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메이트’ 박상혁 PD 조합의 마법, 이번에도 통할까

[엔터미디어=TV삼분지계] ◾편집자 주◾ 하나의 이슈, 세 개의 시선. 각자의 영역을 가지고 대중문화와 관련된 글을 쓰고 있는 정석희·김선영·이승한 세 명의 TV평론가가 뭉쳐 매주 한 가지 주제나 프로그램을 놓고 각자의 시선을 선보인다. 엔터미디어의 [TV삼분지계]를 통해 전문가 세 명의 서로 다른 견해가 엇갈리고 교차하고 때론 맞부딪히는 광경 속에서 오늘날의 TV 지형도를 그려볼 수 있는 단초를 찾으실 수 있기를.

<서울메이트>는 서울을 닮은 예능이다.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며, 대한민국에서 가장 다양한 문화를 만날 수 있는 도시. <서울메이트> 역시 한 단어로 규정할 수 없는 다채로운 무늬를 지녔다. 우선 큰 줄기는 SBS <룸메이트>, KBS <불타는 청춘>, tvN <섬총사> 등 전작에서 일관되게 선보인 박상혁 PD의 관계지향 예능에 요즘 유행하는 외국인 예능과 여행 예능을 결합한 형태다.

여기에 SBS <미운 우리 새끼> 이후 관찰예능의 주 포맷으로 자리 잡은 코멘터리 형식을 따른다. 관건은 이 다양한 장르의 모자이크로 무엇을 만들어낼 것인가이다. 뻔하고 익숙한 것들의 단순 조합으로 그칠지, 아니면 새로운 해석과 변주가 더해질지에 프로그램의 성패가 달려 있다. <삼분지계> 세 평론가의 의견도 바로 이 지점에서 갈렸다. 그 첫 방문기가 여기에 있다.



◆ 상생의 달인 김숙이 선보인 글로벌 우정

방송인 김숙은 속이 꽉 찬 사람이다. 깊이를 짐작하기 어려운 그 속에 재기발랄한 에너지가 가득해서 툭 건드리면 요술 상자처럼 프로그램이 원하는 것들이 튀어나온다. 어딜 가도, 뭘 해도, 어떤 이를 상대해도 남들과는 차별되는 이야기와 볼거리를 만들어내는 김숙. 심지어 KBS2 <배틀 트립> MC 특집 제주도 여행 편에서는 혼자서 두 서너 사람 몫을 너끈히 해내지 않았나. 뿐만 아니라 상생(相生)의 달인이기도 하다. 정글 같다는 예능 판에서 나보다 남의 기 살리는 방송을 한다는 건 쉽지 않은 일. 김숙은 그 쉽지 않은 일을 이미 몇 차례나 해냈다. 그리고 이번엔 외국인이다.



새로 시작한 올리브 <서울메이트>에서 김숙은 카메론 출신의 프랑스 여성들을 손님으로 맞았다. 벌써부터 세 사람이 펼칠 색다른 그림이 기대가 된다. 아니 다시 말하면 김숙이 그들의 개성을 어떤 방식으로 끌어낼지 기대가 된다는 얘기다. 알고 보면 그들은 운이 참 좋다. 각양각색의 그릇들부터 아기자기한 오르골 등 수집품을 보는 재미가 쏠쏠했는데 우리나라 어느 집에 가야금과 레코드판 잼베가 공존하겠는가. 대신 PPL 향기가 물씬 나는 가구들이며 전자 기기들이 즐비하겠지. 프랑스 손님들의 위시 리스트에 올라 있는 광장 시장이며 제주도 곳곳 또한 김숙보다 잘 안내해줄 인물은 없으리라 단언해본다.

이번 첫 회에는 출연자 넷 중 김숙과 연기자 이기우의 손님들만 소개됐다. 멕시코 남성들을 손님으로 맞은 이기우도 패션과 캠핑에는 남다른 경험과 연륜을 갖고 있다. 그래서 이 팀 역시 기대가 되는 바, 여행에, 외국인에, 민박에, 먹방에, 좋다는 것 다 집어넣은 정체불명의 복합예능이라는 선입견을 깨준 첫 회였다. 물론 아직 남은 두 팀의 면면은 소개되지 않아 속단은 이르지만.

방송 칼럼니스트 정석희 soyow59@daum.net



◆ 어설픈 공동주거 판타지의 글로벌 버전

<서울메이트>는 “당신에게 서울은 어떤 도시입니까?”라는 질문으로 시작한다. 그리고 여러 대답 중에 “빛나고 거대하며 변덕스럽고 매력적인 도시”라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 대답을 끌어내기 위해 한국을 처음 방문한 외국인 여행객이 소환된다. 이들은 적극적인 자기 홍보로 프로그램에 자원했고 결국 스타의 집에 초대되어 정성스러운 대접을 받는 ‘선택된 손님’들이다.

