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관람가’, 후배들 부끄럽게 만든 이명세 감독의 열정

[엔터미디어=정덕현] JTBC 예능 프로그램 <전체관람가>에서 이명세 감독의 메이킹 영상을 보던 감독들은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눈시울을 붉혔다. 그 장면이 굉장히 슬픈 장면이어서가 아니다. 적지 않은 연배의 이명세 감독이 여전히 보여주는 그 열정이 그들에게는 남다른 소회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정윤철 감독은 그 이명세 감독의 작업을 보면서 ‘영화의 본질’이 무엇이고 또 자신들이 “왜 이렇게 힘든 직업을 택했을까”하는 그 질문을 다시 던지게 됐다고 했다. 이명세 감독은 실제로 현장에서 그 누구보다 열정적이었다. 영상에 담기 전 사전에 철저한 준비와 연습을 하는 걸로 유명한 이명세 감독은 하다못해 “액션”이라고 외치는 소리조차 힘에 넘쳤다.

특히 시선을 끈 건 열차가 들어올 때 배우들이 달려가는 장면을 찍으면서 그저 모니터를 바라보는 게 아니라 배우, 스텝과 함께 감독이 직접 같이 뛰고 있는 모습이었다. 감독이 그렇게 몸소 직접 보여주니 배우들은 몸을 아끼지 않고 열정을 보일 수밖에 없었다. 정윤철 감독이 울컥했던 건 바로 그런 이유 때문이었다.



박광현 감독은 “부끄러웠다”는 한 마디를 내놨다. 그리고 이경미 감독 역시 마찬가지 소회를 털어놓았다. “영화 데뷔한 지 9년 됐는데 그 시간 동안 패배주의에 젖었던 적도 많았다. 요즘 들어서 ‘내가 영화감독을 언제까지 얼마나 할 수 있을까’ 하는 것에 대해 비관적인 생각을 할 때가 많았는데 감독님 보니까 부끄럽더라.”

이명세 감독이 찍은 단편 <그대 없이는 못 살아>는 애초 ‘데이트 폭력’이라는 다소 무거운 주제를 선택해 그걸 남녀 관계의 사랑과 애증이라는 보편적 주제로 확장시킨 작품이었다. 역시 미장센의 대가답게 <그대 없이는 못 살아>는 질감 자체가 다른 영화 특유의 빛과 소리의 미학을 담고 있었다.

하지만 무엇보다 흥미로웠던 건 이 작품이 보통 우리가 상업영화의 틀에 익숙해져서 영화라고 하면 먼저 보게 되던 ‘내러티브’적인 방식을 쓰지 않았다는 점이다. 스토리보다는 인물들이 만들어내는 동작과 영상 언어를 통해 사랑과 증오가 뒤얽힌 남녀 관계의 변화무쌍한 면면들을 느끼게 해줬던 것.



애초에 현대무용가 김설진을 주인공으로 캐스팅했던 것 자체가 이 영화가 드러내는 이러한 비 ‘내러티브’적인 방식을 염두에 둔 것이라고 보였다. 그래서 영화는 마치 한 편의 무용처럼 보였다. 대사나 이야기가 아닌 영상과 동작이 많은 것들을 생각하게 만드는 이 작품 속에서 김설진은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는 동작들을 통해 그 인물의 내적인 면면들을 표현해냈다.

사실 일반적인 문법의 상업영화에 익숙한 대중들에게는 낯설게 다가올 수밖에 없는 작품이었지만, 오히려 그것이 이명세 감독이 이 영화를 통해 하려는 메시지였다. 결국 이명세 감독은 상업영화들이 대부분의 자리를 차지하면서 영화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는 영상언어가 점점 뒤편으로 물러나고 있는 걸 이 짤막한 단편 하나로 말해보려 했을 것이다.

이명세 감독은 단편영화가 지금 현재 영화의 ‘최후의 보루’라고 말했다. 그만큼 이러한 단편들이야 말로 상업적인 잣대에서 벗어나 영화의 본질을 지켜낼 수 있다는 이야기. 젊은 영화학도들이 해야 할 그런 이야기를 직접 작품을 통해 감독이 전하려 했다는 그 사실에서 후배 감독들이 가진 소회는 클 수밖에 없었을 게다.

영화라는 작업은 감독들에게는 그토록 애착이 가면서도 또한 애증이 느껴질 정도로 힘겨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래서 이를 메이킹을 통해서 또 작품을 통해 보여준 이명세 감독의 <그대 없이는 못 살아>는 영화감독들의 영화에 대한 이중적인 감정을 드러내는 말처럼 보이기도 한다. ‘영화 없이는 못 살아’ 라고.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JT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