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쓸신잡2’가 본 서울, 어째서 안타까움이 더 많을까
종묘보다 넘치는 사직, ‘알쓸신잡2’ 서울에 채워야할 것들

[엔터미디어=정덕현] tvN <알쓸신잡2>가 본 서울의 모습은 어땠을까. 이야기는 조선에 한양을 수도로 세운 정도전의 이야기로 거슬러 올라갔다. 북방 외세의 침략을 대비하기 위해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천혜의 요새(?) 같은 한양에 수도를 세운 정도전. 당시만 해도 텅 비어있던 한양은 이제 몇 백년 만에 인구 천 만이 모여 사는 곳이 되었다. 유시민 작가는 숙정문과 남산에 올라 아마도 당시 정도전이 내려 봤을 서울의 풍경을 바라보며 만일 이 달라진 모습을 정도전이 봤다면 “인생 최대의 희열을 느낄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인구 천 만이 모여 살게 된 그 변화된 서울의 모습에서 느껴지는 건 뿌듯함보다는 안타까움이 더 컸다. 황교익이 지적한 대로 서울은 과거 정도전이 꿈꿨던 모습과는 달리 ‘이주민의 도시’가 되었다. 돈을 벌기 위해 외지인들이 들어와 사는 곳이 되었고, 그렇게 인구가 집중되면서 효율은 떨어지는 도시가 되었다. 유현준 교수는 이런 근대화를 가능하게 한 건 ‘보일러’였다는 흥미로운 관점을 말했다. 과거 온돌 생활에서는 2층 이상의 집이 불가능했는데 보일러가 들어와 고층 아파트가 가능해졌다는 것.



유시민 작가 역시 서울이 ‘화석에너지와 대량생산시스템’으로 만들어진 도시라는 걸 지적했다. 고층 아파트들이 전국 각지에서 모여든 인구를 수용하고, 그들이 모두 같은 패턴으로 일하고 쉬고 움직이기 위한 교통시설이 만들어진 것이 모두 화석에너지가 있어서 가능했던 것이고, 그 시스템은 대량생산을 지향했다는 것. 이 이야기는 유현준 교수가 지적하는 서울의 도시계획 실패 이야기와 맞닿는 것이었다. 이렇게 주거와 일터를 나누고 일제히 동시에 같은 시간에 일하고 같은 시간에 쉬는 시스템 속에서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

무엇보다 안타까운 건 이러한 서울의 시스템 속에서 사라져가는 것들이었다. 피맛골을 예로 들어 사라져가는 골목길들은 그저 길만이 사라지는 게 아니라 그 공간이 갖던 많은 추억들이나 인간의 흔적들이 사라지는 것이었다. 미국의 경우 건물은 고치거나 바꿀 수 있어도 도로는 함부로 바꿀 수 없게 되어 있다는 유현준 교수의 지적은 그래서 그저 자본화되어가고 있는 서울이 보존해야할 것들을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하는가를 생각하게 했다.



장동선 박사가 다녀온 세운상가의 재탄생은 이런 과거와 현재의 공존 그리고 지향할 미래를 모두 품어낸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변화의 한 예처럼 보였다. 한때는 부의 상징이었던 곳이었으나 강남이 개발되고 용산전자상가가 생기며 점점 낙후되어가던 그 곳이 지금은 ‘청년 지원 시스템’을 갖추고 과거의 장인들과 현재의 청년들이 콜라보해 미래를 만들어가는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었다. 변화란 단지 과거를 지우는 것이 아니라 현재적 관점에서 수용할 것은 수용하고 변용할 건 변용해야 한다는 걸 이 사례는 보여줬다.

유시민 작가는 이러한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가치’의 관점에서 새롭게 풀어냈다. 정도전이 처음 한양을 수도로 세웠을 때 만들었던 종묘와 사직이 각각 당대의 ‘도덕적 가치’와 ‘세속적 욕망’을 상징하는 공간이었다는 걸 먼저 지적한 유시민 작가는 그렇다면 21세기의 우리에게 종묘와 사직은 무엇인가 라는 흥미로운 질문을 던졌다. 유시민 작가는 민주주의의 가치가 21세기의 종묘일 것이라며 민주화를 상징하는 한국기독교회관, 명동성당 등을 언급했다. 그리고 황교익은 광화문 광장이 그런 가치를 하나로 모으는 공간이라고 말했다.



한편 21세기 사직에 대해서 유시민 작가는 ‘마천루’라고 말했고, 유현준 교수는 ‘아파트’라고 했으며 황교익은 식당이라고 해서 저마다 현재적 욕망을 상징하는 것들을 각각의 입장에서 거론했다. 유시민 작가는 우리가 저마다의 사직단을 품고 살아가지만 하나의 공통점은 ‘돈’이라는 걸 짚어냈다.

<알쓸신잡2>가 들여다 본 서울은 21세기 종묘와 사직단으로 표징되듯, 민주화의 흔적들이 중요한 가치로 남은 공간이면서 동시에 돈과 물질에 대한 욕망이 꿈틀대는 곳이었다. 아쉬운 건 21세기 종묘의 가치들을 압도하는 사직단들에 의해 사라져가는 것들이 적지 않다는 것이었다. 사직단들이 과거를 밀어내고 전면에 포진하면서 이제 차가 들어올 수 없는 좁은 골목길로 자그마한 온기를 찾아 모여드는 도시인들의 모습이 못내 쓸쓸하게 느껴지는 건 그래서다. 물론 그 곳 역시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벌어지는 또 다른 모습의 사직단이 되어가고 있지만.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