서울이 마냥 “흥미로운 도시”일 수밖에 없다. 이 도시가 지루하고 때론 잔혹하기까지 한 생계의 터전인 거주민들에게, <서울메이트>가 보여주는 서울은 그 자체로 허망한 판타지다. 프랑스에서 온 게스트 파비안과 엘레나가 ‘한국에 대한 이미지’를 묻는 제작진에게 ‘모두가 함께 미친 듯이 놀고 자기 삶을 즐긴다’라고 대답하는 장면은 이를 단적으로 증명한다.



이 같은 <서울메이트>의 성격은 박상혁 PD의 전작인 SBS <룸메이트>가 드러냈던 문제점을 그대로 반복하는 것이다. 1인 가구 증가 시대에 “젊은이들 사이에서 새로운 주거형태로 주목받고 있는 쉐어 하우스”를 모티브로 한 <룸메이트>는 방영 당시 청춘들의 공동주거가 대부분 경제적 문제에서 비롯된다는 현실을 지우고 작위적인 유흥과 러브라인에 집중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서울메이트>는 바로 이 <룸메이트>에서 러브라인을 빼고 외국인 친구들을 데려온 또 하나의 공동주거 판타지다.

<룸메이트>와 달리 스타의 실제 집에서 함께 생활하지만, 그곳은 일상을 공유하는 장소라기보다 스타들이 그들 앞에서 개인기를 펼치고 손님들의 “위시리스트”를 실현해주는 “게스트하우스”다. 물론 첫 방송만으로 단정하기엔 이를 수도 있다. 하지만 이기우의 모친이 방문해 게스트들에게 푸짐한 한식 상차림을 대접하고, 김영철이 투입되어 “투머치”한 개그를 선보이는 다음 회 예고편을 보니 별 기대가 되지 않는다.

칼럼니스트 김선영 herland@naver.com



◆ 익숙한 조합의 뻔한 구석을 김숙의 매력으로 막다

세상엔 새로운 아이템을 잘 만드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기존에 있던 아이템들을 재조합해 최적화하는 데 능한 사람이 있다. 박상혁 PD는 후자다. 그가 CJ E&M으로 이적해 만든 첫 작품 <섬총사> 역시 KBS <해피선데이> ‘1박 2일’이나 tvN <삼시세끼>에서 본 듯한 그림을 능란하게 버무려 낸 작품이었고, SBS 시절 만들었던 <강심장>이나 <룸메이트>, <불타는 청춘> 등도 각각 집단 토크쇼 예능, 셰어하우스 예능, 아웃도어 예능이 트렌드로 떠오를 무렵 등장해 장르의 대표주자로 자리매김한 작품이었다. 전에 본 적 없는 새로운 그림을 만드는 혁신가는 아닐지 몰라도, 뻔하고 익숙한 코드를 능숙하게 요리해 내는 데에는 일가견이 있는 사람인 셈이다.

<서울메이트> 또한 접근방식은 비슷하다. 이 프로그램은 한 발은 봇물 터지듯 쏟아져 나오는 외국인 예능 트렌드에 걸치고, 다른 한 발은 본인이 SBS 시절 만들었던 <룸메이트>나 <불타는 청춘>처럼 서로 낯선 이들이 같은 공간에서 먹고 자며 친해지는 공동주거 예능에 걸친 프로그램이다. 뻔한 그림인데, 조합이 나쁘지 않다.



물론 첫 화의 호평은 많은 부분 김숙이 프로그램의 뻔한 구석을 가려주고 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옷가게를 열었다가 사흘 만에 접었을 만큼 낯가림이 심한 김숙이 그걸 극복하고 카메룬 출신 손님들과 친해지는 과정이야말로 첫 화의 백미였으니까. 서툰 영어로 말을 건네며 농담을 던지고 다과를 대접하는 김숙의 모습을 보며 웃다가도, “지금 김숙을 무슨 프로그램에 투입한들 안 웃길까” 하는 지점까지 생각이 미치면 과연 김숙을 빼고도 볼 만 한 프로그램이라 말할 수 있을지 망설이게 된다. 그러니 조금 야박할지는 몰라도, 이번 조합을 제대로 평가하려면 방송에 공개된 김숙-이기우 편이 아니라 김준호-장서희 편까지 기다려봐야 할 것이다. 팀의 에이스를 첫 타석에 세웠으니 잘 하는 건 당연한 거 아닌가.

칼럼니스트 이승한 tintin@iamtintin.net

[사진=tvN]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