 생존 게임 아래 방치된 국민들이라는 느낌마저 들 수도 있다.

중요한 건 송은재가 왜 이렇게 실적에 목숨을 걸게 되었는가 하는 점이다. 그것은 권력 시스템의 문제다. 저들만의 공고한 권력 시스템 안에서 내부고발자가 된 그는 남다른 실력에도 불구하고 변방으로 밀려났다. 애초에 실력만으로 온전히 자신을 세울 수 있는 그런 시스템이 아니었다. 그래서 그 역시 김도훈의 밑에서 그의 뒤치다꺼리를 도맡아 하고 있지 않았던가. 하지만 도무지 환자의 생명을 두고 진실을 덮을 수 없었던 그의 마지막 양심이 그를 이런 변방으로 내몰았다.



그래서 서울대한병원이라는 권력시스템은 우리네 사회의 권력 구조를 그대로 떠올리게 한다. 그 권력 구조를 더 명쾌히 보려면 거기에 ‘여성’이라는 관점 하나를 더 집어 넣어보면 쉬워진다. 송은재는 그 남성성의 공고한 권력 시스템이 작동하는 곳에서 저 스스로도 남성성의 작동방식대로 살려하다 어느 날 엄마의 죽음을 통해 최후로 남은 여성성의 한 자락이 밖으로 나오게 되고 그래서 밀려나는 캐릭터라고도 읽을 수 있다.

반면 이 섬마을을 다니는 오지의 병원선이 가진 시스템은 이런 남성성의 권력 시스템과는 거리가 멀다. 그들은 권력을 쥐기 위해서 의료행위를 하는 것이 아니다. 그저 눈앞에 촌각을 다투는 환자가 있는 것이고 그들이 하나하나 소중한 생명이며 자신은 다름 아닌 그 생명을 지키는 것을 업으로 삼고 있는 의사이기 때문에 의료행위에 정성을 다하는 것이다. 저 남성성의 권력 시스템으로 굴러가는 서울대한병원이 생명을 소외시키고 있다면 이 병원선은 그 소외된 생명들을 다시 들여다보는 여성성의 공간이다.



<병원선>이 가진 대결구도는 그래서 단지 송은재와 김도훈의 대결구도가 아니라 이 서울대한병원의 시스템과 병원선의 시스템 사이의 대결이고, 남성성과 여성성의 대결이기도 하다. 송은재는 그 중간에 서 있다. 다시금 실적을 통해 그 권력 시스템으로 돌아갈 것인가 아니면 이 곳에 남아 생명을 돌보는 의사 본연의 모습으로 살아갈 것인가. 그 선택 하나에 따라 환자가 대상이 되느냐 아니면 목적 그 자체가 되느냐의 차이가 생긴다.

진보 보수 논쟁을 하면서도 정작 국민이 소외되어 있는 현실을 살아가고, 그 남성성이 지배하는 권력 시스템 안에서 무언가 잘못되었다는 걸 느끼면서도 생존을 위해 어쩔 수 없이 실적을 추구하는 삶을 살고 있는 우리네 현대인들에게 <병원선>의 이야기가 낯선 오지에서 벌어지는 의학드라마로만 보이지 않는 이유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M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